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노인 가구의 평균 연간 소득은 3469만 원이었으며, 개인 소득은 2164만 원, 금융 자산 규모는 4912만 원, 부동산 자산 규모는 3억1817만 원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이전 2020년 조사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이며, 조사를 시작한 2008년 이후로 지속 증가 추세로 분석됐다. 학력의 경우 고졸 비율이 2020년 28.4...
지난해 노인 가구의 평균 연간 소득은 3469만 원이었으며, 개인 소득은 2164만 원, 금융 자산 규모는 4912만 원, 부동산 자산 규모는 3억1817만 원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이전 2020년 조사 대비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이며, 조사를 시작한 2008년 이후로 지속 증가 추세로 분석됐다.
선호하는 '장사' 방식은 ▲화장 후 납골당 38.0% ▲화장 후 자연장 23.1% ▲아직 생각해보지 않았다 19.6% 등 순으로, '화장 후 납골당'을 택한 비중은 2020년 대비 4.7%p 늘어났고, '매장'을 택한 비중은 6.1%로 2020년 11.6% 대비 5.5%p 감소했다. 디지털 접근성에 관한 제도 개선사항으로는 노인 맞춤형 스마트기기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 29.5%, 정보화 교육 다양화 27.4%, 스마트기기 이용료 지원 21.9% 순으로 필요하다고 응답했다.노인 인식 조사에서 우울증상이나 낙상사고, 외래진료 등 건강 상태 관련한 다양한 지표가 소폭 개선됐으며, 장기요양보험 이용 비율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도 눈에 띄었다.
이외에도 '몸이 아파 집안일을 부탁해야 할 때', '낙심하거나 우울할 때', '갑자기 큰 돈이 필요할 때' 등의 상황에 처할 시 도움을 받을 사람이 하나도 없다고 응답한 노인은 전체의 6.6%로,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그 비율이 증가했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LS證 “케이뱅크 5조 몸값 정당화하려면 BaaS 성공 구현해야”해외 비교기업 PBR 약 3배로 카뱅(1.62배) 대비 높은 상황 높은 이자수익 의존극복 숙제
Read more »
“소득불평등 크면 출생률도 떨어진다···재분배와 출생지원책 연계해야”소득 불평등이 심해질수록 출생률이 떨어진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한국의 소득 불평등 악화 속도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의 2배에 달해 가뜩이나 낮은 출생률이 ...
Read more »
임산부 ‘응급실 뺑뺑이’에도 “응급실 대란 없었다”는 정부복지부 “응급실 환자, 작년보다 20% 이상 줄어...시민의식 덕분”
Read more »
'외제 물건 없는 가정을 찾습니다'... 어느 신문의 전면광고[커피로 맛보는 역사, 역사로 배우는 커피] 탈카페인커피의 등장
Read more »
기준금리 내린다는데…예금금리 올린다는 ‘이곳’은시장금리 하락에도 이자올려 연 4%대 정기예금도 등장
Read more »
당정, 농업인 지원금 상향…공익직불제 예산 3.4조원으로 확대(종합)(서울=연합뉴스) 신선미 최평천 조다운 기자=농업인 소득 안정을 위한 지원금인 기본형 공익직불금과 재해복구비 등이 인상된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