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재희 | 인구복지팀 기자 이달 초 가족이 병원에 입원했다. 처음 이 병원을 찾았던 지난해 겨울과는 풍경이 사뭇 달랐다. 의과대학 정원 확대 발표에 반발한 전공의들이 집단으로 사직한 2월, 이 병원 전공의들도 떠났다. 처음 가족의 몸 상태를 묻고
이달 초 가족이 병원에 입원했다. 처음 이 병원을 찾았던 지난해 겨울과는 풍경이 사뭇 달랐다. 의과대학 정원 확대 발표에 반발한 전공의들이 집단으로 사직한 2월, 이 병원 전공의들도 떠났다. 처음 가족의 몸 상태를 묻고, 여기저기 살펴봤던 전공의도 보이지 않았다. 입원하는 동안 주말이면 의사 대신 간호사가 상태를 확인했다. 간단한 처치는 주말에도 가능했지만, 검사 결과는 교수가 출근하는 평일이 돼야 들을 수 있었다. 정부가 2월부터 줄기차게 내세웠던 ‘전문의 중심 병원’이란 이런 모습일까.전문의 중심 병원이 어떤 병원인지 잘 모르겠다고 관련 연구자들에게 하소연했더니, 이런 설명과 함께 용인세브란스병원을 가보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다른 병원과 가장 큰 차이는 입원 환자 1명을 교수 주치의 2명이 담당하는 ‘이중 주치의’ 제도다. 환자를 처음 진료하거나 수술한 교수와 입원 환자를 전담하는 교수가 함께 퇴원까지 책임진다.
용인세브란스병원에 다녀왔지만, 여전히 정부가 말하는 전문의 중심 병원이 어떤 병원인지 가늠이 안 된다. 보건복지부는 “상급종합병원의 전공의 근로 의존도를 평균 40%에서 20% 이하로 단계적으로 줄여나가겠다”고 밝혔다. 전공의 업무를 전문의와 진료지원 간호사에게 맡기고, 대신 전공의는 수련 교육에 집중한다는 취지라고 한다. 여기서 정부가 말하는 전공의 근로 의존도란 무엇일까. 전공의 업무를 절반으로 줄인다는 뜻일까? 그렇다면 전공의 업무를 대체할 전문의와 진료지원 간호사를 지금보다 20% 늘린다는 이야기일까?글을 읽을 때 ‘누가 무엇을 어떻게 했는지’ 분명하게 알기 어려울 때가 있다. 동사를 명사로 바꾼 단어가 나올 때다. ‘나는 어떤 생각에 동의한다’고 분명하게 밝히면 될 이야기를 ‘동의 의견이 있을 것’이란 식으로 흐린다. 글쓰기 연구자 헬렌 소드는 이런 명사를 ‘좀비 명사’라고 불렀다. 명사가 살아 있는 동사를 잡아먹어 버렸다는 뜻이다.
정부의 전문의 중심 병원도 좀비 명사와 비슷하다. 전문의 중심 병원이 되기 위해 전공의 1명당 전문의는 몇 명이나 더 필요한지, 진료지원 간호사가 전공의 업무를 어디까지 대신할지 아직 미지수다. 전문의 중심 병원은 중증·응급 진료에 집중한다고 하는데, 정부 발표대로 일반병상을 지금보다 5~15% 줄인다고 대형 병원을 찾는 중증이 아닌 환자를 막을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무엇보다 정부는 전문의 중심 병원으로 바꾸는 데 필요한 비용을 정부 예산으로 쓸지, 국민이 낸 건강보험료로 충당할지 밝히지 않았다.정부가 전문의 중심 병원을 외치는 지금 이 순간 환자들이 마주한 병원은 ‘전공의 없는 병원’이다. 전공의 공백 장기화로 피로도가 쌓인 전문의들이 고강도 교대 근무를 더는 버티지 못해 응급실 운영을 일부 멈추는 병원이다. 전공의들에게 각종 행정명령을 내렸던 때처럼 정부의 발 빠른 재정 투입 계획 발표를 의사와 환자 모두 기다리고 있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개와 늑대의 시간 [슬기로운 기자생활]박지영 | 빅테크팀 기자 “넌 유학까지 다녀온 애가 그걸 챗지피티한테 물어보냐.” “영어가 문제가 아니야. 이럴 땐 어떻게 말해야 할지 모르겠어.” 최근 외국 유학을 다녀온 뒤 작은 음식점을 낸 친구 ㄱ이 고민 끝에 챗지피티에게 물어본 ‘그’ 내
Read more »
죽음을 기록한다는 것 [슬기로운 기자생활]김채운 | 이슈팀 기자 “죄송해요. 제가 너무 경황이 없어서요… 제발 가 주세요.” 지난달 3일 아침,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장례식장 빈소에서 만난 여성은 한사코 취재를 거절했다. 입은 애써 미소 지었으나, 눈물 맺힌 눈 너머로는 어떤 단호함마
Read more »
전문의 아닌 PA 중심 병원?…의사는 반발, 간호사는 제도화 요구(서울=연합뉴스) 권지현 기자=정부가 '전문인력 중심 병원'으로의 전환을 선포했지만 전문의 구인난을 겪는 병원들에선 'PA(Physician...
Read more »
전공의 1만2천명 결국 사직 … 일반의로 취업 나설 듯전체 전공의 1만3756명 중8%인 1151명만 최종 복귀대학병원 대신 일반병원行9월 모집에 응시도 저조할듯정부, 전문의 중심 시범운영이르면 9월부터 실시 예정
Read more »
100년 만에 파리서 열린 올림픽 12일 폐회…'2028 LA서 만나요'(파리=연합뉴스) 장현구 기자=문화와 예술의 중심 프랑스 파리를 17일간 밝혔던 성화가 꺼진다.
Read more »
전공의 공백에도…정부 'PA간호사 등으로 상급병원 구조전환'(서울=연합뉴스) 성서호 기자=반년째 이어지는 전공의 공백에도 정부가 상급종합병원의 전문인력 중심 구조 전환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