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공립대 교수노조 '정년 연장' 교육부와 협의나서젊은 교수·비전임 교원들 '설 자리 잃을라' 반발
정년 연장을 둘러싼 논란이 대학가로 확산되고 있다. 정년이 65세인 교수들이 정년을 늘려달라고 요구하는 사례가 등장했으며, 정년 이후 고용 형태를 바꿔 재고용하는 대학들도 생겨났다.25일 교육계에 따르면 전국국공립대학교수노동조합은 최근 교육부와 진행한 협의회에서 정년을 65세에서 67세로 연장하는 안건을 제시했다. 노조와 교육부는 조만간 이 안건으로 교섭을 진행할 예정이다.한국폴리텍대학은 지난달 이사회를 열어 교수 정년을 60세에서 65세로 단계적으로 연장하기로 의결했다. 한국폴리텍대학전국교수노조는"정년 65세 환원은 '대학다운 대학, 교원다운 교권 확립'을 향한 대전환점"이라고 환영했다.
KAIST는 '정년 후 교수' 제도를 운영 중이다. 61~65세 전임 교수 중 교육 및 연구 성과가 탁월하고 정년 후에도 업적이 기대되는 교수들을 선별해 70세까지 고용을 유지하는 제도다. 최근에는 70세 한도까지 없앴다. 정년 후 교수가 되면 전임 교수에서 초빙 교수로 고용 형태가 바뀐다. 일종의 '재고용'이다. 근로 조건은 전일제 근무로 전임직 때와 동일하다. 급여는 교수가 연구비에서 직접 충당해야 한다. 현재 KAIST에서 정년 후 교수로 지정된 인원은 총 41명이다. 전임 교수 713명 중 5%에 달한다. 이 중 17명은 이미 65세를 넘었다.
대학의 정년 연장 움직임을 둘러싸고 비전임 교수들은 양질의 일자리가 줄어들 것이라며 우려하고 있다. 한국비정규교수노조 관계자는"전임 교수의 정년이 연장되면 전임 교원들을 신규 채용하는 경우가 상당히 줄어들어 부정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국립대 교수 정년 67세 연장' 사회적 합의 전제돼야 [사설]행정안전부 공무직 정년 연장에 이어 국공립대 교수들이 현재 65세인 정년을 67세로 연장해줄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계속고용 요구가 교수 사회로도 확산한 것인데 정년 연장은 단순히 은퇴 시기를 늦추는 문제가 아니다. 충분한 논의와 사회적 합의가 전제돼야 한다. 전국 국공립대 교수 노동조합과 교육부는 정년 연장에 대한 교섭을 앞두고 있다. 장기적 안목의 연구..
Read more »
[사설] 행안부 공무직 정년 65세 연장, 민관 공론화 전기로행정안전부가 2300명에 이르는 공무직 정년을 최대 65세로 연장했다. ‘행정안전부 공무직 등에 관한 운영 규정’을 개정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현재 60세인 1964년생은 6...
Read more »
정년 65세 시대 신호탄…행안부 공무직 정년 5년 연장됐다행정안전부와 행안부 소속기관에서 일하는 공무직 노동자의 정년이 60세에서 최대 65세로 연장됐다. 포상휴가도 신설돼 최대 10일까지 부여하고, 육아를 위해 쓸 수 있는 시간은...
Read more »
“이제 100세 시대라는데”…기업 10곳 중 8곳은 정년 연장 ‘긍정적’생산가능인구(15∼64세) 감소와 노년층의 건강 상태 개선 등으로 정년 연장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는 가운데 기업 10곳 중 8곳은 정년 연장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1일 사람인이 기업 461곳을 대상으로 한 정년 연장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전체 응답 기업의 79.8%는 정년 연장에 ‘긍정적’이라고 답변했다. 그 이유로는 ‘숙
Read more »
기업 10곳 중 8곳 '정년 연장 긍정적'…적정 나이는 65.7세(서울=연합뉴스) 강태우 기자=생산가능인구(15∼64세) 감소와 노년층의 건강 상태 개선 등으로 정년 연장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는 가운데 기...
Read more »
여당, 정년연장 시동 '63세·65세 논의 돌입'국힘, 내달 첫 회의 열기로연금고갈 늦출 유력한 방안기업 10곳중 8곳도 긍정적'숙련 근로자'가 가장 큰 이유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