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의 가치를 노래로 실증하는 인문학자 황경민 새 앨범 ‘니 어데고’

황경민 News

예술의 가치를 노래로 실증하는 인문학자 황경민 새 앨범 ‘니 어데고’
South Africa Latest News,South Africa Headlines
  • 📰 newsvop
  • ⏱ Reading Time:
  • 77 sec. here
  • 3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34%
  • Publisher: 63%

7월 31일 디지털 음원 발매, CD는 8월 중 발매

예술을 예술가만의 전유물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아카데믹한 고급문화를 탐닉하거나 예술을 수동적인 태도로 받아들이는 사람이 주로 그렇다. 그러나 예술은 자유롭고 평등하다. 저 높은 빌딩과 화려한 정원은 있는 자 몇몇의 것이지만 예술은 누구나 배우고 공유하고 누릴 수 있는 민중의 것이다. 특히 작업의 본질이나 범위의 논쟁에서 예술은 완전히 독립적이고 낮게 임한다. 하지만 어느 누구나 예술가가 될 수 없다. 예술가는 민중을 찾아 나서는 사람이다. 시공간에 구에 받지 않고 끊임없이 고민하고, 창작하고, 발품을 팔아서 사람들과 만나야 한다. 노래 한 곡 부르지 않고, 시 한 수 짓지 않고, 전시회 한 번 열지 않은 사람은 예술가라기보다는 활동가일 뿐이다. 예술의 가치는 창조에 있다. 결과의 위대함을 떠나서 생산의 하나로 충분히 박수받을 일이다.

지금부터 소개하는 황경민은 예술가다. 그가 왜 예술가인지 이제부터 설명하겠다. 황경민은 2012년부터 노래를 만들기 시작했다. 자그마치 12년이다. 정확하게 곡 수를 세어보지 않았지만 300곡이 훌쩍 넘는다. 그는 기성의 노래에 만족하지 않고 곡을 만들었다. 눈물샘을 자극하는 통속적인 신파 말고 진솔한 삶의 이야기를 노랫말로 지어 부르길 원했다. 황경민은 집회 현장에서 노래를 불러달라고 하면 당일 새벽까지 노래를 만들어 현장에 가서 불렀다. 스타케미컬, 밀양송전탑 투쟁, 만덕재개발 현장, 소성리 현장, 지하철노조집회, 세월호 집회, 박근혜 탄핵집회, 신라대 청소노동자 농성장 …… 수많은 현장에서 투쟁에 맞게 노랫말을 짓고 곡을 붙여 불렀다. 그렇다고 그는 팔뚝질만 하는 외곬은 아니다. 서정적인 시어도, 사투리로 쓴 시도 노래로 만들었고 노래극 작업에도 참여했다. 이 정도면 예술가로 충분하다. 특별하게 음악가, 싱어송라이터라고 불러도 상관없다.

황경민은 소싯적에 기업 홍보실에서도 일하고 방송국 작가로도 일했지만 그리 행복하진 않았던 듯싶다. 그가 ‘결국 아무것도 한 게 없어서, 우주 최초로 입간판 쓰고, 작사 작곡도 하고 결국 노래하기 시작했다’고 하는 것을 보면 우리가 기대했던 삶과 직접 맞닥뜨린 삶의 형태는 언제나 거리감이 있었다. 그는 서울에서 생활하다 낙향해서 부산대 앞에 인문학 카페 ‘헤세이티’를 열었다. 앞치마를 두르고 커피를 내리는 마담이 되는 길을 선택했지만 그게 다가 아니었다. 물장사로 손님을 맞이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흔쾌히 말을 걸었다. 매일 카페 입간판에 기존 관습과 관념의 허를 찌르는 유쾌 발랄한 내용의 글을 썼다. 내일 당장 지구가 멸망해도 한 그루의 사과나무를 심겠다는 어느 철학자처럼 수년 동안 하루도 빠지지 않고 정치 사회 경제 분야를 넘나들며 직접 손글씨를 썼다. 이 글들은 모여 책 『지금, 바로, 여기!』로 발간됐다. 이 책은 고루하고 현학적인 인문학에서 벗어나 이해하기 쉬우면서 생활사상적 깊이도 있는, 촌철살인의 유머와 해학이 넘치는 글로 독자들의 호평을 받았다.

