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상층에서 자신의 계층 그룹을 낮게 인식하는 그룹을 ‘심리적 비(非)상층’으로, 심리적 비상층을 제외하고 스스로 중산층이라고 여기는 그룹을 ‘핵심 중산층’으로, 소득 중층에서 자신을 낮게 평가하는 그룹을 ‘취약 중산층’으로 구분했다. KDI의 ‘한국인의 계층 인식에 관한 조사’에선 주관적 계층의식과 소득 기준을 결합한 패널의 계층 구성비를 상층 3.0%, 심리적 비상층 17.8%, 핵심 중상층 54.5%, 취약 중산층 19.9%, 하층 4.9%로 정리했다(그래픽 4). ⑥확장된 중산층 범주로 보면, 취약 중산층, 심리적 비상층, 핵심 중산층의 순으로 진보적 성향이 강하다(그래픽 5).
자료를 찾으러 국책 연구기관들 홈페이지를 들락거리다가 눈에 확 띄는 보고서를 발견했다. 한국개발연구원의 연구보고서 ‘한국의 중산층 은 누구인가’였다. 부록과 영문초록까지 포함해 237쪽의 보고서를 쓴 연구자는 황수경 KDI 선임연구위원과 이창근 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 황 전 청장은 문재인 정부의 입맛에 맞지 않은 소득 통계가 나온 뒤 2018년 13개월 만에 전격 경질됐다.
이 보고서의 새로움을 이해하기 위해선 약간의 배경지식이 필요하다. 중산층은 왜 중요한가. “중산층의 확대는 한국의 모든 역대 정부가 추진해온 주요 정책목표이다. 중산층이 두껍게 형성되는 것은 균형적인 경제성장의 증거이자 동력이며, 아울러 민주주의의 발전과 사회통합의 중요한 토대가 된다고 믿기 때문이다.”문제는 중산층의 범위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온전하지 않다는 점이다. 경제학자들은 보통 측정 가능한 소득이나 소비를 기준으로 중산층을 정의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가 대표적이다. OECD는 1995년 이후 오랫동안 중위소득의 50~150% 가구를 중산층으로 잡았다가 2019년부터 기준을 75~200%로 상향 조정했다.보고서는 우리 사회에서 흔히 제기되는 ‘중산층 위기론’의 근거를 따진다. OECD의 과거·현재 기준 어떤 것을 사용하든 2011~2021년 시장소득 기준으로 본 한국의 중산층 규모는 50%를 약간 웃도는 수준에서 큰 변화 없이 유지됐다.
반면에, 취약 중산층은 외부의 경제적 충격 때문에 언제든지 하층으로 떨어질 수 있다는 위기감을 강하게 느끼는 경계 계층이다. 중산층보다는 하층과 더 유사한 특성을 보인다. 하지만 하층을 대상으로 하는 정부의 정책 지원에서는 제외된다. 보고서는 “미래에 대한 불안이 점증하고 있는 취약 중산층의 위험요인을 경감시키는 데 중산층 정책의 초점을 맞추는 것이 매우 중요하고 바람직하다”고 판단했다. ‘중산층에서 이탈할 위험이 있는 사람들’과 ‘중산층으로 올라가려는 사람들’에 정책의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것이다.
중산층 부자 주관적 중산층 중산층 위기론 중산층 인구 KDI 한국의 중산층 객관적 중산층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서의동 칼럼]윤석열의 ‘중산층 죽이기’22대 총선에서 국민의힘이 참패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스윙보터가 많은 중산층이 등을 돌렸기 때문이기도 하다. 윤석열 정부의 ‘중산층 죽이기’ 정책에 대한 위기의식이...
Read more »
[강찬호 논설위원이 간다] “시행 10년된 사전투표, 국민 입장 물을 때”은평구 선관위에서 심야에 선관위원 2명이 투표함 봉인을 뜯고 투표지를 투입하는 모습이 공개돼 논란을 불렀는데. 이어 사전투표가 끝나면, 은평구처럼 각 지역의 선관위에 도착한 관외 투표지들을 선관위원들이 해당 투표함에 넣고, 본 투표가 끝날 때까지 보관한다. '사전투표용 관내 투표함과 본 투표용 투표함 규격이 다르다. - 강찬호 논설위원이 간다,사전투표,시행,사전투표용 관내,사전투표일,관내 투표함,김용빈,투표함 봉인,투표지,선관위,수검표
Read more »
[김정하 논설위원이 간다] 윤석열 이탈층에 미친 영향, 명품백 | 이종섭개별 이슈가 유권자들의 지지 후보 선택에 미친 영향력을 조사했을 때 ‘김건희 여사 명품백 논란’은 ‘대선 윤석열 지지→총선 민주당 지지’ 그룹엔 영향력이 3.95(5점 척도, 1=전혀 영향 없음, 5=매우 큰 영향)로 나타났다. 분석을 담당한 고려대 길정아 아세아문제연구원 연구교수는 '국민의힘 지지층에선 약 40% 정도가 당 호감도보다 윤 대통령의 호감도가 낮았고, 민주당 지지층에선 약 45% 정도가 당 호감도보다 이 대표의 호감도가 낮았다'고 밝혔다. 그런데 민주당 지지층에서 민주당 공천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그룹은 ‘민주당(지역구)+민주당(비례대표)’ 37.7%, ‘민주당(지)+조국혁신당(비)’ 34.
Read more »
[장세정 논설위원이 간다]'DJ라면 북한에 정면으로 대응하지 않고 대화 모색했을 것'DJ, 핵 실험에도 햇볕정책 유효하다 생각 -DJ라면 '두 국가론'에 어떻게 반응했을까.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햇볕 정책을 세습 체제 유지에만 이용하려 했고, 북한 체제와 주민에게 미치는 햇볕 정책의 영향을 최대한 차단하려 했다. 정부는 김정은의 일방적 선언에 직접 대응하기보다는 대결·충돌로 악화하지 않도록 남북 관계 관리에 더 유념하길 권한다'.
Read more »
시효 오늘까진데...끝내 소송 못 한 ‘안인득 사건’ 피해자 [강주안 논설위원이 간다]서울중앙지법은 지난해 11월 15일 국가의 책임을 인정해 A씨 가족에게 약 4억원을 지급하라고 판결했다. 공 변호사는 2017년 11월 15일과 2018년 2월 11일 포항에서 발생한 지진 피해자들의 소송을 주도했다. 안인득 사건과 포항 지진 피해자를 모두 진료했던 이영렬 전 포항지진트라우마센터장에게 두 사건에 관해 물었다.
Read more »
[이상언의 오늘+] 특검 공세에 시달리는 대통령 … 김 여사 소환조사는 외통수 | 뉴스레터이상언 논설위원이 전하는 이슈+시각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