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조성미 조승한 기자=정부가 인공지능(AI) 기술 경쟁의 주요 토대를 구축하기 위한 'AI 컴퓨팅 인프라 발전전략'을 이달 ...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3일 대전 유성구 한국기계연구원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2.3 [email protected]최근 이목을 끈 딥시크 사례가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고성능 AI 모델을 개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줬지만, AI 모델·서비스 개발을 위한 고성능 컴퓨팅 자원의 중요성은 여전히 간과할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이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달 각 장관에게 매달 핵심 과제 추진 상황 브리핑을 진행하라고 지시한 뒤 열린 첫 브리핑이다. 유 장관은 매월 대국민 보고를 한다는 계획이다.정부는 이에 앞선 7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최대 2조5천억원을 투입하는 국가 AI 컴퓨팅 센터 사업에 대한 설명회를 연다.
국가 AI 컴퓨팅 센터는 우선 엔비디아 등 외국산 첨단 그래픽처리장치를 우선 들여놓고 점진적으로 국산 AI 반도체 비율을 늘려 1엑사플롭스 연산량을 소화한다는 계획이다.우리나라는 유럽연합에 이어 세계 두 번째로 '인공지능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 등에 관한 기본법'을 제정했고,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인공지능 사용을 위한 연구 전담 조직 'AI 안전연구소'를 지난해 말 개소한 바 있다.이를 위해 과기정통부와 고용노동부는 5일 AI·SW 교육 강화를 위한 업무 협약을 맺는다. 과기정통부는 사이버 사기 대응 시스템과 사이버 위협 정보 데이터셋 20억건을 연계 분석한 '사이버 스파이더' 고도화를 추진하는 한편 대량 문자가 발송되기 전에 문자 내용에 스미싱 URL이 포함되어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엑스레이 시스템' 시범 도입도 추진한다.
양자 분야 주요 정책을 수립하는 기구인 민관합동 양자전략위원회를 다음 달 출범해 양자 기술 개발을 가속화하고, 전략기술 투자 강화 등 내용을 담은 내년도 국가 연구개발 사업 투자 방향도 발표한다.또 유 장관이 이달 중 미국을 방문해 미국 과학기술 비전 수립에 참여한 주요 인사와 만나고 매사추세츠공대 방문, 재미 한인 과학자 간담회 등도 진행해 한미 간 협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이공계 대학원생 인건비를 지원하는 연구생활장려금 사업 공모를 이달 중 착수하며 지난해 마련한 정부출연연구기관 혁신 방안에서 담기로 한 출연연 자율성 및 윤리경영 규정 개정도 이달 중 마무리한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트럼프의 ‘700조 원대 AI 프로젝트’에 찬물 뿌린 머스크… 이유는?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최대 규모 인공지능(AI) 인프라 투자 유치' 발표 하루 만에 공개적으
Read more »
트럼프, 5,000억 달러 AI 인프라 투자 계획 발표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취임 이튿날 5,000억 달러 규모의 인공지능(AI) 인프라 투자 계획을 발표하며 미국 경제 성장과 기술 우위를 강조했다. 오픈AI, 오러클, 소프트뱅크 등 주요 기업과 협력하여 새로운 AI 합작 업체 '스타게이트'를 설립하여 미국의 AI 인프라를 확충할 계획이다.
Read more »
과기정통부, 'AI 강국 도약' 약속했지만... 올해 첫 국제행사부터 불안올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정책 초점은 ‘인공지능(AI) 경쟁력 강화’다. AI 연구개발(R&D)을 위한 인프라·인력을 강화하고 산업 성장을
Read more »
美 AI 투자 확대 기대에 엔비디아·MS 상승세…국내선 반도체株 동반 하락美 스타게이트, AI 인프라 5천억불 투자 오픈AI·소프트뱅크·오라클 3사 손잡아 GPU 공급할 엔비디아가 최대 수혜주 올해부터 HBM 수요도 동반상승 전망 단 삼성전자·SK하이닉스는 하락 마감
Read more »
한국, AI 인재 유출 심각…교육 인프라 개선과 보상체계 개편 시급한미경제학회 정책포럼에서 한국 연구기관장들은 AI 인재 부족과 유출 문제의 심각성을 지적하며 교육 인프라 개선과 성과 중심 보상체계 개편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특히 경직된 노동시장과 저출생·고령화 문제가 AI 인재 확보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Read more »
내란, 왜 차단 못했나? - 언론의 역할과 권력 감시윤석열 대통령의 권력과 법치주의 위협, 내란 사태 예방 가능성, 언론의 역할과 권력 감시의 중요성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