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세계 최저 수준의 출산률과 빠른 고령화로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이로 인해 사회복지 시스템, 연금 시스템, 정부 재정 등에 큰 변화가 필요하다.
65세 이상 인구가 23일 사상 처음 20%를 기록했다. 고령사회에 진입한 지 불과 7년 만에, 다섯 명 중 한 명이 노인인 초고령사회 가 됐다. 세계적으로 유례없을 만큼 빠른 속도로 저출생· 고령화 가 진행되면서, 한국은 준비되지 않은 채로 급격한 인구구조 변동을 맞게 됐다. 초고령사회 에 맞춰 전면적인 국가 제도 개편이 시급하다. 유엔은 65세 이상 인구가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 14% 이상은 고령사회, 20% 이상은 초고령사회 로 분류한다. 한국은 2000년 고령화 사회 진입 후 17년 만인 2017년 고령사회에 들어섰고, 다시 7년 만에 초고령사회 가 됐다.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 까지 영국은 50년, 프랑스는 39년, 일본은 10년이 걸렸다. 한국의 고령화 속도가 특히 빠른 것은 세계 최저 수준의 출생률과 맞물려 있다. 생산인구는 줄어드는데 부양인구가 급격히 늘어나면, 연금 고갈 시기가 당겨지고 돌봄·의료 비용이 늘어나 정부의 재정 부담이 커진다. 그런데도 정부 대응은 거꾸로다.
복지 지출 증가에 대비해야 하는 상황에서 오히려 세수 기반을 약화시키고, 지난 5월 야당이 제시한 연금개혁안은 걷어찼다. 저출생·고령화에 대비하기 위해 인구부를 신설한다더니, 그 모든 논의는 느닷없는 윤석열 내란 사태로 서 버렸다. 지금 우리에겐 시간이 없다. 이 속도대로라면 2050년엔 고령인구가 전체의 40%를 차지하게 된다. 연금 수급과 노인복지 서비스 개시 시기와 맞물려 있고, 대한노인회도 공개 제기한 노인 연령 상향 문제도 사회적 논의를 서둘러야 한다. 국가적 비상 사태가 해결되는 대로 국민연금 개혁안 논의도 다시 속도를 내야 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노인 빈곤율 1위인 한국은 법적 정년 연장 문제도 함께 풀어가야 한다. 초고령사회가 된다는 것은 사회 전체의 생애주기에 큰 폭의 변화가 생김을 의미한다. 일자리와 돌봄·의료·주거 등 사회복지 시스템 전반을 지금부터 촘촘하게 새로 짤 필요가 있다. 2025년 노인일자리 모집 신청 첫날이었던 지난 5일 서울 동대문시니어클럽에서 어르신들이 일자리 신청을 위해 줄을 서 있다. 노인 기준 연령이 오르면 노인일자리 등 각종 사회복지 사업의 대상 선정 기준도 달라지게 된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한국, 초고령사회 진입주민등록 기준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를 넘어 한국 초고령사회 진입.
Read more »
한국, 초고령화 사회 진입 예정: 노인 인구 관리 시스템 개선 필요내년이면 한국이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며, 노인 인구 관리 시스템의 개선이 필요하다. 이로 인해 알츠하이머병과 치매 환자 관리에 대한 사회적 부담이 증가하고 있으며, 관련 업무 종사자들의 처우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Read more »
한국, 초고령사회 진입…노인 빈곤과 연금 개혁 시급한국이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0%를 넘어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가운데, 노인 빈곤율과 연금 개혁 논의가 시급해졌습니다.
Read more »
소득 이동성 저하, 양극화 심화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22년까지 소득 이동성이 감소하고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고소득층과 빈곤층에서 소득 계층 변화 비율이 낮아지며, 고소득층 진입 어려움이 심화되고 있다.
Read more »
트럼프 당선으로 인한 한국의 대 우크라이나 정책 변화, 특사단 방문 예정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 이후, 루스텀 우메로우 우크라이나 국방부 장관이 이끄는 특사단이 한국을 방문하여 무기 지원을 요청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트럼프의 당선으로 인해 미국의 대 우크라이나 정책이 바뀌었기 때문에, 이로 인한 한국 정부의 입장이 복잡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Read more »
조용함, 새로운 시대의 트렌드: 한국의 문화적 변화한국이 외향성 중심의 사회에서 조용함과 내향성으로 변화하고 있다. 기술적 진보와 산업적 변화는 이전의 사회적 가치관을 바꾸어, 조용한 사적 시간과 개인적 성장이 중요하게 여겨지는 시대가 되었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