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CES 2025서 AI 반도체로 혁신 선언

IT News

엔비디아, CES 2025서 AI 반도체로 혁신 선언
AI반도체엔비디아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78 sec. here
  • 10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58%
  • Publisher: 53%

젠슨 황 CEO, 차세대 GPU 지포스 RTX 50 시리즈와 '개인용 AI 수퍼컴퓨터' GB10 공개

6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미켈롭 울트라 아레나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CES 2025 기조연설을 진행하고 있다. 이날 행사엔 1만2000석의 객석이 가득 찼다. 라스베이거스=이희권 기자 모든 인공지능(AI)의 길은 결국 반도체 로 통한다.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 2025 에서 재확인된 혁신의 룰이다. CES 2025 의 공식 개막을 하루 앞둔 6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는 전 세계 반도체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엔비디아 ·인텔·AMD가 격돌했다. 저마다 AI 기능을 강화한 신제품 칩을 약속이나 한 듯 같은 날 선보였다. 첨단 AI 기술을 구현하는 데 필수인 AI 반도체 성능 경쟁이 CES 2025 에서 펼쳐진 것이다. 이들 기업에 메모리 칩 공급을 노리는 삼성전자·SK하이닉스·마이크론의 경쟁은 더 치열해질 전망이다.

‘슈퍼스타’ 젠슨 황 6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미켈롭 울트라 아레나에서 CES 2025 기조연설에 나선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차세대 소비자용 그래픽처리장치(CPU) 지포스 RTX 50 시리즈의 출시 가격을 공개하고 있다. 라스베이거스=이희권 기자 6년 만에 CES 무대에 돌아온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슈퍼스타급 흥행력을 과시했다. 1만2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 미켈롭 울트라 아레나는 황 CEO의 기조연설 2시간 전부터 발 디딜 틈 없이 꽉 찼다. AI 반도체 산업의 패러다임을 장악한 빅샷이 된 그는 90분동안 쉴 새 없이 야심을 드러냈다. 그는 “이제 AI로 불가능한 일은 없다”면서 “엔비디아는 AI 기술을 누구나 쓸 수 있도록 대중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의 말 한마디 한마디에 반도체 파트너사들의 명암이 엇갈렸다. 이날 황 CEO는 소비자용 그래픽처리장치(GPU) 지포스 RTX 50 시리즈와 ‘개인용 AI 수퍼컴퓨터’로 불리는 GB10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모두 차세대 아키텍처 블랙웰을 기반으로 설계됐고, 신작 지포스는 전작 대비 AI 연산 속도가 3배 이상 빠르다. 그는 파트너사들을 콕 집어 언급했다. 신제품 GPU엔 “마이크론의 초고속 그래픽 D램(GDDR7)을 썼다”고, 개인용 AI 수퍼컴퓨터에는 “(대만 설계전문기업) 미디어텍과 함께 1급비밀 칩 CPU(중앙처리장치)를 만들고 있다”고 밝혔다. 생산은 이번에도 모두 대만 반도체 파운드리(위탁생산) TSMC가 맡는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언급되지 않았다. 발표 직후 미국 메모리 기업 마이크론의 주가는 나스닥 시간 외 거래에서 5% 이상 급등했고, 삼성전자·SK하이닉스 주가는 하락 마감했다. 6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미켈롭 울트라 아레나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CES 2025 기조연설을 진행하고 있다. 이날 행사엔 1만2000석의 객석이 가득 찼다. 라스베이거스=이희권 기자 특히 황 CEO는 앞으로 커질 AI 시장의 모든 분야를 엔비디아가 장악하겠다는 야심을 숨기지 않았다. 하드웨어인 AI 가속기 외에도, 산업용 AI·로봇용 AI·자율주행용 AI 등 거의 모든 분야의 AI 솔루션을 공개했다. 그는 “범용 로봇을 위한 챗GPT 모먼트가 막 다가오고 있다. 제가 말한 기술들은 몇 년 안에 범용 로봇에서 매우 빠르고 놀라운 돌파구(혁신·breakthroughs)를 만들어 낼 거다”라고 말했다. 젠슨 황의 원맨쇼를 자축하듯 이날 뉴욕증시에서 엔비디아 주가는 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주당 149.43달러)를 갈아 치웠다. ‘몰락한 반도체 제국’도 부활 예고 6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베네시안 컨벤션센터에서 미셸 존스턴 홀트하우스 인텔 임시 공동 최고경영자(CEO)가 차세대 인텔 칩 ‘팬서 레이크’를 공개하고 있다. 라스베이거스=이희권 기자 한때 세계 최대 종합반도체 회사였던 인텔도 CES에서 재기를 선언했다. 지난달 전격 사임한 팻 겔싱어 CEO 후임자인 인텔의 임시 공동 CEO 미셸 존스턴 홀트하우스는 이날 콘퍼런스를 열고 무대에 올라 인텔 자체 파운드리에서 18A(

