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해도 일과 가정의 양립이 어렵고, 자녀가 행복한 사회 환경에서 성장하는 것을 기대할 수 없다고 생각하다 보니 출산을 더 기피한다. 예를 들면 독일의 가족정책을 보면 4대 목표는 가족의 경제적 안정과 사회 참여, 일·가정 양립, 자녀의 안녕과 지원, 자녀 소망을 실현할 수 있는 사회환경 조성이다. 최근 한국사회의 미래를 걱정하는 일부 기업의 출산장려금 지원 소식에 많은 국민이 환호하지만, 일·가정 양립을 실현하기 위한 기업의 적극적 참여가 출산장려금보다 출산율 회복에 더 중요하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합계출산율’ 0.72명이 충격을 주고 있다. 특히 지난해 4분기 출산율은 0.65명으로 0.7명 선이 처음 무너졌고, 지난해 출생아 수는 23만명으로 급감했다. 2025년 출산율 전망치를 0.65명으로 발표하면서 초저출산 시대가 상수가 되고 있다.
지금 한국사회의 젊은 세대는 개인 행복을 중시하도록 가치관이 변하고 있다. 경제적 어려움마저 겹치면서 결혼을 늦추거나 포기하는 청년이 늘고 있다. 결혼해도 일과 가정의 양립이 어렵고, 자녀가 행복한 사회 환경에서 성장하는 것을 기대할 수 없다고 생각하다 보니 출산을 더 기피한다. 그동안 노동시장과 주택시장, 교육 환경이 악화한 사실을 고려하면 최근의 초저출산 현상이 놀라운 일은 아니다. 안타깝지만 출산율 하락을 단기간에 반등시킬 묘수는 사실상 없다. 지방자치단체의 출산 지원금 같은 현금 살포 정책의 효과도 제한적이다. 끝없는 출산율 하락을 반등시키려면 출산 친화적 사회를 구축하고 젊은 세대의 출산에 대한 인식이 변하도록 저출산 대책의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
예를 들면 독일의 가족정책을 보면 4대 목표는 가족의 경제적 안정과 사회 참여, 일·가정 양립, 자녀의 안녕과 지원, 자녀 소망을 실현할 수 있는 사회환경 조성이다. 가족 행복에 중요한 경제적 안정, 주거 안정, 차별 해소 및 자녀 행복 증진을 통해 출산을 간접적으로 유인한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시론] 우크라이나 전쟁이 일깨워준 냉혹한 국제정치우크라이나 국민은 핵을 보유한 세계 2위 군사대국인 러시아의 침략을 막아야 하는 불가능에 가까운 상황에서도 미국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유럽연합(EU)의 군사적 지원과 대러 경제제재 등의 도움으로 버텨왔다. 지난 2년간 우크라이나 전쟁은 가뜩이나 코로나19 등으로 취약성을 노출했던 전 세계 공급망에 큰 타격을 줬다. 하지만 한국 정부가 미국과 유럽 등 서방 국가 주도의 대러 제재에 동참하고 러시아가 이에 보복하는 과정에서 큰 타격을 봤다.
Read more »
파업 대신 '사직'...복귀 명령엔 '로그인' 근무로 꼼수[앵커]전공의들이 파업 형식이 아니라 일제히 사직이라는 집단행동에 나선 이유는 업무개시명령을 피하겠다는 생각이 깔려있습니다.정부는 집단 사직도 불법이...
Read more »
[인터뷰] ‘강남 닥터’ 강청희가 짚은 의대 증원 진짜 문제점...“의협, 비겁하다” 쓴소리 이유는의협 상근부회장 출신이 제안하는 의정갈등 해결책...“무모한 힘겨루기, 파업으로는 국민에게 버림받아”
Read more »
임윤찬, 11분48초에 틀렸다? 천만에, 베토벤식 폭탄 던졌다'베토벤의 연주가 압도적이었던 이유는 그의 연주가 바다와 같은 파동과 깊이를 표현했던 반면, 다른 음악가의 연주는 시냇물이 흐르는 것처럼 들려서였다. 2019년 통영에서 연주한 베토벤 협주곡 3번의 마지막 악장, 그중에서도 맨 끝부분입니다. 예를 들어 베토벤 협주곡 3번의 마지막 부분은 가장 베토벤다운 부분입니다. - 김호정의더클래식,더클래식,피아니스트임윤찬,소프로니츠키,피아니스트,임윤찬,베토벤
Read more »
1인 가구·무자녀 2인 가구가 더 잘살고 경제적으로 유리할까행복한 가정·경제적 여유, 충분히 병행가능
Read more »
'바지 찢기는 여성도'...적나라한 北 현실 [지금이뉴스]통일부가 6일 공개한 `북한 경제·사회 실태 보고서`에 실린 탈북민 심층면접 결과는 북한에서 여성의 장마당 참여가 증가하고 가정 내 지위가 상승하고 있음을 ...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