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원석 질경이 대표 여성청결제 제조업에서 AI 맞춤 건강 관리해주는 종합서비스 기업으로 도약
종합서비스 기업으로 도약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신사업, 수출 강화, 유통망 다변화 등을 통해 올해 매출액은 전년 보다 2배 증가한 150억원을 달성하고, 2025년에는 300억원을 돌파할 것입니다.”
최원석 질경이 대표는 최근 기자와 만나 이 같은 청사진을 제시했다. 질경이는 액체, 알약 같은 고체, 몸 안에 넣어서 사용하는 의료기기 등 다양한 여성청결제를 개발해온 여성청결제 제조 기업이다. 공장을 소유하고 제품을 자체 개발·생산한다. 최 대표는 2009년 ‘하우동천’을 설립하고 15년 동안 여성청결제를 연구해왔다. 2010년 질경이를 출시하고 불모지였던 여성 청결제 시장을 만들어왔다. 소비자에게 브랜드 ‘질경이’를 더 적극 알리기 위해 사명을 브랜드명과 동일한 ‘질경이’로 2018년 바꿨다.최 대표는 “질경이는 10년 넘게 여성 건강을 연구해왔기 때문에 여성 건강에 관한 여러 데이터와 노하우가 축적돼 있다. 이를 AI와 활용해 여성 건강을 맞춤 관리하는 새로운 서비스를 내년 상반기 출시 목표로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은 후 생리 시작일과 종료일, 연령 등 몇 가지 정보를 입력하면 AI가 여러 정보를 제때 제공한다. 이를 테면 임신이 가능한 기간, 예상 생리 날짜 등을 알람으로 알려준다. 생리주기에 변화가 생기면 알려주고, 불규칙한 주기 상태가 지속되면 건강에 적신호가 켜진 것으로 분석한 후 적절한 약이나 건강기능식품 혹은 병원 등을 추천해주는 기능도 탑재할 예정이다. 여성이 자신의 건강 상태 등을 주기적으로 입력하면 AI가 학습을 통해 건강을 관리해주는 ‘내 손 안의 주치의’인 셈이다.최 대표는 “미국, 중국, 베트남, 태국 등 약 10개국에 질경이 제품을 수출하고 있다”며 “여성 청결제 특히 한국에서 생산된 질경이 제품에 관심 갖는 동남아 여성들이 최근에 많아졌다”며 “지금까지 아시아에서 질경이의 수출 중심 국가는 중국이었는데, 동남아 시장도 공격적으로 타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유통망 확대도 질경이의 성장 전략 중 하나이다. 질경이는 3~4년 전까지 제품을 홈쇼핑 위주로 판매해왔다. 주로 중년 여성들이 여성청결제를 사용하면서 중년 여성들이 한꺼번에 대량으로 제품을 구입할 수 있는 홈쇼핑을 주력 판매 채널로 활용했다. 2~3년 전부터 유통망 다각화 전략을 추구하면서 여러 온라인 쇼핑몰, 면세점·대형 마트 등 오프라인 매장 등으로 유통망을 넓혔다.질경이는 제품군도 넓히면서 새로운 먹거리도 확보했다. 올해 5월 외음부 전용 클렌저 기기 ‘환타스틱’을 출시한 게 대표적이다.그러면서 최 대표는 “세안제, 기초 화장품이 지성, 복합성, 건성, 여드름성 등 피부에 맞게 세분화돼 있듯이 여성청결제도 나이, 피부 상태 등에 따라 다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세분화해서 개발해서 선보일 것”이라고 덧붙였다.“질경이가 세상에 처음 등장했을 때만 해도 여성들이 여성청결제를 드러내놓고 사용하지 못하는 분위기였습니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아몬드로 1년에 1000억…만수르도 먹었다는 ‘허니버터아몬드’ [남돈남산]윤문현 바프 대표
Read more »
“회장님 안부럽다” MZ세대 7명, 100억 주식갑부…누군가 봤더니非오너 27명 주식재산 100억 넘어 주식 100억 넘는 MZ세대 7명
Read more »
알록달록 ‘이것’ 만들어 월 매출 1억....50대까지 신용불량자였다는데 [남돈남산]수제사탕 제조 기업 ‘핑거’ 이영진 대표 신용불량자 청산…‘인생 2막’ 수제사탕으로 글자, 문구, 그림 등 넣을 수 있고 바삭한 식감에 치아에 안 달라붙어 수제사탕 선물용으로 인기
Read more »
“윔블던이 테니스 공 팔아 돈버나?”...100억 혈세 들어간 드론축구에 ‘발칵’전주시 “드론축구볼 5만개 수출계약” 실제론 의향서...현재까지 258대 수출 지원금 100억, 민간단체 쏠림 지적도
Read more »
초등학교 입학도 안한 ‘유아 동학개미’ 18만명, 보유 주식 1조805억 달해100억 이상 3100명, 전체 주식 32% 소유 안도걸 의원실 “양극화 해소 방안 강구해야”
Read more »
“노도강 정비속도 높여라”…서울시, 자치구에 총출동노도강 3구 구청장과 소통 회의 구, 지역 현안별 맞춤 대책 건의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