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지속가능성' 공시기준글로벌 투자기관까지 관심기후위협 대응은 세계적 대세ESG공시는 국가·기업 경쟁력정부는 이행 로드맵 제시하고기업 법적부담 덜도록 지원을
기업 법적부담 덜도록 지원을 올해 4월 30일 한국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는 국내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의 공개 초안을 발표했다.이례적으로 글로벌 투자기관 17개사가 의견을 보냈다. 2200조원을 운용하며 한국 511개 회사에 27조원을 투자하는 노르웨이국부펀드, 한국 시장에 10조원 이상 투자한 네덜란드연기금과 캐나다연기금도 참여했다. 도도한 세계적 추세다.
지난주 부산 세계기후산업박람회에서 만난 파티 비롤 국제에너지기구 사무총장은 작년 9월 유엔총회에서 한국이 제안한 '재생에너지 외 원전과 수소 포함 고효율 무탄소에너지 활용' 방안을 지지했다. 에너지안보와 기후위기는 한국의 새 성장 기회이자 글로벌 경쟁력 강화의 발판이다. 환경 관련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은 기업이 물리적 위험과 전환 위험에 대해 전략을 세우고 위험과 기회를 식별해 지표와 목표를 관리하는 거버넌스를 구축해 투자자에게 공시를 요구한다. 산불로 보험사가 문을 닫고, 폭풍 조업 중단으로 조 단위 피해가 생긴다. 투자 관련 위험과 기회 공개는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과 직결된다.
국가도 마찬가지다. 2031~2049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없는 탄소중립기본법이 헌법 불합치라는 8월 29일 헌법재판소 결정을 보자. 국가는 전략을 수립해 에너지안보와 기후위기의 위험과 기회를 식별하고 온실가스 감축 목표와 이행 관리지침을 마련하는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이를 국민에게 공개해야 한다. 깨끗한 환경권은 기본적 인권이자 국가 신성장동력이며, 미래 국제 경쟁력의 핵심이다. 미래세대에게 과중한 부담을 전가하지 말고 지금 행동하라는 국민의 요구다.그래서 투자자의 자원 배분이란 시장 접근법, 국가적 전환-녹색금융 해법이 등장했다. 이에 필수적인 것이 기업의 지속가능성 정보, 특히 환경 공시다. 이는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 기업과 국가의 경쟁력을 결정할 기초다.
일각에서는 환경문제는 진보의 의제이며 보수 정부가 추진할 문제가 아니라며 정치 의제화한다. 그러나 시민운동 차원의 기후 운동이 아닌 금융과 기술로 환경문제를 극복하자는 것은 이명박 정부부터 보수의 입장이다. 따라서 기후 공시는 여야를 가릴 것 없는 공통의 국정 의제다.이는 기업의 보고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기후위기를 리스크 관리가 아니라 사업 기회 및 글로벌 경쟁력 강화 수단으로 재정립할 것이다. 한반도는 기후악당 자격 미달이고, 빠른 추격자 전략은 더 이상 선택지가 아니다. 공시가 있어야 정보가 있고, 정보가 있어야 투자와 성장이 따를 것이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자동안정장치' 연금 구원투수되나 민간 전문가 70% 이상이 '찬성'연금 지속가능성 확보 도움수급액 과도하게 줄 우려도
Read more »
[매경시평] 프랑스 총선, 이념보다 민생마크롱 극우부상 막으려 총선결과는 좌파연합과 동거정부정부 구심점 약화 예정 수순물가상승에 중산층이 분노설득·소통 부족 교훈삼아야
Read more »
모든 외국인근로자 산업안전 교육·격벽 등 안전시설 설치 1억 지원...화성 아리셀 산안법 65건 적발외국인근로자·소규모사업장 안전대책 재외동포 등도 산업안전 교육 의무화...법 개정 추진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10년만에 19% 인상
Read more »
[매경시평] 피터 드러커를 다시 생각한다그가 예견한 지식노동자 시대공장식 교육은 왜 그대로인가혁신보다 지대 갈망하는 사회인재를 잃어도 무심한 정부다시 날아오를 수 있을까
Read more »
與, 딥페이크 방지 특위 발족…토론회선 “실제 성착취물 준하게 형량 강화를”조은희, 딥페이크 토론회 개최 플랫폼 책임 강화 입법과제로 성착취물 유포시 삭제 의무화
Read more »
[매경시평] 저출생, 실효성 있는 대응이 필요하다결혼 출산 망설이는 청년에유연근무 가능한 일자리와질 높은 영유아 보육 제공가부장·경쟁 문화 바꾸고비혼출산 제도 변화도 필요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