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부처간 정책 불협화음부동산 가격 급등에 발목계층이동 사다리 역할하는노동·교육 개혁 속도 높여야
노동·교육 개혁 속도 높여야 중산층이 두터워진다는 것은 경제 성장이 균형적으로 이뤄져 안정적인 사회 발전을 위한 토대가 마련됐다는 뜻이다. 이 때문에 역대 정부들은 중산층 확대를 주요 정책 목표로 삼아왔다. 그러나 부처 간 갈등, 정치적 불안정, 정책 부작용으로 번번이 발목이 잡혔다. 또 부동산 가격처럼 계층을 가르는 핵심 요소에 대한 접근에도 실패해 한국 사회의 계층 이동 희망은 점점 어두워지고 있다.역대 정부는 중산층을 육성하기 위한 여러 정책을 발표했다. 이명박 정부는 중산층 지출을 줄이면서 수입을 늘리고 사회 안전망을 강화하는 '휴먼뉴딜' 정책을 내세웠다. 구체적으로 보육 비용을 낮추면서 입시 제도를 개편했다. 국가 장학금이 도입된 시기도 이때다. 그러나 부처 간 알력 다툼은 정책 완성도를 끌어내렸다.
박근혜 정부는 '경제 민주화' 슬로건을 바탕으로 중산층을 70%까지 복원하겠다는 구체적인 목표까지 세웠다. 대표 정책인 '뉴스테이'는 자가 주택 보유 의지는 없지만, 어느 정도 소득이 있는 중산층 임대주택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도입한 기업형 임대주택이었다. 그러나 임기 중 탄핵을 당하며 정치적 동력을 잃었다. 문재인 정부의 중산층 정책은 '최저임금 인상'을 중심으로 하는 '소득주도성장'을 통해 저소득층을 중산층으로 만드는 것이었다. 이와 함께 무상 급식, 무상 보육, 의료비 부담 경감 등 보편적 복지로 생활을 보조하는 방안도 담겨 있었다. 하지만 최저임금 급등으로 자영업자들의 경영난이 되레 심화됐고, 실패한 부동산 정책으로 집값은 소득증가율이 따라갈 수 없을 만큼 치솟았다.
전문가들은 계층의 기준이 되는 자산 가격 안정을 포함한 근본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정세은 충남대 경제학과 교수는"소득이나 자산 변화가 고착화돼 개인의 노력으로 극복이 힘들다면 문제가 심각하다"며"부동산을 비롯한 자산 가격이 급등하면서 경제를 왜곡하는 현상을 막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노동·교육처럼 계층 사다리 역할을 하는 부문의 개혁이 시급하다는 주장도 있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소득 격차를 줄이기 위해선 노동시장의 개혁이 필요하다"면서"공교육에서 사교육으로 교육 기조가 이동하며 재산에 따라 주어진 기회도 달라진다"며"교육 기회의 평등을 확대해야 한다"고 했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서경호 논설위원이 간다] ‘나는 중산층’엔 부자도 많아…취약 중산층 지원에 집중을소득 상층에서 자신의 계층 그룹을 낮게 인식하는 그룹을 ‘심리적 비(非)상층’으로, 심리적 비상층을 제외하고 스스로 중산층이라고 여기는 그룹을 ‘핵심 중산층’으로, 소득 중층에서 자신을 낮게 평가하는 그룹을 ‘취약 중산층’으로 구분했다. KDI의 ‘한국인의 계층 인식에 관한 조사’에선 주관적 계층의식과 소득 기준을 결합한 패널의 계층 구성비를 상층 3.0%, 심리적 비상층 17.8%, 핵심 중상층 54.5%, 취약 중산층 19.9%, 하층 4.9%로 정리했다(그래픽 4). ⑥확장된 중산층 범주로 보면, 취약 중산층, 심리적 비상층, 핵심 중산층의 순으로 진보적 성향이 강하다(그래픽 5).
Read more »
“나때는 자동차가 사치였지”...50년된 ‘부자세금’, 서민들 잡네국민소득 4만弗 넘보는데 상속·금융소득·개소세 수십년 전 기준으로 과세 “중산층 稅 부담 줄여줘야”
Read more »
50년 묵은 세제…서민이 '부자세' 낸다국민소득 4만弗 넘보는데상속·금융소득·개소세수십년 전 기준으로 과세'중산층 稅 부담 줄여줘야'
Read more »
김밥 사먹기도 힘든데, 허리 휘는건 서민만?…백화점 매출 굳건한 상승세롯데·신세계·현대 1분기 매출액, 전년比 3.8%↑ 체감경기는 최악이나 중산층 소비여력 이상無
Read more »
유통채널 양극화...고소득 잡은 코스트코, 저소득 잡은 월마트 나란히 신고가고물가 지속에 소비여력 양극화 중산층 비중 높은 타겟은 ‘비실’
Read more »
이미 변화에 뒤처진 한국 기업들... 넛크래커 위기[넥스트브릿지] 22대 국회가 해야 할 과제와 정책 제안 - 에너지 정책 혁신과 에너지 정책기구 설립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