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한강 작가의 노벨 문학상 수상을 계기로, 헬로 페어런츠(hello! Parents) '책 읽는 법' 주제를 다룬 책들과 독서법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게 된다.
소설가 한강 작가가 노벨 문학상을 받았습니다. 그의 책을 다 읽진 않았지만, 몇 해 전까지 여러 차례 읽은 책은 있습니다. 그런데 책 이름이 생각나지 않는 거예요. 내용도 조각조각 기억 날 뿐이고요. 찬찬히 기억을 더듬어 보니, 누가 온다는 식의 제목이 떠오르더라고요. 맞아요. 『소년이 온다』였습니다. 재독, 삼독을 해도 기억나지 않는다니, 이제 기록할 수밖에 없다는 생각에 이르렀습니다. 그런데 어떻게 기록해야 오래 기억할 수 있을까요? 헬로 페어런츠가 ‘책 읽는 법’을 주제로 4권의 책을 읽어드리고 있어요. 『 한번 읽은 책은 절대 잊지 않는다 』에서 그 답을 찾아보겠습니다.② “속독은 사기, 천천히 읽고 또 읽어라” 히라노 게이치로 『책을 읽는 방법』이가영 디자이너
📚 『한번 읽은 책은 절대 잊지 않는다』는 어떤 책인가? 책을 쓴 허필우 작가는 만 58세 공무원입니다. 30대 중반까지 책을 거의 읽지 않은 사람이죠. 그래서 학창시절 아는 것이 많지 않았고, 자기주장을 펼치지 못했죠. 그렇다고 고민하거나 괴로워하진 않았어요. 정확히 말하면 개의치 않았죠. 대학에 진학할 땐 고등학교 담임선생님이 전공을 골라줬고, 취업 당시 진로는 당시 애인이었던 아내가 사실상 추천했죠. 이미 공무원이던 아내를 보고 9급 공무원 시험에 도전했으니까요. 시험 준비 1년6개월 만에 합격해 주민센터에서 일을 시작했습니다.
책을 안 읽어도 큰 문제 없던 그의 삶이 삐걱거린 건 바로 이때부터입니다. 상사가 시키는 걸 제대로 해내지 못해 늘 질책을 받았어요. 회의 자료를 써 결재를 올리면 대부분 반려됐죠. 수동적인 태도로 일한다고 지적 받기 일쑤였습니다. 회식에선 늘 말석에 앉았어요. 이런 일이 반복될수록 주눅이 들었고, 자신감이 없어질수록 가족과도 자주 다퉜습니다. 인생은 우울해졌고요. 그랬던 그의 인생이 거짓말처럼 달라졌습니다. 6급, 5급 승진에서 동기들을 앞서더니 지난해 4급으로 승진했어요. 대학원에 진학해 박사 학위를 취득했고요. 겸임교수로서 대학원 강단에 서기도 했습니다. 비결은 바로 ‘독서’였습니다. “생각 없이 살지 말라”는 아내의 핀잔에 무작정 책을 읽기 시작한 게 계기였죠. 그렇게 20년간 1000권에 달하는 책을 읽었고, 그의 삶은 완벽히 바뀌었습니다.
Books 독서법 책읽는 방법 노벨문학상 소설가 한강 Hello! Parents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홀씨처럼 상암벌 날아오른 아이유 '힘닿는 데까지 노래할래요'(서울=연합뉴스) 이태수 기자='오늘이 가수 인생에서 단독 콘서트 100회째래요. (공연을) 몇백 번 더해야 가수 인생이 끝날지 모르겠지만,...
Read more »
[인스피아] 🎓노벨문학상: 세상에서 제일 ‘낯선’ 세계문학을 읽는다는 것노벨문학상에 대한 이야기
Read more »
감사원장·보수언론이 만든 ‘탈원전’ 공무원의 수난“이렇게 감사 저항이 심한 감사는 내가 재임하는 동안 처음 있는 일이다.” 2020년 10월15일 국회 국정감사에 출석한 최재형 감사원장은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설전을 벌이다 불쑥 이런 말을 꺼냈다. 박 의원은 이날 ‘월성원전 1호기 폐쇄’ 감사의 문제점을 집중적
Read more »
퇴직 공무원의 만취 운전이 부른 '스쿨존 참극''초등학교나 유치원 정문에서 반경 300m 이내 주통학로 지역. 안전표지판·속도측정기·신호기 설치. 자동차의 정차나 주차를 금지하고, 운행속도
Read more »
김 여사, 주가 조작 관련 '7초 매도 의혹' 등 해명 필요[앵커]이 사안 취재하고 있는 법조팀 박병현 기자와 더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검찰 수심위가 최재영 목사에 '기소 권고'를 했는데도, 검찰이 이를 뒤집을 가능성이 크다는 건 부담이 그만큼 크기 때문이라고 봐야
Read more »
하정우 “그림 그리며 들은 이야기 98%가 안좋은 이야기였지만···죽기 전까지 계속 그릴 것”배우 하정우가 학고재에서 단독 전시를 연다. 학고재는 1988년 개관한 국내 주요 갤러리다. ‘옛것을 배워 새것을 만든다’는 학고창신(學古創新)의 개관 이념에 맞게, 전통과 ...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