We have summarized this news so that you can read it quickly. If you are interested in the news, you can read the full text here. Read more:

joongangilbo /  🏆 11. in KR

AI 반도체 엔비디아 CES 2025 지포스 RTX 50 GB10 젠슨 황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젠슨 황, CES 2025서 '코스모스' 출시, 물리적 AI 대중화 선언젠슨 황, CES 2025서 '코스모스' 출시, 물리적 AI 대중화 선언엔비디아 CEO 젠슨 황, CES 2025 기조연설서 로봇 분야 혁신 예고, 물리적 AI 개발 플랫폼 '코스모스' 출시 및 지포스 RTX 50 시리즈 공개
Read more »

KIST, CES 2025서 미래 혁신 기술 선보인다.KIST, CES 2025서 미래 혁신 기술 선보인다.차세대반도체연구소 양자기술연구단은 박민철 책임연구원이 개발한 ‘인공지능 기반 2차원 싱글 X-ray 이미지의 3차원 변환 및 영상 화질 개선 기술’을 전시한다. AI·로봇연구소는 김익재 책임연구원이 개발한 ‘교통 CCTV 기반 차량·교통 분석을 통한 실시간 교통관리 시스템’을 선보인다. 오상록 원장은 'CES 2025에서 KIST의 첨단 기술과 KIST가 지원한 혁신 기업의 제품을 세계 무대에 선보일 수 있어 자랑스럽다'며,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KIST 기술이전 및 사업화를 촉진할 수 있도록 글로벌 파트너십 구축에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Read more »

CES 2025, 반도체주 급등…SK하이닉스, 삼성전자 HBM 수혜 가능성CES 2025, 반도체주 급등…SK하이닉스, 삼성전자 HBM 수혜 가능성CES 2025 개막 앞두고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 주가가 급등하며 반도체주가 일제히 강세를 보였다. 특히 엔비디아 CEO의 AI 기술 비전 발표와 미국 증시에서 기술주가 강세를 보였다.
Read more »

CES 2025: AI 몰입, 혁신 기술과 새로운 경험CES 2025: AI 몰입, 혁신 기술과 새로운 경험세계 최대 가전 및 IT 전시회 CES 2025가 일주일 앞으로 다가오고 AI의 실제 적용과 비즈니스 모델을 선보일 전망이다. 핵심 테마는 '몰입(Dive In)'이며, AI, 로보틱스, 모빌리티, XR, 스마트홈, 디지털 헬스케어 등이 주요 주제이다. 삼성전자, LG전자, SK 등 한국 기업들이 참여하여 혁신적인 기술들을 선보이며, CES 혁신상에서도 한국 기업 기술이 주목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Read more »

삼성과 LG, CES 2025서 AI 가전 격돌삼성과 LG, CES 2025서 AI 가전 격돌삼성전자와 LG전자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5에서 AI 가전을 중심으로 격돌할 예정이다. 특히 삼성전자는 'Home AI'를 주제로 초개인화된 미래 가정을 제시하고, LG전자는 '공감지능(AI)'과 함께하는 일상의 라이프스타일을 선보일 예정이다.
Read more »

삼성전자, CES 2025서 '삼성 비전 AI' 공개삼성전자, CES 2025서 '삼성 비전 AI' 공개삼성전자는 CES 2025에서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혁신적인 제품을 선보이며 누가 더 AI가 물 흐르듯 일상에서 자연스럽게 스며드는 경험을 제공할지 치열하게 경쟁할 전망이다. 특히 초개인화 서비스와 AI 진화를 보여주는 제품이 핵심으로 부각되며 양사의 기술력 대결이 더욱 뜨겁게 펼쳐질 것으로 예상된다.
Read more »



Render Time: 2025-02-24 11: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