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페이스북 이용자의 종교관, 정치관 등 민감한 정보를 수집해 4000여 광고주에게 제공한 메타(옛 페이스북)가 216억원의 과징금 철퇴를 맞았다. 그러나 개인정보를 무단으로 수집하고 이를 돈벌이에 활용하는 글로벌 빅테크들의 횡포를 막기엔 과징금 정도의 처벌로는 실효성이 없다. 보다 강력한 규제 장치 도입을 서둘러야 한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5일 ...
국내 페이스북 이용자의 종교관, 정치관 등 민감한 정보를 수집해 4000여 광고주에게 제공한 메타가 216억원의 과징금 철퇴를 맞았다. 그러나 개인정보를 무단으로 수집하고 이를 돈벌이에 활용하는 글로벌 빅테크들의 횡포를 막기엔 과징금 정도의 처벌로는 실효성이 없다. 보다 강력한 규제 장치 도입을 서둘러야 한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5일 밝힌 메타의 개인정보법 위반 행위를 보면 상상을 초월하는 수준이다. 페이스북 프로필을 통해 98만명의 종교·정치관뿐 아니라 동성애, 성전환자, 북한이탈주민 등 각종 민감한 정보를 무단 수집했다. 그러면서도 이용자 동의도 별도로 받지 않고 추가적 정보 보호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메타는 2년 전에도 개인정보를 이용자 동의 없이 수집한 뒤 맞춤형 광고에 이용해 308억원의 과징금과 함께 이용자 동의를 받으라는 시정명령을 받았다. 당시 구글도 같은 행위로 과징금 692억원과 시정명령을 부과받았다. 하지만 개인정보 보호가 개선되기는커녕 개인의 정체성을 가늠할 내밀한 정보로까지 수집 범위가 넓어진 것이다.
글로벌 빅테크 업체들의 무차별적인 개인정보 수집과 활용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이용자가 사적으로 주고받는 메시지까지 분석한 결과를 알고리즘으로 만들어 중독성을 키우고 있다. 플랫폼 이용이 늘수록 광고 수익을 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9월 미국 연방거래위원회는 유튜브, 틱톡, 페이스북, 엑스 등의 광범위한 이용자 개인정보 수집에 “용납할 수 없는 수준”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주요국들은 빅브러더가 된 거대 플랫폼 기업에 대한 규제 법안들을 속속 마련하고 있다. 유럽연합은 이들의 지배력을 억제하는 디지털시장법에 이어 사용자 보호를 위한 디지털서비스법 등으로 플랫폼 기업들을 강력히 규제하고 있다.
반면 한국의 규제는 무력하기 짝이 없다. 구글과 메타는 2년 전 개인정보 수집과 관련해 받은 시정 명령을 여태껏 이행하지 않고 있다. 집행정지 신청 등 소송으로 시간을 끌면서 제재를 무력화시키고 있다. 빅테크들의 불법 행위를 미리 감시하기 위한 공정거래위원회의 ‘사전지정제’가 업계 반발로 무산될 정도로 당국의 의지는 박약하다. 이용자의 프라이버시가 침해되는 일이 없도록 정부와 국회는 거대 플랫폼에 대한 실효성 있는 규제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윤 정부, 다주택자 우선 정책 포기해야 산다[사의재의 직필] 정부와 한국은행은 금리인하에도 금융안정 자신할 수 있나?
Read more »
[매경포럼] 커즈와일의 'nearer'AI가 인간 초월하는 특이점2045년→2029년 앞당겨문명사 바꿀 AI경쟁 치열한데강건너 불구경만 할건가
Read more »
[사설] 특별감찰관으로는 ‘김 여사 문제’ 막을 수도 덮을 수도 없다국민의힘 지도부가 ‘김건희 정국’ 대책으로 나온 특별감찰관을 놓고 내분 양상이다. 한동훈 대표의 추진 의사를 추경호 원내대표가 ‘원내 사안’이라고 막아서면서 정면충돌하고 있다...
Read more »
[사설] 위험한 군사기술 거래 우려 키우는 북·러의 ‘나쁜 동맹’한·미 국방장관이 워싱턴에서 만나 한미안보협의회의(SCM)를 열고 북한의 러시아 파병을 비판한 공동성명을 발표한 직후이자, 미국 대선을 닷새 앞둔 민감한 시점의 도발이다. 러시아의 앞선 정찰위성 기술을 지원받아 북한이 감시·정찰 자산을 손에 넣으면 그만큼 한·미에 위협이 커진다. 이번 SCM에서 한·미 국방장관은 북한의 핵 공격 대응 시나리오를 한·미 연합작전계획에 반영하기로 했다.
Read more »
막을 수 있는 죽음... 행복정책이 필요합니다저출생·고령화, 인구감소·지방소멸 이슈로 수년째 요란합니다. 아이들 울음소리가 들리지 않는다고 아우성입니다. 저출생 대책에 100조 이상의 엄청난 예산을 투입했다는데 성과는 초라합니다. 그런데 알고 계십니까? 작년에만 대한민국 국민 약 1만 4천 명이 스스로 죽음을 선택했습니다. 살아있는 국민조차 지키지 못...
Read more »
[사설] 대통령의 현실 인식, 이 정도로 민심과 동떨어져 있나한 대표 측 박정하 비서실장은 브리핑에서 '한 대표가 충분히 말씀은 전했고, 다만 대통령 반응이나 분위기는 용산에 확인해 보라'는 말만 반복했다. 당장 김 여사 특검법 재표결에서 한 대표 측 세력 8명 이상이 이탈하면 특검법이 확정되기 때문이다. 한 대표의 김 여사 관련 요구에 즉각 굴복하는 모양새가 힘들다면 적어도 '국민적 걱정을 충분히 들었고, 민심에 부응하는 해법을 모색하겠다'는 정도의 전향적 자세를 내놨어야 했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