[ON 선데이] 상속의 시대가 상실의 시대를 부르지 않으려면

ON 선데이 News

[ON 선데이] 상속의 시대가 상실의 시대를 부르지 않으려면
상속상실상속세 과세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70 sec. here
  • 11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59%
  • Publisher: 53%

본인과 배우자 각자 부모님으로부터 물려받을 부동산이 있고, 본인이 현재 보유 중인 부동산도 있는데, 언젠가 이 모든 부동산을 물려받을 사람은 하나 뿐인 새끼밖에 없다고. 머지않아 소수의 미래 세대에게 부가 집중되는 상속의 시대가 열리고, 그로 인한 빈부격차가 극복하기 어려운 초격차 수준으로 벌어지겠구나. 국세청의 ‘상속세 및 증여세 결정현황’에 따르면 2013년 6275명이었던 상속세 과세 대상 피상속인은 2020년 1만181명으로 늘어나며 처음으로 1만 명대를 넘어섰다.

나는 내 새끼가 진심으로 부럽다. 얼마 전 추석을 앞두고 함께 술잔을 기울였던 지인이 꺼낸 말이다. 처음에는 그 말을 실없는 농담으로 여겼는데, 이유를 들은 뒤에는 농담으로 들리지 않았다. 본인과 배우자 각자 부모님으로부터 물려받을 부동산이 있고, 본인이 현재 보유 중인 부동산도 있는데, 언젠가 이 모든 부동산을 물려받을 사람은 하나 뿐인 새끼밖에 없다고. 내 새끼는 미래에 돈 때문에 아쉬운 소리를 하는 일은 없을 거라고. 지인의 한탄인지 자랑인지 모를 말을 들으니 다가올 미래의 윤곽이 머릿속에 그려졌다. 출산율 하락의 바닥이 보이지 않으면서 재산을 물려받을 사람이 물려줄 사람보다 줄어들고 있다. 머지않아 소수의 미래 세대에게 부가 집중되는 상속의 시대가 열리고, 그로 인한 빈부격차가 극복하기 어려운 초격차 수준으로 벌어지겠구나. 생각이 거기까지 미치니 아찔해져 술기운이 가셨다.상속의 시대는 이미 다가온 미래다.

극복하기 어려운 격차가 불러일으키는 부작용 중 하나는 무기력증이다. 변화를 위한 노력과 의지는 현재보다 나아질 수 있다는 가능성과 희망을 먹고 자라기 때문이다. 내게도 열심히 일하고 부지런히 모으면 서울에 내 집 마련 정도는 할 수 있다고 믿었던 시절이 있었다. 지방에서 서울로 올라와 직장을 잡은 나는 월급의 70%를 적금으로 부었고, 그렇게 모은 적금을 예금으로 돌리기를 몇 년 동안 반복했다. 누구에게도 기대지 않고 목돈을 마련했다는 자부심은 결혼 준비 과정에서 무너졌다. 내가 모은 돈으로는 서울에서 내 집 마련은커녕 구축 아파트 전세를 얻기에도 부족했다. 결혼 자금을 전혀 지원받을 형편이 못 됐던 나는 작은 빌라 월세방을 신혼집으로 얻을 수밖에 없었다.

이후 부동산 시장이 폭등했다. 이대로 가다가는 월세 인생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는 불안감에 사로잡혀 서울을 벗어나 ‘영끌’해 겨우 내 집을 마련했다. 월세보다 원리금을 감당하는 게 낫다고 자위하며 매일 새벽 첫차로 종점과 종점을 광역버스로 출근하는 일상을 반복했다. 비슷한 시절에 결혼하고 서울에 신혼집을 얻은 직장 동기들을 바라보며 상속과 증여의 위력을 뼈저리게 느꼈다. 나와 그들의 자산 규모는 비교하기가 민망할 정도로 벌어진 지 오래다. 근로소득만으로는 그 차이를 극복할 수 없음이 명백해지자 한동안 무기력한 기분을 지울 수 없었다. 나는 상속의 시대가 성장 동력과 활력을 잃은 의욕 상실의 시대로 이어질지도 모른다는 불길한 예감이 든다.

내가 주목하는 불길한 징후는 장기 미취업 청년의 증가다. 최근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 청년층 부가 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최종 학교를 졸업했지만 3년 이상 취업하지 않은 청년은 지난 5월 기준 23만8000명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최근 3년 중 가장 많은 인원이다. 이들 중 무려 34.2%가 취업 준비를 하지 않거나 별다른 직업 교육을 받지 않고 그냥 집에서 쉬었다. 나는 이들의 선택이 결코 한심해 보이지 않는다. 오히려 근로소득이 하찮아 보이게 하는 세상을 위해선 아무 일도 하지 않겠다는 상호확증파괴 전략으로 느껴져 섬뜩하다.

