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 공무직 정년 연장에 이어 국공립대 교수들이 현재 65세인 정년을 67세로 연장해줄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계속고용 요구가 교수 사회로도 확산한 것인데 정년 연장은 단순히 은퇴 시기를 늦추는 문제가 아니다. 충분한 논의와 사회적 합의가 전제돼야 한다. 전국 국공립대 교수 노동조합과 교육부는 정년 연장에 대한 교섭을 앞두고 있다. 장기적 안목의 연구..
행정안전부 공무직 정년 연장에 이어 국공립대 교수들이 현재 65세인 정년을 67세로 연장해줄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계속고용 요구가 교수 사회로도 확산한 것인데 정년 연장은 단순히 은퇴 시기를 늦추는 문제가 아니다. 충분한 논의와 사회적 합의가 전제돼야 한다.
전국 국공립대 교수 노동조합과 교육부는 정년 연장에 대한 교섭을 앞두고 있다. 장기적 안목의 연구를 지원하고 석학이 후학을 길러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정년 연장이 필요하다는 것이 교수들 주장이다. 최근 10년간 노벨상 수상자의 평균 연령이 69세라는 점 등을 고려하면 교수들의 요구에는 합리적인 측면이 있다. 하지만 법정 정년의 일률적 연장은 해법이 될 수 없다. 한국연구재단에 따르면 4년제 대학 전체 교수의 22.1%를 차지하는 60대 이상 교수의 1인당 과제 건수는 1.34건으로 전 연령대 중 가장 낮다. 개인 차이는 있지만 새로운 기술 트렌드를 따라잡지 못하는 교수들도 많다.
국공립대 교수의 정년이 공무원이나 교육공무원보다 높은 65세라는 점도 젊은 층의 반발을 사고 있다. 전임 교수 정년이 연장되면 신규 채용은 줄어들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재정난을 겪고 있는 대학들 역시 정년 연장에 난색을 표하고 있어 정년 연장은 각 대학 자율에 맡겨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KAIST는 61~65세 전임 교수 중 교육·연구 업적이 탁월한 교수를 '정년 후 교수'로 계속 일하게 하는데, 이런 모델을 참고할 만하다. 급속한 고령화는 더 많은 분야에서의 고용 연장 요구로 이어질 것이다. 청년의 신규 일자리 감소에 따른 세대 갈등, 인건비 급증 등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성과급 중심의 임금 체계 개편, 근로시간 유연화 등 큰 틀의 노동개혁을 서둘러야 한다. 노인 연령 상향, 국민연금 수급 시기 조정 등 민감한 문제에 대한 논의도 미룰 수 없다. 무엇보다 정년 연장이 기득권의 '밥그릇 지키기'가 아니라는 점부터 분명히 해야 한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사설] 행안부 공무직 정년 65세 연장, 민관 공론화 전기로행정안전부가 2300명에 이르는 공무직 정년을 최대 65세로 연장했다. ‘행정안전부 공무직 등에 관한 운영 규정’을 개정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현재 60세인 1964년생은 6...
Read more »
“이제 100세 시대라는데”…기업 10곳 중 8곳은 정년 연장 ‘긍정적’생산가능인구(15∼64세) 감소와 노년층의 건강 상태 개선 등으로 정년 연장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는 가운데 기업 10곳 중 8곳은 정년 연장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1일 사람인이 기업 461곳을 대상으로 한 정년 연장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전체 응답 기업의 79.8%는 정년 연장에 ‘긍정적’이라고 답변했다. 그 이유로는 ‘숙
Read more »
기업 10곳 중 8곳 '정년 연장 긍정적'…적정 나이는 65.7세(서울=연합뉴스) 강태우 기자=생산가능인구(15∼64세) 감소와 노년층의 건강 상태 개선 등으로 정년 연장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는 가운데 기...
Read more »
정년 65세 시대 신호탄…행안부 공무직 정년 5년 연장됐다행정안전부와 행안부 소속기관에서 일하는 공무직 노동자의 정년이 60세에서 최대 65세로 연장됐다. 포상휴가도 신설돼 최대 10일까지 부여하고, 육아를 위해 쓸 수 있는 시간은...
Read more »
'때렸다고 다 아동학대 아냐' 부모 혼란 줄일 지침 공개경찰청 '가정·학교 내 아동학대 및 훈육 판단 지침서'아동학대 사회적 관심 늘며신고건수 3년새 75% 증가훈육 기준에 사회적 합의 없어정당 행위도 신고받기 일쑤교권추락 등 부작용 나오자경찰, 172건 사례 분석해 발표
Read more »
'1년 355일 연습…티샷 전엔 여전히 설레'9차 연장 접전 끝 정상 올라챔피언스투어 통산 16승째올해로 프로 40번째 시즌 맞아30년간 하루 9시간 이상 연습꾸준한 노력 덕분에 체력 좋아KPGA 레전드 클래식 우승 63세 김종덕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