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살 나무에 ‘잣 모양’ 밤이 주렁주렁…땔감 될 뻔했지만

South Africa News News

200살 나무에 ‘잣 모양’ 밤이 주렁주렁…땔감 될 뻔했지만
South Africa Latest News,South Africa Headlines
  • 📰 hanitweet
  • ⏱ Reading Time:
  • 32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6%
  • Publisher: 53%

[한겨레21] 제주구실잣밤나무 ②·끝잣밤나무 가로수 비중 20%에서 2.3%로 급감서귀포 선덕사 200살 나무가 살아남은 이야기

서귀포 선덕사 200살 나무가 살아남은 이야기 2023년 10월10일 오후 제주 서귀포시 상효동 선덕사 주변 구실잣밤나무에 잣밤이 가득 열렸다. 김양진 기자

효돈천을 따라 형성된 계곡길은 한낮에도 어둑어둑했다. 햇빛을 덜 받아도 잘 자라는 음수인 구실잣밤나무와 후박나무 등이 가지와 잎을 뻗어 하늘을 완전히 덮었다. 소나무 등 어려서부터 볕이 있어야 자라는 양수는 이런 숲에서 버텨낼 수 없다. 난대림의 특징인데, 월정사 앞 가로수길이 터널이 된 것도 같은 원리다. 여기에 한 신도가 이 나무에 커다란 불기둥 세 개가 피어오르고, 불기둥마다 앉은 부처가 설법하는 꿈을 꾼 뒤 이 절에 전 재산을 시주했다. 이 돈으로 지금의 선덕사가 지어졌다. 이후 선덕사는 구실잣밤나무 아래 범천각을 세워 매달 초하루와 보름에 공양을 바치고 있다. 최영범 신도회 부회장은 “지금도 기억하는 분이 여럿 계셔서 그때 일을 얘기해주십니다. 이곳이 부처님을 모시는 사찰이라 신령스럽다는 얘기는 하기가 어려워 알리지는 않고 있습니다”라고 설명했다.

홍석환 부산대 교수는 “울창한 숲이 이뤄진 곶자왈 지역도 사실은 1980년대까지만 해도 땔감을 구하던 벌거숭이에 가깝던 곳이다. 특히 구실잣밤 같은 참나무류는 화력이 한번에 세지지 않고 은은하게 밤새 타기 때문에 선호하던 땔감이었다. 곶자왈이 워낙 습도도 높고 온도도 적당해 잘 자라서 몇십 년 만에 숲이 좋아진 것”이라고 말했다.

We have summarized this news so that you can read it quickly. If you are interested in the news, you can read the full text here. Read more:

hanitweet /  🏆 12. in KR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R&D 예산 삭감에 과학계 다독인 윤 대통령, 사실일까R&D 예산 삭감에 과학계 다독인 윤 대통령, 사실일까살펴보니 문제 될 발언은 빼놓고 인용
Read more »

LCK의 마지막 희망, 'LPL 킬러' T1 출격LCK의 마지막 희망, 'LPL 킬러' T1 출격국제전의 T1, LCK의 구세주가 될 것인가
Read more »

혼자 사는 장애인 쫓아낸 법원…이혼 부친의 아파트 반환소송혼자 사는 장애인 쫓아낸 법원…이혼 부친의 아파트 반환소송[한겨레21] 뉴스 큐레이터20년 살아온 집에서 나오게 된 31살 지적장애인
Read more »

혼자 사는 발달장애인 쫓아낸 법원…이혼 부친의 아파트 반환소송혼자 사는 발달장애인 쫓아낸 법원…이혼 부친의 아파트 반환소송[한겨레21] 뉴스 큐레이터20년 살아온 집에서 나오게 된 31살 장애인
Read more »

軍 정찰위성 1호기, 30일 미국 반덴버그 기지서 발사軍 정찰위성 1호기, 30일 미국 반덴버그 기지서 발사[앵커]우리 군이 이달 말 독자 정찰위성 1호기 발사에 나섭니다.군 당국은 북한의 위협을 상대로 한 감시정찰 자산의 핵심전력이 될 것이고 강조했습니다.최민...
Read more »



Render Time: 2025-02-26 02:2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