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 분쟁과 AI 혁명으로 중국 반도체 수출 비중 감소. 대만이 급증, 베트남도 증가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전경. 삼성전자 한국 대표 수출 품목인 반도체 의 수출 지도가 바뀌고 있다. 미·중 무역 분쟁과 인공지능(AI) 혁명으로 기존 최대 수출국이었던 중국의 의존도가 낮아졌다. 베트남 보다 낮았던 대만 수출 비중은 중국·홍콩 다음으로 높아졌다. 5일 산업통상자원부·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지난해(1~11월) 한국의 지역별 반도체 수출액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33.3%로 집계됐다. 지난 2020년 40.2%였던 것과 비교해 6.9%포인트 하락했다. 홍콩도 같은 기간 20.9%에서 18.4%로 감소했다. 홍콩으로 수출한 반도체 의 90% 이상을 중국으로 다시 수출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중국 감소 폭이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반면 대만이 차지하는 수출 비중은 2020년 6.4%에서 지난해 14.5%로 급증했다. 중국·홍콩에 이어 3위다. 베트남 역시 수출 비중 같은 기간 11.6%에서 12.9%로 증가했다.
2019년 삼성전자가 스마트폰을 만들던 중국 후이저우 공장을 폐쇄하고 해외 생산 거점을 베트남으로 옮긴 영향으로 분석된다. 박경민 기자 반도체 수출 지도가 바뀐 건 미·중 반도체 경쟁 때문이다.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반도체 수출 규제에 맞서 중국이 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CXMT)와 양쯔메모리테크놀로지(YMTC) 등 자국 메모리 기업에 막대한 투자를 단행하며 반도체 자급률을 높이면서 한국의 중국 수출 비중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여기에 AI 데이터센터 확산에 따라 고성능 반도체 수요가 급증한 영향도 있었다. 예를 들어 데이터센터 필수품이 된 AI 가속기는 엔비디아가 시장의 80% 이상을 차지하는데, AI 가속기 필수 부품인 고대역폭메모리(HBM)는 한국의 SK하이닉스 공장에서 생산돼 대만 TSMC 공장으로 보내진다. 대만 반도체 파운드리(위탁 생산) 업체인 TSMC가 SK하이닉스에서 만든 HBM과 엔비디아의 그래픽처리장치(GPU)를 결합하는 후공정(패키징)을 통해 완제품을 만들어 엔비디아에 납품하기 때문이다. 수출 대상국의 다변화 흐름은 긍정적이다. 하지만 중국의 ‘반도체 굴기’로 향후 한국 수출에 먹구름이 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미 CXMT·YMTC 등 중국 최대 메모리 반도체 기업의 기술 수준이 높아져 레거시(범용) 제품군에서 국내 기업과 경쟁하는 구도가 형성됐다. 김대종 세종대 경영학부 교수는 “중국 의존도를 낮추는 것도 중요하지만, 반도체 시장을 중국에 뺏기는 것을 더 경계해야 한다”며 “이미 중국이 저가형 반도체 시장을 잠식하고 있는 만큼 앞으로 한국이 경쟁력을 가지려면 고급형 메모리 시장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점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가람 기자 [email protected]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중국, 대만 무기 수출 관련 미국 기업 28곳 제재중국 정부는 대만에 대한 무기 수출에 관여했다는 이유로 미 국방 관련 기업 28곳을 제재하여 이중용도 물품 수출을 금지했다. 중국 상무부는 10개 미 기업을 '신뢰할 수 없는 기업 리스트'에 추가하여 중국과의 모든 관련 활동을 금지했다.
Read more »
반도체 수출 지형, 중국 의존도 감소미중 반도체 전쟁과 AI 혁명 등 세계 시장 변화, 주요 글로벌 IT 제조 기업의 탈중국 흐름 등이 한국 반도체 수출 지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 수출 비중은 감소하고 미국, 대만, 베트남 등으로 수출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Read more »
'KSMC 만들어 반도체 위기 극복…주 52시간은 걸림돌'(종합)(서울=연합뉴스) 강태우 기자=산·학계가 한국 반도체 산업의 위기 극복을 위한 카드로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계 1위인 대만 TSMC의...
Read more »
美日臺 반도체 인재 양성 ‘맞손’…역대 최대 규모 ‘세미콘 재팬’ 개막반도체 장비·재료 전시회 ‘세미콘 재팬 2024’ 개막 13일까지 도쿄 빅사이트 세미나 3분의 1이 ‘인재’ 미-일-대만 최고경영자 구체적 협력 방안 논의
Read more »
한국 수출, 역대 최고 기록 경신… 새해 불확실성한국 수출은 지난해 역대 최고 기록을 달성했지만, 반도체 경기 둔화와 트럼프 정책 변화 등 다양한 불확실성으로 새해 수출 전망은 침체된다.
Read more »
대기업·중소기업 '갑을문화' 만연반도체 수출 호황으로 대기업 제조업 생산이 역대 최고를 기록한 반면, 중소기업은 내수 부진으로 최악의 한 해를 보였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소득 격차 확대가 우려된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