그렇다고 상속세를 큰 폭으로 인상해 소득 불평등을 해소해야 한다는 식의 게으른 결론에 도달해선 안 된다. 이 문제는 앞으로 우리가 맞닥뜨려야 할 인구 구조 변화에서 비롯되는 문제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단순히 부의 대물림 문제로 바라보는 순간 모든 논의가 어그러진다. 이는 기성세대와 청년세대의 자산 양극화 문제에 가깝다. 누군가로부터 상속세를 징벌적 수준으로 더 걷어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였다면, 애초에 정치권에서 상속세 인하 논의가 나오지도 않았을 것이다. 상속의 시대를 상실의 시대로 만들지 않으려면 지금부터라도 머리를 맞대고 조금 더 멀리 봐야 한다. 논의는 빠를수록 좋다.

We have summarized this news so that you can read it quickly. If you are interested in the news, you can read the full text here. Read more:

joongangilbo /  🏆 11. in KR

상속 상실 상속세 과세 상속과 증여 부의 양극화 자산 격차 상속 양극화 OPINION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ON 선데이] 빅 브라더와 휴대전화[ON 선데이] 빅 브라더와 휴대전화거의 모든 사람이 갖고 있는 송수신이 가능한 기기, 즉 휴대전화가 사람들의 대화를 엿듣고 있다는 내용이다. 사실이라면, 휴대전화가 빅 브라더의 텔레스크린처럼 우리의 일상적 대화를 기록하고 빅테크에 데이터를 통째로 전달한 것이다. 또한 메타는 이용자 동의 없이 페이스북 음성메시지 내용을 녹취한 것이 드러났고, 애플과 구글도 AI 스피커에 녹음된 음성을 기록한 사실이 들통난 뒤에야 이를 인정하고 중단을 약속했다.
Read more »

[선데이 칼럼] AI시대 흥할 나라와 쇠퇴할 나라[선데이 칼럼] AI시대 흥할 나라와 쇠퇴할 나라열흘 전 엘베강이 북해와 만나는 독일 함부르크 강변에 자리 잡은 함부르크 AI 센터(ARIC)에서 AI 안전 워크숍이 열렸다. 하지만 이 도크랜드에서 개최된 AI 안전 워크숍에서 본 유럽 AI 실상은 빠르게 진화하고 있는 AI의 혁신적 실험을 세계적으로 선도하겠다는 생각과는 거리가 멀었다. 인류의 산업화 역사에서 기존 산업이 쇠퇴할 때 새로운 산업을 일으키는 국가는 흥하고 기존 산업을 지키려고 하는 국가는 쇠퇴한다는 것을 보여줬다.
Read more »

[ON 선데이] 폭염에 못한 일[ON 선데이] 폭염에 못한 일가장 더웠던 8월의 두 주 가까이 집 에어컨이 고장 나 있었다. 자정이 되도록 30도 아래로 떨어지지 않는 집안 온도에 자도 잔 거 같지 않고, 깨도 깬 거 같지 않은 나날을 보냈다. 국내 온실가스 전체로 봤을 때 전력 생산 등의 에너지 산업에서 발생하는 배출량 비중이 35.6%인데 (2021년 기준), 전력의 경우 가정용 점유율은 6.5%에 불과하다.
Read more »

[선데이 칼럼] 미 대선 누가 돼도 불편한 중국, 한국은?[선데이 칼럼] 미 대선 누가 돼도 불편한 중국, 한국은?세계 각국 중앙은행의 피벗으로 환율 불안 등 국제금융시장 변동성은 커질 것으로 점쳐지는 가운데 인공지능(AI) 등 디지털 혁명 가속화, 지정학적 도전 등 글로벌 대변혁 시대의 파장은 올해 미 대선을 기점으로 증폭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주 민주당 대통령 후보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이 공화당 대통령 후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의 TV 토론에서 약진해 유리한 판세를 만들었으나, 트럼프 전 대통령 2차 암살 시도 여파로 40일 앞으로 다가온 대선 판도를 가늠하기 더욱 어려워졌다.
Read more »

[선데이 칼럼] 부정조차 접어두고 고독과 싸웠던 김영삼과 김대중[선데이 칼럼] 부정조차 접어두고 고독과 싸웠던 김영삼과 김대중문재인 전 대통령이 결국 검찰의 수사 선상에 오르면서 전직 대통령들의 잔혹사가 재소환되고 있다. 문 전 대통령은, 대선 캠프에서 자신을 도운 이상직 전 의원이 실소유주이던 타이이스타젯이 문 전 대통령 사위 서모씨를 채용해 2억2300만원 가량을 제공한 것이 뇌물에 해당한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지금쯤 의혹은 국민들 기억에서 사라졌을 것이고, 검찰 압수수색 영장에 문 전 대통령이 뇌물수수 혐의의 피의자로 적시되는 일도 벌어지지 않았을 것이다.
Read more »

기후위기 시대를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기후위기 시대를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김초엽 작가의 소설을 꽤나 좋아한다. 처음 을 읽었을 때는 영화 와 비슷한 시기였는데, 개인적으로는 책과 영화가 이어지면서 사회운동 그보단 활동가들을 생각하는 마음과 이어지는 부분이 있어서 좋았던 기억이 시간이 흘러도 여전히 남아있다. 작년 가을, 김초엽 작가의 새 장...
Read more »



Render Time: 2025-02-25 03:1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