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성의 히,스토리] 일본 언론 ''강제노동' 문구 빼는데 양국 합의', 외교부 '사실무근'이라 했지만...
▲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일본 니가타현 사도 광산 출구에 28일 '세계문화유산 결정'이라고 적힌 현수막이 걸려 있다. 일본은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사도 광산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면서 주변 박물관에 조선인 노동 관련 전시물을 설치하고 매년 노동자 추도식을 열기로 했다. ⓒ 연합뉴스이번에 등재가 성공한 것은 한국인 강제징용과 관련된 근대유산 부분을 제외하는 방법으로 신청을 수정한 결과다. 한국인 강제징용이 있기 전에도 일본인 부랑민들의 강제노역이 있었고 이로 인한 희생을 추모하는 '부랑자의 무덤'이 사도섬에 존재하지만, 지금 이런 부분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근대 시설을 뺀다고 문제가 없어지는 게 아니라는 점은 일본 정부의 태도에서도 반영된다. 근대 유산을 배제해 한국인 노동 착취와 아무런 관련이 없게 됐다면, 기시다 내각이 막판까지 윤석열 정부와 머리를 맞댄 이유를 이해할 수 없게 된다. 사도광산 전체를 하나로 봤기에 최종까지 한국의 협조를 구했다고 판단할 수밖에 없다. 27일 자 보도도 비슷하다."일본은 전쟁 중의 가혹한 노동환경을 현지의 전시 시설에서 설명하겠다고 표명했다"라며"조선반도 출신자의 강제노동이 있었다며 등재에 신중한 자세를 보였던 한국도 동의했다"고 전했다. ▲ 일본 니가타현 사도시 사도 광산 인근 아이카와 향토박물관이 28일 조선인 노동자 관련 전시물이 있는 새로운 전시 공간을 공개했다. 작은 전시실에 노동자 모집·알선에 조선총독부가 관여했음을 설명하는 패널 등이 설치됐다. 사진은 방문객이 조선인 노동 관련 전시를 보는 모습. ⓒ 연합뉴스그런데 외교부 당국자의 말대로 일본 언론보도가 사실무근이고 한일의 실제 합의가 달랐다면, 등재 다음 날부터 일어난 상황을 설명할 수 없게 된다. 28일부터 사도시 아이카와향토박물관에서는 한국인 노동에 관한 전시가 시작됐다. 외교부 당국자의 말이 사실이라면 이 전시는 한국 정부의 의사를 무시한 것이나 다름없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아버지의 피, 땀, 눈물도 기록하라' 사도광산 피해자 유족, 유네스코에 호소문조선인 강제동원 현장인 일본 '사도광산'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여부 결정을 이틀여 앞두고 강제동원 피해자 유족들이 오늘(25일) 21개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국에 “강제동원 피해 사실을 함께 기록해달라“는 내
Read more »
일본 교수의 평가 '윤석열 정권이 언급 피하고 있다'[김종성의 히,스토리] 일본의 사도광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윤 정부는 저지할 생각 있나?
Read more »
‘일본 사도광산’ 유네스코 유산 등재 확실시···조선인 강제동원 알리는 시설 설치한 듯일제강점기 조선인이 강제동원됐던 일본 사도광산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가 사실상 확정됐다. 사도광산 인근에 조선인 강제동원 사실을 알리는 시설물을 설치하기로 한국과 일본이 잠...
Read more »
아사히 “한일, 사도광산 ‘조선인 노동자’ 현지 전시 대략 합의”일본 정부가 사도 광산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심사 하루 전인 26일 광산과 관련한 조선인 노동자 역사를 현지 전시하기로 한국 정부와 대략 합의했다고 아사히신문이 보도했다....
Read more »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 주말 최종 결론…'강제노역 반영' 관철될까(서울=연합뉴스) 김지연 기자=일본이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신청한 조선인 강제노동 현장 '사도광산'의 등재 여부가 이번 주말 최종 결론이...
Read more »
[속보] ‘강제노역 현장’ 사도광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확정뉴델리 세계유산위 회의서 21개 회원국 만장일치 찬성 日 “전체 역사 종합적 반영 강제노역 전시·추도식 약속” 韓 “日 이행의지 명문화 성과”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