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1기 당시엔 제약 급등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과거 대선에서 유리한 국면을 맞았을 때 국내 바이오, 헬스케어와 정보기술 관련주가 좋은 주가 흐름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동차주, 기계장비주 등 수출 위주 기업은 약세를 나타냈다.
1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과거 트럼프 집권 1년 차인 2017년 가장 많이 오른 국내 주식은 901.46% 상승한 우리기술투자였다. 2위는 795.65% 오른 신라젠, 3위는 668.97% 상승한 나노메딕스로 나타났다. 당시 업비트 거래소 신설 소식에 두나무 지분 투자를 이유로 급등했던 우리기술투자를 제외하면 2개 모두 바이오주다. 코스피만 놓고 보면 나노메딕스, 코스모화학, 암니스 순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시 당선 공약으로 의약품 가격의 자유시장 경쟁을 내세웠기 때문이다. 국내 제약주의 미국 시장 진출 가능성이 크게 주목받았다.
섹터별 추이를 보기 위해 KRX지수 상승률을 참고하면 트럼프 정부 1년 차에는 'KRX 헬스케어'가 90.11% 뛰면서 가장 많이 올랐다. 'KRX 정보기술'이 44.84%, 'KRX 미디어&엔터테인먼트'가 34.71% 상승하며 뒤를 이었다. 바이오, 헬스케어와 IT 섹터는 반대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불리한 것으로 판단될 때 주가가 크게 떨어졌다. 2016년 7월 15일부터 대선이 종료된 그해 11월 8일까지 KRX지수 추이를 살펴보면 셀트리온·한미약품·메디톡스 등으로 구성된 'KRX 헬스케어'가 22.08% 하락했다.증권가는 이번 대선 국면에서 원전, IT, 방산주 등이 강세를 보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하인환 KB증권 연구원은"트럼프 전 대통령이 미국 우선주의를 내세워 기업들의 미국 내 생산시설 투자 확대 등이 예상되고, 미국의 국방 원조도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친환경 정책 축소 전망에…2차전지株 울상트럼프 1기 당시엔 제약 급등
Read more »
“일본처럼 고령자 고용 의무 부과하자”…올해부터 이들 직장 떠난다는데2차 베이비부머 954만명 올해부터 은퇴연령 진입 2034년까지 연간 경제성장률 0.38%포인트 하락 요인으로 계속근로 등 정책 지원 시 성장률 하락폭 상당폭 축소 청년세대 등 사회적 합의 필요
Read more »
한은 “2차 베이비부머 세대 활용하면 경제성장률 최대 0.22%P 상승”1955~1963년생 은퇴로 연간 성장률 0.38%P 내려갈 듯 고용연장·연금개선 등 정책 지원 시 성장률 하락 폭 축소
Read more »
경기도, 2033년까지 모든 시내버스 ‘친환경 차량’ 전환경기도가 2033년까지 경기지역을 다니는 모든 시내버스를 친환경 차량으로 바꾼다. 경기도는 15일 ‘경기 RE100’ 정책의 하나로 이런 내용의 ‘친환경 버스전환을 통한 탄소...
Read more »
다시 시동 건 테슬라…2차전지株 '반짝'2분기 車인도량 예상 뛰어넘자테슬라 주가 하루만에 10% 쑥에코프로·LG엔솔 동반 급등전기차 부진에 제품수요 줄어주가 지속 상승은 의견 갈려
Read more »
“트럼프때 오른 종목 뭐였더라”…바이든 토론 망치자 ‘이 종목’ 15% 급락화석연료 확대 주장한 트럼프 친환경 보조금 폐기 가능성 퍼스트솔라 올 최대폭 하락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