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조민정 기자=미국 금리 정책의 불확실성에 울고 웃던 주식시장의 시선이 다시 기업 실적으로 옮겨가고 있다.
이정훈 기자=14일 코스피는 전거래일보다 3.53포인트 오른 2,758.42로 장을 마쳤다. 코스닥은 9.14포인트 내린 862.19에, 원/달러 환율은 5.4원 오른 1,379.3원에 마감했다. 조민정 기자=미국 금리 정책의 불확실성에 울고 웃던 주식시장의 시선이 다시 기업 실적으로 옮겨가고 있다.지난주 코스피는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 회의 전후로 나흘 연속 상승해 종가 기준 연고점을 기록했지만 시원한 오름세는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16일 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 증권사 3곳 이상이 실적 전망을 제시한 코스피 상장사 159곳의 2분기 영업이익 추정치는 지난 14일 현재 31조7천852억원으로 나타났다.다만 영업이익 증가세가 전기전자, 증권 등 특정 업종에 집중되면서 영업이익 추정치가 3개월 전보다 늘어난 종목은 71개, 줄어든 종목은 88개로 실적 추정치가 낮아진 종목이 더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업종·종목별로 보면 전기전자 업종의 영업이익 추정치가 10조6천890억원에서 14조1천940억원으로 32.79% 늘었는데, 이중 LG이노텍의 영업이익 추정치가 165억원에서 801억원으로 늘어 증가율이 383.86%로 가장 컸다.반면 포스코퓨처엠, LG에너지솔루션,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등은 석 달 전에 비해 눈높이가 크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증권업종의 경우 삼성증권, 미래에셋증권, NH투자증권, 키움증권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지면서 영업이익 추정치가 5천708억원에서 6천730억원으로 17.92% 증가했다.반면 철강금속, 전기가스업, 화학, 섬유의복 등은 3개월 전에 비해 실적 전망이 크게 낮아져 대비를 이뤘다.
양해정 DS투자증권 연구원은"금리 하향 전망이 안정되는 모멘텀만으로 시장이 상승하면 일정 부분 상승 이후 횡보할 수 있지만, 실적 호조가 더해진다면 금리 결정에 대한 부담 없이 시장이 움직일 수 있다"며"올해 여름 시장이 상승 랠리를 펼칠 수 있는 조건이 만들어지고 있다"고 전망했다.다만 상반기 고공행진을 펼친 해외 증시의 피로감이 국내 증시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신중론도 나온다. 박윤철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빅테크, 인공지능, 반도체 등 유망테마 전반의 가이던스 상향이 나타났던 이전과 달리 글로벌 주요 기업의 매출 가이던스가 차별화되고 있다"며"국내 상장사의 주당순이익이 상승세가 나타나고 있지만, 이 같은 흐름이 지속될지는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11번째 금리동결...'하반기 금리인하? 불확실성 더 커져'한은, 3.5% 그대로...성장률 전망치 2.5%로 상향, 물가는 2.6% 수준 유지
Read more »
수출 희망 봤나…한은, 올 경제성장률 전망치 2.5%로 상향한국은행이 수출 회복에 따라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1%에서 2.5%로 높였다. 기준금리는 연 3.5%로 다시 동결했다. 미국 금리 인하 기대감이 뒤로 밀리고 물가...
Read more »
[속보] 한은, 기준금리 연 3.5% 동결…올해 성장률 전망치 2.5%로 상향 조정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3.5%로 동결했다. 지난해 2월 이후 11회 연속 동결했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2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연 3.5...
Read more »
“34만원짜리가 ‘쩜상’갔다”…이 종목 실적도 화끈하네삼양식품 ‘깜짝실적’에 신고가 1분기 영업익 전년비 236%↑ 주가 30% 올라 44만6500원
Read more »
K불닭의 힘…삼양식품 시총, 농심 첫 추월1분기 영업익 전년비 236% 쑥예상치 상회한 '깜짝 실적'에하루 30% 오른 44만6500원CJ제일제당·롯데웰푸드음식료주도 덩달아 강세
Read more »
[김영준의 마켓관찰] 성심당과 파리바게뜨, 프랜차이즈의 쇠락생산효율·낮은 임차료 강점소기업이 대기업 영업익 추월나날이 변화하는 소비자 기호대량생산 체제 부응 어려워져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