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춘추] 응답하라! GTX - 매일경제

South Africa News News

[매경춘추] 응답하라! GTX - 매일경제
South Africa Latest News,South Africa Headlines
  • 📰 maekyungsns
  • ⏱ Reading Time:
  • 60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27%
  • Publisher: 51%

몇 달 전 직원들의 대화를 곁에서 들었다. 동탄에 사는 직원은 아침 7시 전에 집을 나서야 가까스로 9시 전 서울 사무소에 도착한다고 했다. 분당에서 출퇴근하는 다른 직원 사정도 별반 다르지 않았다. 막상 서울로 이사하려 해도 자금 사정이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삼사십대 직원들의 고달픈 출퇴근 이야기를 듣고 있자니 안타깝기 그지없다. 치열하게 배우고 일하며..

몇 달 전 직원들의 대화를 곁에서 들었다. 동탄에 사는 직원은 아침 7시 전에 집을 나서야 가까스로 9시 전 서울 사무소에 도착한다고 했다. 분당에서 출퇴근하는 다른 직원 사정도 별반 다르지 않았다. 막상 서울로 이사하려 해도 자금 사정이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삼사십대 직원들의 고달픈 출퇴근 이야기를 듣고 있자니 안타깝기 그지없다. 치열하게 배우고 일하며, 열정을 쏟아낼 인생 정점기에 매일 왕복 4시간을 하릴없이 길에서 보내는 것이다. 하루 4시간, 무언가를 꾸준히 배우고 익히면 인생이 달라지고 나라가 달라질 수도 있는 소중한 시간과 에너지가 길 위로 버려지고 있다.

우리는 살기 좋은 장소에 대한 갈망을 품고 산다. 더 나은 자녀 교육을 위해, 출퇴근 시간을 줄이기 위해, 공원을 가까이하기 위해. 안타깝게도 많은 사람이 원하는 장소가 서울 몇 곳에 집중되어 진입 문턱이 높다. 살고 싶은 곳과 현실 사이의 간극에서 많은 생활 문제가 비롯되며, 간극이 클수록 사회는 분열되고 쪼개진다. 바로 이 문제에 대한 답을 찾는 것은 정책 입안자들과 실행자들이 감당해야 할 숙명이다. 필자는 20년이 넘는 세월을 교통 분야 연구자로 살았고, 또 다른 20년은 도시 정책을 만들며 살아왔다. 도시 정책과 교통 정책은 따로 움직이면 부작용이 커져 때론 안 하느니만 못한 결과를 낳지만, 합을 맞춰 같이 가면 삶의 문제에 답을 주는 최강의 비기가 된다. 두 분야에서 나름의 궤적을 쌓으며 살아왔던 것은 그야말로 행운이었고, '어떻게 사회에 보답할 것인가'를 늘 고민했다. 20년 전 경기도에 몸담고 있던 때에도 그랬다. 서울행 광역버스 대열에서 고단한 아침을 맞는 주민들을 보며, 당시 고안했던 정책이 서울과 경기도 간 통합환승요금 시스템이었다. 시민들의 반응이 좋았고, 이에 힘입어 서울과 경기도를 연결하는 보다 근본적인 방법을 찾기로 했다.

러시아에서 지하 84m에 건설한 대심도 지하철을 타보았으나 속도가 느렸다. 날렵하게 달리는 프랑스 광역급행철도도 살펴보았으나, 이를 수도권에 도입하기 위해서는 높은 사업비와 장기간의 공사 등 넘어야 할 장애물이 한두 가지가 아니었다. '대규모 승객이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수단을 최대한 신속하게 만들 방법이 없을까?' 가진 지식을 총동원하고 전문가와도 수십 차례 토론했다. 그 결과 도달한 해법이 바로 러시아 대심도와 프랑스 RER의 장점을 결합하여 지하 40m 이상 대심도에 건설하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Great Train Express였다. 오랜 산고 끝에 드디어 개통했다는 소식을 들으니 오래전 고민의 시간들이 주마등처럼 스친다.

지난주 동탄에 사는 직원이 순간속도가 180㎞까지 오르는 신기한 지하철을 타고 왔다며 자랑이다. 적어도 후손을 위해 좋은 일 한 가지는 했구나 싶어 안심된다. 살고 싶고 머물고 싶은 곳, 그곳에 닿는 더 빠른 길이 계획대로 착착 확충되어 각자의 꿈에 응답하기를, 갈망과 현실의 간극으로 인해 깊어졌던 곳곳의 골짜기가 평탄해지기를 소망한다.

