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읽는 공유자원체제] 당신은 왜 일하나요
"임금 노동 외에 돈을 버는 방법이 없을까?" 성찰과성장은 '노동시장 너머 새로운 대안 제시하기'라는 주제 아래 3편 연재를 통해, 기존 노동시장의 한계를 인식하고, 이를 뛰어넘는 새로운 노동 구조를 상상해 보고자 한다. 이 연재는 전통적인 노동시장의 구조와 내재한 문제점을 진단하고, 지속 가능한 노동의 형태를 모색한다. - 기자 말 사실 이 질문에 대한 답은 간단하다. 우리가 강제적으로 일을 하는 이유는 말 그대로 '살아야' 하기 때문이다. 물려받은 자산이 있다면 '먹고사니즘'에 대한 고민이 덜 하겠지만 자산이 없는 사람은 학교를 졸업함과 동시에 어떤 일을 하고 돈을 벌지 결정한다. 그리고 그 중 약 80%는 누군가의 밑에서 임금을 받으면서 살아간다.직장인이라면 모두 알 것이다. 누군가의 밑에서 일을 하게 되면 그 일은 강한 강제성을 띨 수밖에 없다는 것을.
사장의 감시와 통제는 수익을 얻기 위한 그리고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어쩔 수 없는 행위임을 안다. 하지만 이 행위 때문에 회사에서 8시간 이상 시간을 보내야 하는 직장인은 아무리 좋아하는 일을 하고 있더라도 노동 의욕이 꺾이기 마련이다. 거기다 직장인이 회사에서 만들어낸 모든 생산물은 사장이 소유하기 때문에 일에서 느끼는 효능감은 점차 사라진다. 외환위기 이후 불안정 일자리가 확대되고 부동산 가격이 임금을 저축하는 것으로는 구입하기 어려울 정도로 높아짐에 따라 직장인의 비애가 더욱 심해졌다. 반면 사장의 자녀로 아버지 밑에서 일하고 있는 또 다른 지인의 생각과 행동은 완전히 다르다. 그는 업계 특성상 하루에 12시간을 근무하며 간혹 일이 몰렸을 때는 밤 12시까지 일하기도 하고, 일요일이나 연휴 때도 출근한다.
그의 행동 속 숨겨진 이유는 간단하다. 회사의 자본을 자신의 것이라고 인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회사가 돈을 많이 벌어들이고 커질수록 자신이 소유할 자본이 커진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는 남들보다 더 열심히 일하고 회사를 키우기 위해 노력한다.직장인과 사장 자녀가 가지는 태도의 근본적인 차이는 생산수단의 소유여부이다. 생산수단은 토지, 기계, 설비, 공장, 건물 등 무언가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을 말한다. 사무직을 중심으로 생각해 보면 사무실, 의자, 책상, 컴퓨터, 소프트웨어, 프린터, 인적네트워크 등도 생산수단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정리하자면 직장인은 생산수단이 없기 때문에 하루 8시간 이상을 통제와 감시 속에서 일하고, 스스로 창조한 것을 갖지 못한다. 마르크스는 이러한 상황 즉, '자신의 노동을 통제하지 못하는 객관적 조건'을 '노동 소외'라고 칭했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갤럽 '與우위' 여론조사꽃 '野우세'… 뭘 믿어야 하나회사 성향·조사기간별 차이 커최대 95% 무응답층도 변수지지율 추세 변화만 참고해야
Read more »
‘직장인의 별’ 삼성전자 임원…80년대생·여성·지방대 출신 늘었다삼성전자 사업보고서 분석 미등기임원 평균연봉 7억2600만원 주류는 여전히 50대·남성·서울대 서울대·KAIST 출신 세자릿수
Read more »
민주당, 이재명·이해찬·김부겸 ‘3톱’ 총선 선대위 출범‘정권심판·국민승리 선대위’ 12일 가동...수락 기자회견 연 김부겸 “친명·친문 이런 말 버리자, 작은 차이 내려놓아야”
Read more »
[오늘의 운세] 2024년 02월 17일 띠별 운세[쥐띠]스스로 자신을 너무 과대평가 하지 말고 상황을 잘 살피도록 하라.1948년생, 주변 사람을 잘 단속하고 자신도 겸손해야 할 시기이다.1960년생, 일을 그냥...
Read more »
'24살 차이' 부부를 이해하고 싶었던 이 배우의 선택[여자가 바라본 여성 이야기] 영화
Read more »
꽃꽃 숨을라, 봄소풍 늦지 않게 떠나요한국관광공사가 데이터로 분석한 '트렌드 트립'개화 시기 평년보다 빨라진해군항제 23일 열려62년만에 가장 이른 개최지리산 치즈랜드 수선화 등새로운 봄꽃 명소들 눈길강화·파주 봄여행도 매력세대별로 취향 차이 뚜렷20대 강·호수에서 꽃구경40대는 가족 중심으로 여행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