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인플루엔자 표본감시 의료기관의 독감 의사환자 분율이 73.9%로 급증하여 2016년 이후 최대 규모의 유행세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특히 13~18세 청소년층에서 환자가 많았으며, 질병관리청은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독감 예방접종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2016년 이래 최대 규모의 유행세를 보이고 있는 인플루엔자 (독감) 환자가 빠르게 늘면서 청소년 층을 중심으로 2016년 이후 최대 규모의 유행세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2024년 마지막 주(12월 22일 ~ 12월 28일) 전국의 인플루엔자 표본감시 의료기관 300곳을 찾은 외래환자 1000명 중 독감 증상을 보인 의심환자 수를 나타내는 독감 의사환자(ILI) 분율은 73.9명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1주 전의 1000명당 31.3명에서 136% 급증한 수치입니다. 예년 인플루엔자 유행 정점 때의 의사환자 분율과 비교해보면 2016년 86.2명 이후 최고 수준입니다. 지난해는 73.9명, 2023년 61.3명, 2022년 60.7명이었습니다. 코로나19로 독감 유행이 없던 2020년과 2021년엔 각각 3.3명, 4.8명이 최고치였습니다. 모든 연령대에서 환자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13~18세 청소년 층에서 환자 수가 특히 많았습니다. 1000명당 151.
3명으로, 이번 2024~2025 절기 독감 유행 기준(1000명당 8.6명)의 17.6배에 해당합니다. 이어 7~12세가 137.3명, 19~49세 93.6명, 1~6세 58.4명 순입니다. 호흡기 바이러스 병원체 감시 결과에서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검출률이 50.9%로 전주(29.0%) 대비 크게 늘며 이번 절기 들어 가장 높았습니다. 바이러스 세부 유형 중에서는 A형 중 H1N1pdm09(34.6%)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A형 H3N2(14.9%), B형(1.4%) 순입니다. 질병청은 고위험군은 지금이라도 독감 예방접종을 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인플루엔자 감염 시 중증화 위험이 큰 6개월~13세 어린이, 임신부, 65세 이상은 내달 4월 30일까지 무료로 접종을 받을 수 있습니다. 현재 유행 중인 바이러스는 이번 절기 백신 생산에 사용된 바이러스와 매우 유사해 백신 접종으로 충분한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질병청은 설명했습니다. 치료제 내성에 영향을 주는 변이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지난해 12월 20일 기준 국내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가 발령된 상태라 소아, 임신부 등 고위험군은 항바이러스제 처방을 받을 때 건강보험 요양급여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인플루엔자(독감) 환자 급증, 2016년 이래 최대 규모 유행2024년 마지막 주, 전국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분율은 73.9%로 급증하여 2016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13-18세 청소년층에서 환자 수가 많았고, A형 H1N1pdm09 바이러스가 가장 높은 검출률을 보였습니다. 질병관리청은 고위험군에게 독감 예방접종을 권고하며, 현재 유행하는 바이러스와 백신 바이러스가 매우 유사하여 효과적인 예방이 가능하다고 설명했습니다.
Read more »
2016년 이래 최대 규모 인플루엔자 유행청소년층을 중심으로 인플루엔자 환자가 빠르게 증가하여 2016년 이래 최대 규모의 유행세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12월 말과 1월 초가 유행의 정점이 예상되며, 모든 연령대에서 환자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질병관리청은 백신 접종을 통해 충분한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설명하며, 어린이, 임신부, 65세 이상은 무료로 접종을 받을 수 있습니다.
Read more »
인플루엔자 유행세, 최고 수준 달성전국 인플루엔자 환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청소년층에서 환자 수가 많습니다. 질병관리청은 겨울철에 독감 외에도 코로나19,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등 다른 호흡기감염병에도 취약하므로 개인 위생수칙 준수가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Read more »
보험 약관대출 이용 및 연체자 수 급증, 대출 규모 1년 새 7천억 증가보험 약관대출 이용자와 연체자 수가 최근 1년 사이 급증한 것으로 집계. 신용등급에 영향이 없어 연체하는 이용자 증가.
Read more »
출생아 수, 14년 만에 최대 증가올해 10월 출생아 수가 1년 만에 13.4% 증가하며 14년 만에 최대 증가율을 기록했습니다. 혼인 건수 증가 추세가 이어지면서 줄곧 내리막길을 걷던 출생아 수가 9년 만에 반등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Read more »
심뇌혈관질환 발생 증가, 노인 중 뇌졸중·심근경색 환자 증가2022년 심뇌혈관질환 발생 통계, 심근경색·뇌졸중 환자 증가 및 치명률 고위험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