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선전시 난산구에 위치한 DJI 본사에서 세계 1위 드론 업체인 DJI가 농업용 드론 'DJI T70'을 선보였다. DJI는 2006년 설립 이후 전 세계 드론 시장 점유율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카메라와 카메라 장비 시장 및 자율주행시스템 사업에도 진출하고 있다.
‘중국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선전시 난샨구에는 ‘천공의성’이라는 랜드마크 건물이 있다. 이곳은 세계 1위 드론 업체인 DJI 의 본사다. DJI 의 창업자인 왕타오 최고경영자가 오랜 기간 심혈을 기울여 설계한 건물로 유명하다.
‘차이나테크’의 선두주자로 꼽히는 DJI는 2006년 설립 이후 4년 만에 첫 번째 드론인 ‘에이스원’을 선보이며 드론 시장에 본격 뛰어들었다. 취미용 드론이 주를 이루던 포트폴리오는 어느 새 농업용을 포함한 산업용 드론으로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 DJI의 전 세계 드론 시장 점유율은 70% 이상을 웃돈다. 압도적인 업계 1위다. 내수보다 해외 수출이 훨씬 많고, 그 중에서도 북미 시장의 비중이 크다. 드론에 탑재된 카메라의 성능을 끌어올리기 위해 DJI는 2017년 180년 전통의 스웨덴 카메라 업체 ‘핫셀블라드’의 지분을 인수했다. 핫셀블라드는 ‘아폴로 11호’와 함께 달에 가서 인류 최초로 달의 표면을 찍은 카메라로 유명하다. 당시 필름만 회수됐을 뿐 카메라 12대는 여전히 달에 남겨져 있다. DJI는 핫셀블라드 카메라를 고급 사양 드론에 장착하고 있다. 최근에는 자율주행시스템 사업에도 뛰어들었다. 또 지난 4년간 로봇청소기를 개발하고 있으며, 이르면 내년에 첫 선을 보일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DJI 드론 농업용 드론 T70 연구 개발 국제 시장 기술력 자율주행시스템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중국 DJI, 전 세계 드론 시장 70% 차지…자율주행, 농업, 물류 등 다양한 분야 진출중국의 드론 기업 DJI가 세계 시장에 70%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선전시 난산구에 위치한 본사에서는 직원의 3분의 2가 연구개발 인력이다. DJI는 농업용 드론 'DJI T70'을 새롭게 출시했고, 이 외에도 건설, 물류 분야에서 활용되는 모델을 개발 중이다. 또한, 중국의 AI 기업인 '딥시크'는 '딥시크-R1'이라는 AI 모델을 개발해 미국 오픈AI 모델과 성능이 대등하다고 평가받고 있다.
Read more »
중국 에어쇼에서 공개된 ‘드론 잡는 무기’중국 최대 항공박람회인 주하이에어쇼에서 무인기(드론)를 무력화하는 무기가 화제를 모았다고 중국 관영매체 펑파이신문이 18일 보도했다. 보도...
Read more »
'군사 작전에 큰 도움 확신' 중동 첫 수출 국산 조류형 드론 '세이런'2019년에 설립된 5년차 국방 스타트업 '팔월삼일'이 제작한 조류형 드론 '세이런'이 첫 해외 수출에 성공했다. 지난해 '서울 ADEX
Read more »
머리 위 드론, 발밑 지뢰…'인간 사파리' 신세된 헤르손 주민들(서울=연합뉴스) 김용래 기자=우크라이나 남부 도시 헤르손의 주민들이 러시아군의 무차별적인 드론 공격과 대인지뢰 살포로 심각한 스트레스에 시...
Read more »
'자연이 만든 예술 작품이 코앞에... 늦게 알았다'드론·사진 공모전 '가로림만의 갯벌' 대상 시상식과 전시회가 지난 19일 충남도에서 개최됐다. 드론 활용 활성화 및 도민 저변 확산을 위해 전 국민 대상으로 실시한 '2024 제3회 드론 영상·사진 공모전'에서 생명의 보고 가로림만 갯벌의 신비로움을 한 장의 사진에 담은 '가로림만의 갯벌'을 출품한 최차열(충남 서산,...
Read more »
김정은 '자폭드론 대량생산' 지시…러시아 손잡고 드론전 강국 꿈꾸나북한군 파병을 통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쌓은 드론 실전 경험과 자체 생산능력을 결합해 유사시 한국을 향해 물량공세를 퍼붓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북한이 지난 8월과 이날 공개한 드론 타격 장면을 보면 모자이크 처리 때문에 구체적 형상은 확인이 어렵지만 러시아제 란셋-3, 이란제 샤헤드와 유사하다는 데 무게가 실린다. 정부도 북한군 파병의 주요 목적 중 하나가 드론 전술 습득일 수 있다고 보고 관련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