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패션공룡’ 쉬인, 국내 진출 선언 저가 경쟁 가속화 , 유해성 논란 여전
저가 경쟁 가속화 , 유해성 논란 여전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들이 국내에 진출하며 ‘저가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는 가운데 중국판 유니클로로 불리는 온라인 플랫폼 ‘쉬인’이 한국 진출을 선언했다. 마찬가지로 초저가를 무기로 가격 경쟁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서도 국내 제조·유통 일원화 브랜드들이 가격 경쟁을 펼치는 가운데 쉬인의 진출이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 패션업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앞서 쉬인은 지난 20일 “4월 한국 전용 홈페이지를 열고 본격적으로 한국 시장에 진출했다”며 “앞으로 마케팅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밝혔다. 쉬인이 한국 진출을 공식적으로 선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후 쉬인은 서브 브랜드인 ‘데이지’의 첫 글로벌 앰버서더로 배우 김유정을 발탁했다. 쉬인은 5달러 스커트와 9달러 청바지 등 저가 제품을 무기로 성장한 SPA 브랜드다. 지난해 매출 450억달러, 영업이익 20억달러를 기록한 공룡 기업이기도 하다. 우리나라에서도 강세인 SPA 브랜드로 경쟁사인 자라, H&M과 비교하면 실적이 2배에 달한다.현재 국내에는 무신사, 에이블리, 지그재그, W컨셉 등 패션 플랫폼들이 시장 파이를 나눠 가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가격을 무기로 한국에 진출한 쉬인의 행보에 업계 관심이 쏠린다.알리, 테무 등 중국 이커머스 업체들의 제품이 품질 논란이 계속되는 만큼 쉬인도 자유로울 수 없다. 가격이 저렴해지는 만큼 품질이 낮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실제로 쉬인은 소재 관련 유해성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 앞서 서울시는 쉬인에서 판매 중인 어린이용 가방 등 8개 가죽제품 안전성을 검사한 결과 7개 제품에서 유해 물질이 나왔다고 밝혔다. 어린이용 가죽가방 4개 중 1개 제품에서는 폼알데하이드가 기준치보다 1.2배 초과 검출됐고 나머지 3개 제품에서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기준치의 최대 153배 검출됐다. 이 중 2개 제품은 중금속 함유량도 기준치를 넘었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김유정이 입은 그옷, 만원도 안된대”…韓 진출 선언한 ‘중국판 유니클로’中 저가패션 ‘쉬인’ 한국 상륙 홈페이지 열고 홍보모델 선봬
Read more »
사자마자 되팔아도 2배···에르메스 버킨백의 ‘미친 경제학’세계적 명품 브랜드 에르메스의 유명 가방 ‘버킨백’ 소비 현상과 관련해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미친 경제학(crazy economics)’이란 표현을 썼다. 구매하자...
Read more »
1,600만 원 '이 가방'...사자마자 되팔면 가격 2배럭셔리 브랜드 에르메스의 유명 가방인 '버킨백'이 고객과 매장 직원 간의 일반적인 권력관계를 뒤집은 판매 방식이 논란이 되고 있다.23일(현지 시간) 월스트...
Read more »
[시승기] 디자인으로 압도한다…캐딜락 첫 전기차 '리릭'(서울=연합뉴스) 김보경 기자=제너럴모터스(GM) 고급 브랜드 캐딜락의 첫 전기차인 준대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리릭'이 국내에 ...
Read more »
“아이유가 신더니 인기 폭발, 없어서 못판다”…복고 열풍에 이 브랜드 1조클럽 ‘눈 앞’뉴발란스, 복고 열풍 힘입어 실적 날개 국내 판매 15년 만 매출 50배 성장
Read more »
“그 높은 콧대 어떻게 꺾었나”…네카오가 랑콤·디올 입점시킨 비결은?LVMH 브랜드, 네이버 입점 디올은 카카오와 업무협약 오프라인 매장 찾는 2030 줄어 럭셔리 브랜드, 온라인 채널 강화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