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예술영화 개봉신상 리뷰]
경상도에서 태어나고 쭉 살았다. 어릴 적엔 영호남 지역감정이 엄청났다. 정치란 것에 대해 잘 알 턱이 없었지만 단지 선거 때 반짝 불붙는 게 아니라 일상에서 적대감과 차별, 혐오가 묻어나는 건 확실히 체감할 수 있었다. 처음으로 대통령 선거를 어렴풋하게나마 인식한 건 1987년이었다. 어릴 적에 부모님 대신 반상회에 가면 우산이나 수건을 주면서 넌지시 선거에서 누굴 뽑아야 할지 언질이 오가던 시절이다. 당시에 김영삼과 김대중이 단일화에 실패해 노태우가 당선된 걸로 기억에 남은 바로 그 선거다.그 다음 대선은 뭘 알지도 못하면서 하마평을 올릴 정도 나이가 되었다. 1992년 대선에서 김영삼이 노태우의 당에 들어가 김대중과 또 맞붙었고 정주영이 출마했던 선거다. 김대중은 또 졌고 이번에는 정계은퇴를 선언했다. 그리고 1995년, 여름에 보름 정도 시골에 들어가 세상 소식 모르고 있다 돌아오는 길에 터미널에서 신문과 잡지를 확인하니 두 개의 놀라운 소식이 눈에 들어왔다.
그렇게 대통령이 되고 5년간의 임기 동안 바람 잘 날 없었지만 임기를 마쳤고 정권연장에도 성공했다. 김대중이 현역 정치인이던 시절 주변에선 늘 그를 욕했으나 극히 일부에선 그를 하나의 희망이자 대안으로 숨죽여 언급하는 이들이 존재했다. 대통령이 되고 나서 표면적으로는 그를 크게 비난하거나 욕하는 이는 줄어들었긴 했었다.경상도 마초 특징은 늘 정치 이야기를 술자리 안주처럼 늘어놓지만 정작 합리적 정치의식이나 판단과는 무관하다는 점이다. 좋게 말하는 이들은 정과 의리가 두텁다 하지만 비판하는 이들은 자신과는 별 관련도 없는 기득권층에 대한 기이한 동질감, 마치 지지하는 이들과 스스로를 동일시하는 자가당착이라 간주해버리곤 한다. 경상도 뿐만은 아닐 테지만 지역감정 관련해선 늘 진저리날 정도로 답은 정해져 있었다. 전라도와는 상종하지 말라는, 내가 겪어봐서 아는데 하는 진위 여부는 확인 불가능한 체험담들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졌다.
감독은 물론 필자를 포함해 김대중이라는 '거인'과 동시대에 호흡했던 이들이 돌아보는 지난 한국 현대사의 굴곡진 시간은 아직 미완으로 머물러 있고, 잠깐의 휴식 겸 김대중의 '길'을 되새겨 다음 진로를 모색하는 게 한 번의 선거결과 일희일비보다 몇 십 배는 더 가치 있어 보이기 때문일 테다.제공 명필름, 아이오케이컴퍼니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상처난 젊음, 1020 마음건강 보고서] 한번쯤 가만히 들어주세요…왜 그렇게 힘들고 아파했는지대인 관계 문제, 가정·학교폭력…어느 날 갑자기 찾아온 심한 우울감온몸이 아프고 숨도 잘 안...
Read more »
일본군에 끌려갈 뻔한 청년들, 독립운동하게 만든 이 남자[독립운동가외전] 이기형의 '강제징병 저항운동'은 왜 주목받지 못했는가
Read more »
'휴대폰 비번 안 푼 한동훈, 동료시민은 그렇게 못한다'[인터뷰②] 펴낸 조성식 검찰취재 전문기자
Read more »
총선 앞두고 또 나온 말 '싸가지' 정치인...50년 전 DJ·YS도 그랬다DJ와 YS도 못 피해 간 '싸가지' 비판 '싸가지'. 국립국어원 에서 찾아봤다. 없었다. 국립국어원에서 누구든지 참여해 만든다는 으로 안내했다. '싹수'의 방언 ...
Read more »
김건희 '실종' 한 달째, 침묵하는 윤석열이재명의 고민과 신부의 조언... 수업중 아동학대 녹음, 부모가 왜 타인인가
Read more »
대한제국 시절 자수 놓는 남성이 말해주는 것'화조도 10폭 자수 병풍'에 이름 새긴 장인.... '왜 위대한 여성 예술가는 없었는가'라는 질문은 틀렸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