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진서가 2022년 바둑 상금 1위를 차지하며 이세돌 기록 넘어섰다.
바둑기사들의 지난해 상금순위를 보고 있자니 문득 그 옛날 전남 비금도에 살던 소년 이세돌 이 생각난다. 섬에서 서울의 바둑대회에 나가려면 배를 타고 또 기차를 타야 한다. 돈이 없던 이세돌 은 빚을 내 서울에 왔고 상금을 타서 갚곤 했다. 바둑은 프로가 되면 아무리 어려도 상금을 받을 수 있다. 또 이세돌 처럼 프로 이전이라도 장학금 명목으로 상금을 받을 수 있다. 까맣게 그을린 얼굴에 눈을 반짝이며 러닝셔츠 바람으로 대회장을 누비던 꼬마 이세돌 의 모습이 어느덧 먼 추억이 됐다. 누구보다 바둑적인 그가 바둑에서 은퇴했다는 사실이 종종 믿어지지 않는다. 정근영 디자이너 지난해 상금 1위는 14억5700만원의 신진서 9단이다. 두 번의 세계대회에서 우승했고, 농심배에서 6연승 우승하는 등 맹활약했다. 종전 상금 기록은 2014년 이세돌 9단의 14억1000만원이었는데, 2022년 신진서 가 이 기록을 넘어섰고 이후 3년 연속 14억원대의 상금을 기록하고 있다.
이창호 9단의 상금이 10억원을 살짝 넘긴 것은 2001년이다. 20여 년의 세월 동안바둑 상금은 그리 늘지 않았다. 상금 2위는 6억5000여만원의 박정환 9단이다. 32세 박정환은 세계대회 우승은 없었지만 탄탄한 실력과 노련미를 앞세워 2개 국내대회서 우승했고, 특히 중국리그에서 정규시즌 12전 전승, 포스트시즌 1승 1패를 기록하며 2억8000만원의 대국료를 받았다. 신진서 역시 중국리그에서의 활약이 무섭다. 정규리그 9승 무패, 포스트시즌 4승 무패를 거두며 2억5000만원의 대국료를 받았다. 신진서는 주장전에서 중국의 신흥강자 투사오위를 반집 차로 꺾으며 팀을 극적으로 챔피언결정전에 진출시켰다. 결국 신진서가 속한 쑤보얼 항저우 팀과 박정환의 선전 룽화 팀이 11일부터 챔피언결정전을 치르게 됐다. 강자들이 바글거리는 중국리그에서 신진서·박정환의 활약은 실로 경이적이다. 상금 3위는 5억6000만원의 변상일 9단이다. 능력에 비해 성적이 미달인 감이 있어 본인도 고심하고 있을 것이다. 상금 4위의 신민준 9단(3억4000만원)은 더욱 절치부심이다. 함께 입단하여 정상의 길을 달려온 양신(兩申)인데 갈수록 차이가 벌어지고 있다. 최근 슬럼프의 기운마저 보이는데 이를 어떻게 극복할지가 새해의 관건이다. 5위는 여자기사 최정 9단. 잠시 이상기류를 보여 너무 혹사한 것 아니냐는 의구심이 들었지만, 세계대회 1개, 국내대회 2개에서 우승하며 바둑 여제의 모습을 되찾았다. 그러나 상금 7위에 오른 김은지 9단의 추격이 거세다. 최정은 한국랭킹 36위. 새해 18세가 된 김은지는 34위. 올해 여자바둑은 두 기사의 격전이 볼 만할 것이다. 여자바둑에 한 사람이 또 있다. 일본에서 온 16세의 나카무라 스미레 3단. 그는 지난해 무려 132판을 두어 최다 대국 기록을 세웠다. 바둑을 두고 싶어 서울에 온 스미레가 소원을 푼 셈이다. 무서운 열정으로 일취월장하는 스미레가 여자바둑의 변수가 될 것임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참고로 프로바둑 기사는 남자 353명, 여자 86명. 지난해 세계대회는 남녀 합쳐서 19개, 국내대회는 31개가 열렸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삼대의 충돌: 혈연, 가문, 그리고 찾아온 손주양우석 감독의 신작 영화는 승려가 된 아들이 혈연관계를 떠올리게 하는 두 아이와의 만남, 가문의 영속을 꿈꾸는 아버지와의 충돌, 그리고 현대 사회의 혈연관계에 대한 인식 변화를 다룹니다.
Read more »
카키스토크라시, 한국 정치를 떠올리게 하는 영국의 단어영국 주간지 '이코노미스트'가 올해의 단어로 '카키스토크라시(kakistocracy)'를 선정하며, '가장 나쁜 자들의 지배'라는 의미를 담았다. 이 단어는 17세기 영국 내전 당시 사용된 용어로 최근 트럼프 시대에 부활했으며, 현재 한국 정치 상황을 연상시킬 만큼 민주당과 보수 집단 간 갈등이 심화되면서 국민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Read more »
카키스토크라시, 한국 정치 풍경을 떠올리게 하는 글.영국 주간지 이코노미스트가 올해의 단어로 '카키스토크라시'를 선정하며 트럼프 행정부 시대에 유행했던 이 단어는 한국 정치 현실에도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대통령 탄핵 소추 이후 발생한 정치적 불안과 국회의 정치적 소동을 짚으며 한국 정치를 비판한다.
Read more »
봉하마을, 노무현 전 대통령을 떠올리게 하는 장소재활병원에 입원 중인 필자는 노무현 전 대통령을 떠올리며 봉하마을로 향한다. 전 대통령의 묘비 앞에서 추모하고, 집을 방문하며 그의 삶과 정치적 가치에 대해 깊은 감상을 나눈다.
Read more »
셰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을 떠올리게 하는 연극, 티볼트와 머큐쇼의 비극적 사랑티볼트와 머큐쇼의 사랑은 셰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처럼 가문과 사회적 벽에 갇혀 비극으로 향합니다. 새로운 연극에서 티볼트와 머큐쇼의 사랑을 통해 셰익스피어의 문제 의식을 계승하고 그 이상을 보여줍니다.
Read more »
어릴 적 추억을 떠올리게 하는 씀바귀겨울철 마트에서 씀바귀를 발견하면서 어릴 적 밭에서 씀바귀를 캐고 먹던 추억이 떠올랐다. 씁쓸한 맛이 몸과 마음을 위로하는 씀바귀의 맛에 대한 이야기는 옛 친구 땅꼬마를 떠올리게 하는 동시에 희로애락 가득한 옛 추억을 떠올리게 한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