이제 황경민을 ‘노래하는 인문학자’로 부르겠다. 이미 많은 사람들은 그를 꼴리는 대로 사는 ‘즉자적 인간’이자 ‘노래하는 인문학자’로 부르고 있지만 그를 처음 알게 된 독자들을 위해 사사롭게 정의를 내려봤다. 그러나 정작 그를 ‘노래하는 인문학자’로 정의 내린 가장 큰 이유는 이번에 새로 발매한 앨범는 자신의 영혼, 정서, 영감의 원천인 영도에 대한 사랑을 고백하고,은 세상의 모든 고양이를 찬사하고 집사들을 응원한다. 헤세는 그가 카페 헤세이티를 운영할 때 키우던 고양이 이름이다. 이 밖에도 이 앨범에는그는 서울에서 집시음악을 하는 밴드 ‘신나는 섬’에서 바이올린을 연주하는 편곡자를 만나 의기투합하고 앨범을 냈다. 여태까지 작곡했던 300여 곡 중 19곡을 추려 작업했다. 최종적으로 앨범에는 열 한 곡이 수록됐으며, 앨범 제목은황경민은 예술의 가치를 부조리와 관습의 타파, 연대와 배려의 이타성, 대중예술에 대한 비판적 담론과 실천에서 찾아온 듯싶다.

We have summarized this news so that you can read it quickly. If you are interested in the news, you can read the full text here. Read more:

newsvop /  🏆 6. in KR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스트레이 키즈, '빌보드 200' 5연속 1위…BTS 지민 2위(종합)스트레이 키즈, '빌보드 200' 5연속 1위…BTS 지민 2위(종합)(서울=연합뉴스) 이태수 기자=그룹 스트레이 키즈가 새 미니음반 '에이트'(ATE)로 미국 빌보드 메인 앨범 차트 '빌보드 200'에서 자체...
Read more »

故 현철 눈물의 영결식…'국민 애환 노래로 위로해준 애국자'故 현철 눈물의 영결식…'국민 애환 노래로 위로해준 애국자'(서울=연합뉴스) 최주성 기자=반세기 넘게 국민들의 슬픔을 노래로 달랜 가수 현철이 18일 영면에 들었다.
Read more »

밑바닥에서, 노래로 뿌린 씨앗…김민기 ‘뒷것의 삶’밑바닥에서, 노래로 뿌린 씨앗…김민기 ‘뒷것의 삶’21일 세상을 떠난 김민기의 삶은 ‘저항’과 ‘뒷것’으로 상징된다. 인생 1막에는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저항의 아이콘’이 되어 고초를 겪었고, 인생 2막에는 ‘앞것’인 배우·가수들 뒤 어두운 곳에서 묵묵히 그들을 밝게 비추는 ‘뒷것’을 자처했다. 김민기는 서울대 미
Read more »

노래로 저항한 김민기, 대학로 무대서 '뒷것인생'으로 지다노래로 저항한 김민기, 대학로 무대서 '뒷것인생'으로 지다(서울=연합뉴스) 임순현 오보람 기자=33년간 대학로에서 배움의 밭, 학전(學田)을 일군 김민기가 우리 곁을 떠났다.
Read more »

두산에너빌 가스터빈 수주 1조 돌파두산에너빌 가스터빈 수주 1조 돌파중부발전과 5800억 계약주기기 공급·유지보수 등한달 새 연달아 3건 체결'2028년까지 9.9조원 목표'
Read more »

LP판 돌자 ‘그때 그 신촌’ 돌아오네LP판 돌자 ‘그때 그 신촌’ 돌아오네가수 김현식씨의 4집 앨범이 재생되고 있는 턴테이블 옆으로 포크 그룹 시인과촌장의 앨범 과 록밴드 신촌블루스의 5집이 놓여 있다. 지나가던 사람들이 LP판을 보더니 잠시...
Read more »



Render Time: 2025-02-24 23:36: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