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항공 사용·적립제휴 축소외항사는 마일리지 구매 가능항공 이용 소비자 불만 폭증상반기 피해구제신청 1158건
상반기 피해구제신청 1158건 중견기업 대표 A씨는 최근 예약한 미국편 항공권의 탑승 날짜를 늦추려다 황당한 일을 겪었다. 항공사에서 변경 수수료로 1000달러를 요구한 것이다. 그는"날짜가 하루 이틀 달라졌다고 변경 수수료로 1000달러를 내라는 게 말이 되느냐"며"등급이 높은 자리만 남아서 그렇다는 설명에 할 말을 잃었다"면서 분통을 터트렸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항공 수요가 급증하는 가운데 소비자 불만도 동시에 커지고 있다. 특히 항공 마일리지에 대한 불만이 늘고 있는데 마일리지가 빠르게 소멸되는 반면 사용처는 갈수록 줄고 있기 때문이다. 주요 피해 사례로는 항공권 취소 때 물어야 하는 과도한 위약금이 꼽혔다. 특히 여행사를 통해 항공권을 구매하거나 온라인에서 저가로 항공권을 샀을 때 취소 수수료가 지나치게 높게 책정되거나 아예 환불받기 어려운 경우도 많다. 항공권 가격의 절반이 넘는 비용을 취소 위약금으로 지불하는 사례도 있다.아시아나는 오는 9월부터 A380 기종의 비즈니스 스위트 마일리지 유료 좌석 업그레이드 서비스를 종료한다. 지난 5월에는 한국~미주·유럽 구간의 마일리지 공제율을 2만마일에서 2만2000마일로 올렸다.국적 항공사의 마일리지를 직접 구매하기 어렵다는 점도 소비자들의 불만이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는 OK캐쉬백 포인트를 통한 마일리지 충전이 가능하지만 접근성이 떨어진다.
아시아나 관계자는"제휴처 변경은 더욱 다양한 상품과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마일리지몰 개편 작업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마일리지로 구매할 수 있는 좌석을 산술적으로 줄이지 않았다"며"미·중 관계 악화로 운영 노선이 줄어들면서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미국을 가려는 손님들도 대한항공으로 몰리며 체감상 공급 부족이 심해진 영향이 있다"고 말했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집 있으면 손해' 0원에 집 판다…부동산 애물단지 된 日, 무슨 일우토 마사아키 일본 도쿄도시대학 교수는 '일본에서는 고령화가 높은 지역일수록 빈집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특정 빈집’ 소유자에게 지도·권고·명령 등의 단계적 조치가 취해질 수 있게 했는데, 만약 소유자가 이를 이행하지 못할 경우, 소유자는 철거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독일은 빈집을 방치부동산으로 규정해 건물 환경개선을 직권으로 강제하는 ‘근대화 명령’을 시행하고 있으며, 프랑스는 빈집소유자에게 세금을 부과하는 ‘빈집세’, 유휴부동산 징발을 허용하는 ‘주택징발제도’, 빈집 임대를 쉽게 한 ‘일시적 주택계약’ 등 다양한 제도를 통해 빈집 문제에 대응하고 있다.
Read more »
애써 눈돌렸던 나토, 對中 강경 전선 가세…'러 조력자' 첫 비판(서울=연합뉴스) 박성민 기자=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32개국이 10일(현지시간) 공동성명을 통해 중국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Read more »
“소멸될 마일리지 수만점, 쓸 방법이 없어요”...항공권 소비자 불만 역대급항공권 소비자 불만 코로나前 넘어 항공권 취소 때 위약금 과다청구 지연·결항 피해보상 미비로 갈등 마일리지 사용·적립처 축소까지 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 앞두고 정부의 선제적 소비자보호 시급
Read more »
“가전을 중국에 뺏기다니”…로봇청소기 시장 탈환 나서는 삼성·LG 전략은中 로보락 점유율 35% 넘지만 집안 해킹 우려에 소비자 불만 삼성, 보안 업데이트 5년 지원 LG, 개발부터 보안 위험 대비
Read more »
“성 콘텐츠가 예술이라니”…아동·청소년 SNS 중독 막겠다는 美·유럽뉴욕주, 10대 SNS 사용 제한 콘텐츠 이용 부모 동의 필수 유럽도 알고리즘 통제 나서 스마트폰 연령제한도 검토 머스크 ‘엑스’ 성인물 허용 “합의된 性 콘텐츠는 예술”
Read more »
고물가에 지친 美 소비자들, 제품값 올린 대형 브랜드 버리고 ‘환승’맥도날드, 스타벅스 등 줄줄이 가격 올리자 美 소비자, 외식 줄이고 식료품도 적게 구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