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주=1천700개의 섬으로 이뤄진 인도네시아는 세계 4위 인구 대국(2억8천만명)이자 동남아시아에서 경제 규모가 가장 큰 국가입니다...
손현규 기자="대학 선배들은 한국 회사에 많이 취업했습니다. 저도 한국 방송사에 PD로 입사하는 게 꿈입니다."그는 자바섬에 있는 수도 자카르타에서 차량으로 1시간 거리인 데폭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자바인 특유의 밝은 표정으로"안녕하세요"라며 먼저 고개를 숙였다.당시 고등학교 2학년이던 그는 학교 수업이 모두 온라인으로 진행되고 외출도 제대로 하지 못해 집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한국 드라마와 예능에 빠졌다.라피씨는"코로나19로 심심할 때 아이유와 여진구 주연의 한국 드라마 '호텔 델루나'를 처음 보면서 한국 예능 프로그램까지 즐겨 보게 됐다"며"한국어 학원은 다니지 않고 유튜브를 보면서 독학했다"고 말했다.
이어"한국어는 인도네시아어와 어순이 다르고 한자어가 많아 처음 배울 때는 어려웠다"면서도"인도네시아어처럼 높임말과 반말이 있어 상대방에 따라 쓰는 말을 이해하기는 쉬웠다"고 덧붙였다.라피씨는"한국 영화 '친구'를 보면서 경상도 사투리에 관심이 생겼다"며"틈틈이 통역 아르바이르를 하면서 논문을 쓰기 위한 준비를 많이 하고 있다"고 웃었다.인도네시아대에 이어 대학평가 2위인 국립 가자마다대에서도 한국어문화학과가 인문학부 소속 11개 학과 가운데 경쟁률이 세 손가락 안에 꼽힐 정도로 인기가 많다.학과 신설 초기에는 현지 고등학교 교장과 교사들을 초청해 입학 설명회를 열어야 할 정도로 신입생을 유치하는 데 애를 먹었다.
가자마다대에서 한국어를 전공한 뒤 경북대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은 리오 한국어문화학과 교수는"20년 전에는 다들 '한국어를 공부한다'고 하면 '그걸 왜 배우냐'며 한심하게 생각했다"고 떠올렸다.수라이 아궁 누그로호 가자마자대 한국어문화학과 교수는"매년 신입생 70명을 뽑고 있고, 현재 재학생은 277명"이라며"졸업 후 취업률이 높아 인기가 많은데 올해 경쟁률은 37대 1"이라고 설명했다.전공수업으로 기초 한국어와 한국어 회화뿐만 아니라 한국 현대사, 한국문학, K-팝 문화 등도 함께 배운다.강의실 앞 큰 스크린에는 '내일 비가 온다는데 경기 취소되지 않을까요? 비가 오든지 눈이 오든지 경기 일정은 바뀌지 않을 거예요.'라는 문장이 적혀 있었다. 학생들은 알피 교수의 강의를 들으며 모둠을 나눠 서로 회화 연습을 했다.
이어"학과 개설 초기부터 지금까지 20여년 동안 한국국제협력단과 주인도네시아 한국대사관 등으로부터 많은 지원을 받았다"며"이제는 외부 지원보다는 우리 학과 교수와 학생들이 힘을 합쳐 많은 한국어과 교수를 양성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여보, 그냥 포기할까봐” 서울 아파트 청약 ‘하늘의 별따기’…경쟁률 작년의 3배서울 평균 경쟁률 148.87대 1 인기지역 500대 1 부지기수 공급부족 불안에 수요자 몰려
Read more »
[인도네시아 속 한국] ①도요타 아성에 도전한 현대차[※편집자 주=1천700개의 섬으로 이뤄진 인도네시아는 세계 4위 인구 대국(2억8천만명)이자 동남아시아에서 경제 규모가 가장 큰 국가입니다...
Read more »
“초등교사 인기 떨어졌다니 이때다”...전국 교대 수시 경쟁률, 5년 새 최고교권침해 등에 최근 선호도 하락 합격 기대심리에 수험생 몰린 듯
Read more »
“포기할까? 당첨되기 정말 힘들다”…올 여름 서울 아파트 청약 경쟁률 134대 17월 래미안 원펜타스 527.3대 1 최고 경쟁률 분양가 상승, 공급 감소 등으로 청약 열기 지속
Read more »
韓국경일행사서 인니前대통령 아들 '현빈-손예진 커플과 비교돼'(자카르타=연합뉴스) 박의래 특파원=수실로 밤방 유도요노 전 인도네시아 대통령의 아들이자 현 농지공간기획장관이 주인도네시아 한국 대사관이 주...
Read more »
2025학년도 수시 서울-지방 경쟁률 격차 12.75대 1…5년새 최고(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2025학년도 수시모집에서 서울 및 경인권과 지방권 대학 간 경쟁률 격차가 최근 5년 새 가장 크게 벌어졌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