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가장 얇은 저전력 D램 양산…온디바이스 AI 최적화

South Africa News News

삼성, 가장 얇은 저전력 D램 양산…온디바이스 AI 최적화
South Africa Latest News,South Africa Headlines
  • 📰 maekyungsns
  • ⏱ Reading Time:
  • 38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9%
  • Publisher: 51%

0.65㎜ 두께 12나노급 LPDDR5X D램 이전 세대보다 열저항 21% 개선 기기 성능 감소 최소화

기기 성능 감소 최소화 삼성전자가 업계 최소 두께의 저전력 메모리 반도체 패키지 양산에 들어갔다. 12나노급 규격으로 온디바이스 인공지능 제품에 최적화됐다.

삼성전자는 12나노급 저전력더블데이터레이트5X D램 12·16GB 패키지 양산을 시작했다고 6일 밝혔다. LPDDR D램을 4단으로 쌓아 만들었다. 제품 두께는 0.65㎜로 현존하는 12GB 이상 LPDDR D램 중 가장 얇다.패키지 공정 중 하나인 백랩 공정의 기술력을 극대화해 웨이퍼를 얇게 만들어 최소 두께 패키지를 구현했다. 모바일 D램은 저전력, 고성능, 고용량 특성뿐 아니라 얇은 패키징도 중요하다. 모바일 D램이 얇아지면 슬림한 기기 설계가 가능하고 기기 내부 발열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높은 성능을 요구하는 온디바이스 AI는 발열 때문에 기기 온도가 일정 구간을 넘기면 성능을 제한하는 온도 제어 기능이 작동한다. 이번 제품을 탑재하면 발열로 해당 기능이 작동하는 시간을 최대한 늦출 수 있어 속도, 화면 밝기 저하 등의 기기 성능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0.65㎜ LPDDR5X D램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모바일 업체에 적기에 공급해 저전력 D램 시장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향후 6단 24GB, 8단 32GB 모듈도 가장 얇은 LPDDR D램 패키지로 개발할 계획이다.배용철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상품기획실장은 “고성능 온디바이스 AI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LPDDR D램의 성능뿐만 아니라 온도 제어 개선 역량도 중요해졌다”며 “기존 제품보다 두께가 얇은 저전력 D램을 지속해서 개발하고 고객에게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We have summarized this news so that you can read it quickly. If you are interested in the news, you can read the full text here. Read more:

maekyungsns /  🏆 15. in KR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바람이 지나는 길이 보여요”…공포영화 아니고 에어컨 신기술, 이게 무슨 일“바람이 지나는 길이 보여요”…공포영화 아니고 에어컨 신기술, 이게 무슨 일삼성·LG, AI 에어컨 전쟁 삼성, 에너지사용량 30% 절약 LG, 집 구조따라 바람 최적화
Read more »

“막가는 가짜뉴스에 훅 갈판”...‘4대그룹’ 일제히 골머리, 주가에도 악영향“막가는 가짜뉴스에 훅 갈판”...‘4대그룹’ 일제히 골머리, 주가에도 악영향‘아니면 말고’식 루머 양산, 주가에도 악영향 “터무니없는 영상 퍼져” SK그룹 법적대응 추진 삼성·현대차도 속앓이
Read more »

SK하이닉스, 용인 1기 팹 투자 확정…9.4조 투입SK하이닉스, 용인 1기 팹 투자 확정…9.4조 투입글로벌 AI 반도체 거점 조성 HBM 등 차세대 D램 생산라인 2027년 5월 준공 예정
Read more »

“이번엔 SK하이닉스가 외계인 납치했나”…세상서 가장 빠른 그래픽용 D램 내놨다 [위클리반도체]“이번엔 SK하이닉스가 외계인 납치했나”…세상서 가장 빠른 그래픽용 D램 내놨다 [위클리반도체][성승훈 기자의 위클리반도체 - 8월 첫째주] 그래픽용 D램(GDDR·그래픽더블데이터레이트)을 놓고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마이크론테크놀로지가 신(新) 삼국지를 펼치고 있습니다. 최근 SK하이닉스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성능을 구현했다”며 GDDR7을 공개하며 포문을 열었죠. 이번주 위클리반도체에선 고대역폭메모리(HBM)에 이어 GDDR 시장까지
Read more »

삼성전자 “온디바이스 AI 갤럭시, 연내 2억대 수준 확대”삼성전자 “온디바이스 AI 갤럭시, 연내 2억대 수준 확대”삼성전자가 인공지능(AI)을 탑재한 모바일 기기를 올 연말까지 2억대가량 확보하기로 했다. 아직 태동기에 있는 AI 서비스 생태계를 빠르게 조성하고, 이후 수익화까지 염두에 ...
Read more »

중국AI에게 시진핑 물었더니…“잘 모르겠네요, 다른 질문 하세요”중국AI에게 시진핑 물었더니…“잘 모르겠네요, 다른 질문 하세요”당국이 수시로 챗봇의 답변 감시 FT “전세계 가장 강력한 AI 규제”
Read more »



Render Time: 2025-02-24 20: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