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그린란드 매입 의사를 재언하며 미중 패권 경쟁 속에서 그린란드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트럼프는 '안보'와 '상업적 이익'을 위해 그린란드를 매입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미군 전략적 요충지 및 희토류 광물 매장지로서의 가치를 강조했다.
그린란드 는 그린란드 국민의 것이다. 매물이 아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일방적으로 그린란드 매입 의사를 밝힌 데 대해, 무테 에게데 그린란드 총리가 23일(현지시간) 이같이 강하게 반발했다. 에게데 총리는 ' 그린란드 는 지금도, 앞으로도 매물이 될 수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린란드 는 북극해에 있는 덴마크 자치령이다. 트럼프 는 전날 자신의 SNS에 '세계 안보와 자유를 위해 그린란드 소유와 통제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며 그린란드 매입을 거론했다. 앞서 집권 1기인 지난 2019년에도 트럼프 는 그린란드 매입 의사를 밝혔다가 덴마크와 외교 갈등을 일으킨 바 있다. 집권 2기를 앞둔 트럼프 가 그린란드 매입을 재거론하자 뉴욕타임스(NYT)는'이번엔 농담이 아니다'며'덴마크가 거부할 수 없는 거래가 될 수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 가 그린란드 에 눈독 들이는 이유는 뭘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로이터=연합뉴스 ① 천연자원 보고, 미군 전략적 요충지 NYT는 트럼프가 '안보'와 '상업적 이익' 차원에서 그린란드 매입을 추진하려 한다고 전했다. 현재 미국은 그린란드에 미사일 방어와 우주 감시 임무를 위한 전략 기지인 피투픽 공군기지를 두고 있다. 또 그린란드는 미국에서 유럽으로 가는 최단 경로에 위치했다. 한반도 전체 면적의 10배에 가까운 그린란드에는 석유·천연가스는 물론 네오디뮴·디스프로슘 등 희토류 광물이 풍부하게 매장됐다. 미국이 실제로 그린란드를 편입할 경우, 중국 희토류에 대한 의존에서 벗어날 결정적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다. 미국은 오래 전부터 그린란드의 전략적 중요성에 주목해왔다. 1860년대 앤드루 존슨 당시 대통령이 그린란드 매입을 최초로 추진했고, 이후엔 1946년 해리 트루먼 전 대통령이 그린란드를 매입하고 싶다며 덴마크에 1억 달러(약 1457억원)를 제안했다 거절당했다. NYT는 트럼프가 그린란드를 기후위기 시대의 북극 항로 개척 경쟁에서 중국·러시아를 따돌릴 요충지로 보고 있다고 전했다. 또 전기차·풍력 터빈 등 첨단 기술에 필수적인 광물 매장지라는 측면에서 그린란드 매입에 집요하게 매달릴 것으로 전망했다. 북극 전문가들도 이번 트럼프의 발언을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덴마크 왕립 방위대학의 북극 안보 전문가인 마크 야콥센은 '(2019년과 달리) 트럼프의 발언에 웃는 사람은 거의 없다'며'시간이 지나면 그린란드에서도 트럼프의 제안을 실리적 기회로 활용하려는 분위기가 만들어질 수 있다'고 전했다. 김영희 디자이너 ② 북극에 대한 중 야망 억제 트럼프 2기 재점화된 미·중 패권 경쟁도 그린란드에 대한 트럼프의 집착을 강화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미국 싱크탱크 우드로윌슨센터의 셰리 굿맨 선임연구원은'미국은 중국이 그린란드에 강력한 입지를 구축하지 못하게 막는 것이 목표'라고 전했다. NYT는 중국의 북극에 대한 야망은 계속 커지고 있으며, 특히 기후 변화로 인해 열린 해상 교통로를 개발하고 인프라 구축에 집중하고 있다고 전했다. 굿맨 연구원은 만약 중국이 그린란드로 손을 뻗치는 데 성공한다면 북미의 문턱에 발을 들이는 꼴이 되므로, 미국은 이를 선제적으로 방어할 필요가 있다고 한다. 그린란드에 대한 트럼프의 집착에 대해서도 그는'미국은 자국을 보호하고, 적대자(중국)가 미국 본토와 가까운 영토에 접근해 전략적으로 미국에 불리하게 활용하지 못하도록 조치를 취하는 것'이라고 풀이했다. NYT는'과거 트루먼 전 대통령이 그린란드를 매입한 것은 소련군을 몰아내기 위한 냉전 전략이었다'면서'트럼프 역시 러시아·중국과 상업 운송 및 해군 자산을 위한 북극 항로 장악을 위해 경쟁하는 상황에서 그린란드 매입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주장할 것'이라 전했다.
트럼프 그린란드 매입 중국 북극 안보 전략적 요충지 희토류 광물 미중 경쟁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트럼프, 파나마 운하 반환 및 그린란드 매입 주장하며 우호국과 마찰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파나마 운하를 완전하고 신속하게 반환하며 그린란드 매입을 주장하며 우호국과 전쟁을 예고하고 있다. 중국과 같은 적대국뿐 아니라 전통적인 우호국까지 도발해 향후 국가 간 외교 관계에서 우위를 점하려는 시도로 해석된다.
Read more »
트럼프 승리로 미국과 중국의 '푸신난' 현상 주목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당선으로 '각성' 문화와 정치적 올바름 세력이 무너진 가운데, 중국의 신조어 '푸신난'이 트럼프 지지자들을 설명하며 주목 받고 있다. 이 현상은 미국과 중국 간의 유사성을 강조한다.
Read more »
트럼프 당선으로 평가된 미국과 중국의 '푸신난' 현상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당선으로 미국 내에서 워크 문화가 패배했다는 평가가 나왔다. 이 현상은 중국에서 '푸신난'이라는 신조어로 비유되며, 이 신조어는 미국의 트럼프 지지 세력과 비슷한 성향을 지닌 집단을 가리킨다. 중국 언론인들은 이 현상에 대해 비판적으로 분석하며, 미국과 중국의 푸신난 현상의 사회학적 유사성을 강조했다.
Read more »
트럼프 대선 승리와 푸신난 현상: 미국과 중국의 유사한 사회학적 현상도널드 트럼프가 미국 대선에서 예상 외의 압승을 거두며, PC 세력과 워크 문화의 패배로 평가되었다. 중국에서는 트럼프 지지층과 유사한 '푸신난' 현상이 주목받고 있다. 이는 저학력 남성 또는 근거 없이 자신감만 넘치는 남성을 지칭하는 신조어로, 트럼프 지지자들 중 일부가 이를 사용하고 있다. 트럼프는 중국어로 ' Chunpu Xin Nan'으로 표기되며, 이는 ' Chunpu' (川普)와 'Xin Nan' (信男)의 합성어로, 트럼프를 믿는 남성들을 의미한다. 이러한 현상은 중국 내에서 사회학적 관점에서 미국과 중국 간의 유사점을 보여주며, 한국의 '이대남 현상'과 비슷한 맥락을 가지고 있다.
Read more »
[사이테크+] '그린란드 빙상, 13년 새 평균 1.2m 얇아져…최고 75m 녹아'(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심각해지는 지구온난화로 인해 2010년부터 2023년까지 그린란드 빙상(Greenland Ice Sheet)이...
Read more »
합치거나 줄이거나…中굴기·트럼프 변수에 車업계 대응 각각(서울=연합뉴스) 김보경 기자=전동화 전환으로 촉발된 글로벌 자동차 업계의 구도 재편이 중국의 굴기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 등에 ...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