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미국과의 무역에서 역대 최대 수출 성과를 거두었지만, 이는 미국의 통상 압력을 유발할 수 있어 민관 차원의 적극적 대응이 필요하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 (CG)글로벌 기업의 각축장인 거대 시장 미국에서 치열한 경쟁을 뚫고 이뤄낸 수출로 거둔 흑자 성과다.이에 역대급 대미 무역흑자 성과가 자칫 미국의 통상 압력을 유발할 수 있어 민관 차원의 적극적 대응이 중요해졌다는 지적이 나온다.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24년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대미 수출은 1천278억달러로 전년 대비 10.5% 증가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한국의 대미 수출은 1984년 처음 100억달러를 넘겼다. 이어 1988년 200억달러, 2000년 300억달러, 2011년 500억달러를 차례로 돌파한 데 이어 2022년에는 1천억달러 시대를 열었다.2024년 대미 수출을 이끈 일등 공신은 자동차다. 전년 대비 8% 증가한 342억달러를 기록해 전체 대미 수출의 26.8%를 담당했다. 자동차는 한국의 전체 대미 흑자의 약 60%를 차지한다.
이어 일반기계가 전년보다 4% 증가한 149억달러(전체 대미 수출의 11.7%), 반도체가 123% 증가한 103억달러(8.1%) 등으로 기여했다.반도체 수출 급증은 미국 빅테크들이 인공지능(AI) 열풍에 서버 투자를 확대한 영향으로 보인다.한국은 대미 무역에서 1998년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흑자를 이어오고 있다. 지난해 한국의 10대 교역국·지역 가운데 가장 큰 흑자를 안긴 곳은 미국이었다. 이어 아세안(352억달러), 베트남(299억달러), 인도(123억달러), 유럽연합(EU·33억달러), 독립국가연합(CIS·28억달러), 중남미(13억달러) 등 순으로 흑자 규모가 컸다.◇ '무역수지 균형' 위해 美 에너지 수입 확대 검토…'투자 유발형 수출' 설명저가 제품 공세로 시장을 교란한다는 명문으로 중국산 수입품에는 60%까지 고율 관세를 매기고, 여타국 상품에도 10∼20%의 보편관세를 매기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미국 정부 통계에 따르면 한국은 2021년까지 미국의 14위 적자국이었지만, 이후 꾸준히 순위가 올라 작년 1∼8월 기준으로는 중국, 멕시코, 베트남, 독일, 아일랜드, 대만, 일본에 이어 8위까지 올라왔다.한국이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했지만, 이 역시 트럼프 신정부가 추진하는 보편관세를 막을 방패가 되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큰 상황에서 적극적으로 대미 무역수지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높다.정부도 무역수지 관리를 위해 미국 에너지 수입 확대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은 지난해 액화천연가스(LNG)를 360억달러(약 50조원) 수입한 세계 3대 LNG 수입국이다. 이 같은 구매력을 활용해 LNG와 원유 등 에너지 도입선을 미국으로 일부 돌리면 추가적인 경제 부담 없이도 대미 무역수지 균형을 도모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2016년 한국의 미국산 원유·가스 수입 비중은 각각 0.2%, 0.1%에 불과했지만, 트럼프 전 대통령 재임기(2017∼2021년) 미국산 원유·가스 도입 비중을 높여 2023년 이 비중은 각각 13.5%, 11.6%까지 높아졌다. 안덕근 산업부 장관도 지난달 연합뉴스 인터뷰에서'가격 측면에서 중동 에너지 자원보다 (미국산이) 훨씬 더 유리해 공사나 민간에서 충분히 (수입을) 확대할 여지가 있지 않나 생각한다'며'미국 수입 확대 필요성이 있어 우리 기업들은 사업 전략의 측면에서, 산업부의 입장에선 정책 측면에서 건설적으로 활용할 여지를 키우려 한다'고 말했다.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등 혜택을 받기 위해 한국 기업들이 미국 현지에 공장을 짓는 등 대규모 투자에 나섰는데, 이에 따른 기계·설비 반입 등도 수출로 잡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작년 상반기 신규 공장 건설과 관련된 기타 기계류 대미 수출이 15억달러로 작년보다 239.4% 크게 증가했다. 이는 투자 유발형 대미 수출이 늘어난 지표로 해석할 수 있다
대미 무역흑자 수출 미국 한국 무역수지 에너지 수입 투자 유발형 수출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IMF “한국, 트럼프 신정부 ‘보호관세’ 대상 가능성”대외연-IMF 공동 컨퍼런스 IMF 아태 수석 “대미 무역흑자 높은 亞국가들 트럼프 관세정책 범위” 韓 대미 무역흑자 138억→445억弗
Read more »
“돼지갈비 몇 점 안먹었는데 7만원”…탄핵 정국에 물가 우려 더 커져정치 불확실성에 환율↑ 수입물가 상승 압력↑ 밥상 물가 자극 우려↑
Read more »
[2025전망] 탄핵 충격에 트럼프 리스크 덮쳐…저성장 경고등(서울=연합뉴스) 민경락 한지훈 기자=새해 한국 경제는 국가 리더십 공백과 통상 환경 급변이라는 대내외 악재를 만나 사상 초유의 고빗길로 접...
Read more »
윤석열 대통령, 계엄 선포로 한국 정치에 엄청난 압력윤석열 대통령의 계엄 선포가 한국 정치에 엄청난 압력을 가하고 있다. 장덕진 교수는 여야의 극한 대립과 사법 리스크로 인해 이재명 대표가 초조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계엄 선포는 윤 대통령의 정치적 약점을 드러내며, 한국 정치와 제도의 누적된 문제들이 다시 주목받았다.
Read more »
美배터리소재 수입시장서 한국 1위…'대미 협상력 중요해져'(세종=연합뉴스) 차대운 기자=한국이 미국의 배터리 소재 수입 시장에서 1위 자리를 굳힌 것으로 나타났다.
Read more »
신지애, 한국 여자골프의 살아있는 전설 65승 달성신지애 선수는 한국, 미국, 일본 등에서 개인 통산 65승을 기록하며 여전히 지지 않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그녀는 매년 스윙과 퍼트 등을 교정하며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