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주주 이익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자본시장법 개정안을 발표했습니다. 대상은 상장 기업으로 한정되며, 4가지 행위에 대해 주주 이익 보호를 강화하는 방침입니다. 그러나 이 개정안은 재계의 요구에 굴복한 것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100만개가 넘는 모든 법인이 아니라, 2400여개의 주식시장 상장 기업 으로 대상을 좁히는 것이다. 내용도 기업의 합병과 분할 등 4가지 행위에 대해서만 한정적으로 주주이익 강화를 적용하기로 한다는 것. 하지만 이같은 정부 방침에 재계의 요구에 불복해, 시장개혁을 회피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개정안은 현행 자본시장법 165조 4의 내용을 수정 보완하는 것이다. 해당 내용에는 상장 법인이 합병, 분할, 중요한 영업-자산의 양수도, 주식의 포괄적 교환-이전 등의 4가지 행위가 규정돼 있다. 이사회가 이들 행위에 대해 주주의 정당한 이익이 보호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내용이 개정안에 새롭게 반영됐다.
정부도 이같은 내용을 의식한 듯, 이날 발표 현장에서 자본시장법 개정의 불가피성을 강조했다. 김병환 위원장은"상법은 회사 전체에 적용되는 일반법이어서 의도하지 않은 부작용이 크게 나타날 수 있다"고 했다. 이어 상대적으로 대상 기업이 적고, 보다 구체적이고 실효적인 지배구조 개선 효과를 위해 자본시장법 개정에 나섰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또 대주주와 일반주주의 이해 상충이 발생하는 경우는 기업 합병과 분할 등 재무적 거래에서 많이 나오기 때문에 자본시장법에 주주 보호 노력을 명문화해, 실질적인 주주 보호를 하겠다는 입장이다. 민주당 내 '대한민국 주식시장 활성화 태스크포스' 소속 의원들은 이날 오후 별도 회견을 통해,"상법 개정을 외면한 채 정부가 자본시장법 개정안을 추진하는 것은 반쪽짜리 개혁에 불과하다"고 강조했다.
자본시장법 개정 주주이익 보호 정부 재계 비판 상장 기업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정부, 주주이익 보호를 위한 자본시장법 개정안 제시정부가 주주이익 보호를 위한 자본시장법 개정안을 제시하였다. 이 개정안은 상장 기업에만 적용되며, 주주이익 보호를 강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그러나 이 방침은 재계의 요구에 굴복하고 시장개혁을 회피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Read more »
정부, 주주 보호 강화를 위한 자본시장법 개정안 발표 예정정부와 여당이 주주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자본시장법 개정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 개정안은 상장법인의 합병 등 자본거래에 주주 보호 원칙을 적용하고, 이를 통해 이사들의 책임을 명확히 하고 회사, 주주, 대주주, 소수주주의 충돌시 규범을 정리한다.
Read more »
정부, 기업 합병·분할 주주의 이익 보호 강화 위한 자본시장법 개정안 공개정부는 기업 합병과 분할 시 주주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자본시장법 개정안'을 공개했다. 이 개정안은 합병 시 외부 평가기관의 평가와 공시를 의무화하고, 물적분할 후 자회사 상장 시 모기업 주주에게 20% 신주 우선 배정 근거를 마련했다.
Read more »
정부, 재계 반발에 자본시장법 개정안 발표정부가 주주 이익 보호를 위해 자본시장법을 개정하고자 한다. 그러나 상법 개정의 필요성에 대한 의견이 갈린 가운데, 이번 개정안은 시장 개혁을 회피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Read more »
정부, 자본시장법 개정안 이번주 국회 제출정부는 자본시장법을 개정하여 일반주주 이익 보호를 강화할 방침이다. 이번 개정안에는 계열사 간 합병 시 가액 산정 기준을 자율화하고, 합병 관련 공시를 강화하는 내용이 담겼다. 또한, 물적분할 후 자회사 상장 시 모회사 일반주주에게 공모신주 우선배정을 의무화할 계획이다.
Read more »
금융위, 일반주주 보호 강화를 위한 자본시장법 개정 발표김병환 금융위원장이 일반주주 이익 보호를 위한 자본시장법 개정 방향을 2일 발표했다. 개정안은 기업 합병·분할시 이사회의 주주 이익 보호 노력 강화를 주요 내용으로 한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