We have summarized this news so that you can read it quickly. If you are interested in the news, you can read the full text here. Read more:

maekyungsns /  🏆 15. in KR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매경춘추] 대화의 원칙 - 매일경제[매경춘추] 대화의 원칙 - 매일경제인간의 삶은 사회적 관계의 연속이고, 사회적 관계의 핵심은 대화로 이루어진다. 즉, 대화는 인간 사회가 구성되고 유지되는 기초적 전제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중요한 대화에 일정한 원칙이 있다고 하니 관심이 가지 않을 수 없다. 영국의 언어철학자 폴 그라이스가 대화의 4가지 원칙을 천명한 것이 그것이다. 그가 말한 첫 번째 원칙은 양(量)의 원칙이다. 이는 ..
Read more »

[매경춘추] 꽃 - 매일경제[매경춘추] 꽃 - 매일경제꼬부라진 보라색 할미꽃, 고개 숙여 들여다보는 아이, 하트 모양이 되었다. 할미꽃 줄기에 솜털, 아이 목덜미엔 보솜. 아이와 할미꽃은 무슨 얘기 하고 있나 검지로 만져보며 보오오 이야기하는 아이. 가로수 아래 보도블록 틈, 노랑 하양 보라 그리고 작은 민들레. 봄은 틈에서 살그머니 올라오다가 터진다. 노랑 초록 분홍빛을 퐁퐁 터뜨린다. 5월, 한울공원 산책..
Read more »

[매경춘추] 소통의 미학 - 매일경제[매경춘추] 소통의 미학 - 매일경제이 작품에는 어떤 의미가 있나요? 많이들 묻는다. 일단 묻는다는 게 좋다. 호기심이 있다는 말이다. 호기심은 관심에서 비롯된다. 함께 사는 사회에서 관심은 희망이다. 서로를 알아갈 수 있기 때문이고, 그 과정 속에서 비로소 나와 너가 아닌 우리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예술은 그 희망의 시작이다. 예술이라는 행위는 답을 요구하지 않는다. 그저..
Read more »

[매경춘추] 사회 통합의 길 - 매일경제[매경춘추] 사회 통합의 길 - 매일경제산과 들, 거리에서 봄꽃들의 축제가 한창이다. 개나리, 진달래, 벚꽃, 철쭉 등 형형색색 봄의 전령사들이 자태를 뽐내고, 어느새 녹음으로 갈아입은 나무들이 싱그러운 계절을 자축한다. 따뜻한 햇살을 받으며 생장의 순환을 시작하는 자연 앞에서 그저 탄성만 나올 뿐이다. 이처럼 아름다운 풍경도 결국 혹독한 겨울을 견뎌낸 반전이니, 꽃길 안에 인고의 여정이 숨어 ..
Read more »

[매경춘추] 작은 실천의 힘 - 매일경제[매경춘추] 작은 실천의 힘 - 매일경제오는 4월 22일 월요일은 지구의 날이다. 환경오염 문제에 대한 심각성을 일깨우기 위해 제정된 이날은 다른 기념일처럼 정부나 국제기구가 아닌 민간의 움직임으로 시작해 전 세계적인 기념일로 발전했다는 점에서 더 큰 의미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09년부터 매년 지구의 날 전후 일주일을 기후변화주간으로 설정하고 전국 각지에서 소등행사와 함께 다양한 캠페인을 ..
Read more »

[매경춘추] 나의 부모님 - 매일경제[매경춘추] 나의 부모님 - 매일경제내가 어렸을 때 나와 동생들은 시장 가는 엄마를 따라간다고 떼썼다. 엄마는 집에서 동생 보면서 놀고 있으면 맛있는 것 많이 사오마라고 하셨다. 그러나 우리는 싫다고 했다. 따라가겠다고 했다. 엄마는 잠시 생각하시더니 '그래 가자'라고 하셨다. 우리 셋은 좋아라 하며 엄마를 졸졸 따라나섰다. 서로 엄마 손을 잡으려고 했다. 나는 맏이니까 엄마 손을 잡지 못했..
Read more »



Render Time: 2025-02-25 20:1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