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율 저하, 경제 성장 둔화…생산성과 근로시간 증가 필요

경제 News

출산율 저하, 경제 성장 둔화…생산성과 근로시간 증가 필요
출산율경제 성장생산성
  • 📰 yonhaptweet
  • ⏱ Reading Time:
  • 54 sec. here
  • 7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42%
  • Publisher: 51%

글로벌 컨설팅업체 맥킨지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선진국 대부분이 출산율 저하로 경제 성장이 더뎌지고 있으며, 이 격차를 메우기 위해서는 생산성을 높이고 근로 시간도 더 늘려야 한다고 분석했습니다. 특히 합계출산율이 세계에서 가장 낮은 한국은 생산성 증가와 근로 시간 확대 노력이 더욱 중요합니다.

전 세계 선진국 대부분이 출산율 저하로 경제 성장 이 더뎌지고 있으며, 이 격차를 메우기 위해서는 생산성 을 높이고 근로 시간 도 더 늘려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15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글로벌 컨설팅업체 맥킨지는 이날 발간한 ' 출산율 감소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조사보고서에서 미국, 영국, 독일, 일본 등 주요 선진국들이 모두 1990년대 이후의 생활 수준 성장세를 유지하려면 지난 10년간에 비해 생산성 이 두배 이상 빠르게 증가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또 1997년부터 2023년까지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앞으로도 지속하려면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경우 생산성 증가율이 향후 30년 동안 세 배로, 스페인의 경우 지금부터 2050년까지 4배로 증가해야 한다고 보고서는 봤다.

한국의 경우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 수인 합계출산율이 사실상 세계에서 가장 낮기 때문에 성장세를 따라잡기 위한 노력도 다른 나라들에 비해 더 커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2023년 0.72명까지 떨어졌다. 지난해 0.74명으로 반등할 것이란 맥킨지 보고서는 세계 26개 국가의 경우 인구가 오는 2100년까지 3분의 1 이상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면서 특히 한국과 중국, 폴란드 등은 절반 이상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프랑스, 영국, 미국 등 일부 국가는 합계출산율이 인구 규모를 장기적으로 유지하는 데 필요한 대체출산율 2.1 명을 밑돌지만 순이민이 많아 2100년까지 인구 증가가 지속될 것으로 봤다. 보고서 집필에 참여한 맥킨지 연구소의 크리스 브래들리 이사는'(각국의 저출산으로) 젊은이들은 낮은 경제 성장률을 물려받게 되고 고령 은퇴자의 경제적 비용도 더 많이 부담하게 될 것'이라면서'반면에 세대 간 이어지던 부의 전이 현상은 약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보고서는 각국 정부가 주택 및 육아 비용 상승과 젊은 층의 연애 감소와 같은 사회적 요인으로 인해 인구 위기를 겪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현재 세계 인구의 3분의 2는 합계출산율이 2.1명 미만인 국가에 살고 있으며, 한국과 일본, 이탈리아, 그리스 등 여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과 중국, 중부와 동부 유럽 등의 국가 대부분은 이미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브래들리 이사는'현재의 경제 시스템과 사회 계약은 지난 수십 년에 걸쳐 인구 증가, 특히 경제 성장을 주도하는 노동 연령 인구의 증가에 맞춰져 왔다'면서'저출생 고착화로 이 계산법은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한가지 수단만으로 이런 인구통계학적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다'면서'더 많은 젊은이가 직장에 투입되어야 하며, 근로 시간 증가, 생산성 향상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덧붙였다.맥킨지는 또 일본은 65세 이상 인구의 노동 참여율이 26%로, 미국 19%, 프랑스 4%에 비해 높다면서 많은 국가가 일본의 사례를 따라 사람들이 더 늦은 나이까지 일하도록 장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We have summarized this news so that you can read it quickly. If you are interested in the news, you can read the full text here. Read more:

yonhaptweet /  🏆 17. in KR

출산율 경제 성장 생산성 근로 시간 맥킨지 보고서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고령층 부채 압박, 저성장 속 빚 부담 심화고령층 부채 압박, 저성장 속 빚 부담 심화고령층 대출 비중 증가, 경제 위기 시 연체 위험 증가
Read more »

새해 불안, '계엄' 물음표 흔든 경제새해 불안, '계엄' 물음표 흔든 경제박정호 명지대 특임교수는 경제 불안 요소로 계엄 이외에도 주요 수출국대부분의 경제 성장률 저하, 세계적 리스크(IMF, 글로벌 금융위기, 코로나) 등을 꼽았다
Read more »

한국 금융지주, 올해 경제 성장률 1% 중후반 전망…수출·내수 둔화 우려한국 금융지주, 올해 경제 성장률 1% 중후반 전망…수출·내수 둔화 우려KB,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 금융지주 회장들은 연합뉴스 신년 인터뷰에서 올해 경제 성장률 1% 중후반 전망,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으로 수출 둔화, 정치 불안으로 내수 회복 제한
Read more »

중국 장기 국채 금리 역대 최저치! '디플레이션' 공포 심화중국 장기 국채 금리 역대 최저치! '디플레이션' 공포 심화중국의 장기 국채 금리가 사상 최저치를 기록하며 디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중국 경제 둔화 우려는 한국 경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Read more »

약 0.72명의 출산율, 섹스리스 부부 증가 の裏 に약 0.72명의 출산율, 섹스리스 부부 증가 の裏 に낮은 출산율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여성성의학 관점에서 성교통 질환이 섹스리스 부부 증가와 연관되어 있다.
Read more »

북한군 쿠르스크 전선에서 사기 저하 및 사상자 증가북한군 쿠르스크 전선에서 사기 저하 및 사상자 증가러시아 서부 쿠르스크 전선에 파병된 북한군의 사기 저하와 사상자 증가가 심각해지고 있다. 우크라이나 현지 매체는 북한군 병사들의 음주 문제와 무인기 공격으로 인한 스트레스로 인해 사기가 급격히 떨어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Read more »



Render Time: 2025-02-22 00:4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