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에 따르면, 무안공항 제주항공 사고에서 비행기록장치(FDR)와 조종석 음성녹음장치(CVR)가 모두 회수되었다. 이 두 블랙박스 분석을 통해 사고 당시 항공기 내 상황과 원인을 밝혀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남 무안공항 에 발생한 제주항공 사고의 원인을 풀어줄 열쇠인 블랙박스 2개 모두를 회수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사고 당시 항공기 에서 어떤 상황이 벌어졌는지를 밝히는 데 속도가 날 전망이다. FDR은 항공기 의 3차원적인 비행경로와 각 장치의 단위별 작동상태를 디지털, 자기 또는 수치신호로 기록하는 장치이며, CVR은 조종석 내에서 기장과 부기장 등 승무원간의 대화, 관제탑과 승무원간의 교신 내용, 항공기 작동 상태 소리 및 경고음 등이 모두 녹음돼 있다.
통상 추락사고 등으로 지면과 충돌할 경우 장비 파손을 막기 위해 항공기 뒷부분에 탑재한다고 한다. 이 두 블랙박스를 분석하면 사고 당시 상황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사고원인 조사에 가장 중요한 실마리는 확보한 셈이다. 항공업계에 따르면 CVR 발견 덕에 뒤늦게 정확한 사고 진상이 밝혀지거나, 그동안 추정해온 원인이 아예 뒤집어져 버릴 정도로 영향력이 크다고 한다. 문제는 블랙박스의 훼손 정도다. 사고 데이터를 어렵지 않게 다운로드할 수 있다면 국내에서 분석이 가능하다. 이 경우 수개월가량 걸리지만 외벽 충돌과 화재 등의 여파로 훼손 정도가 심각하다면 미국 국가교통안전위원회 등에 보내서 분석을 의뢰해야 해 결과를 알기까지 길게는 2~3년이 소요될 수도 있다. 그러나 엔진 2개 중 하나가 살아있고, 또 유압장치가 고장 나도 이에 대비한 비상장치가 있기 때문에 단순히 조류충돌만으로 이 같은 대형사고가 나기는 어렵다는 반론도 나온다.
항철위 관계자도 “항공기는 제작 때 이중 삼중의 안전장치를 하는데 당시에 왜 이런 기능들이 작동하지 않았는지, 또 왜 동체착륙 때 속도가 그렇게 빨랐고, 날개 플립같은 속도를 줄일 장치들이 왜 작동 안 했는지 등 밝혀야 할 내용이 많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CVR과 FDR의 기록을 일일이 맞춰보고 해야 하므로 사고 원인을 밝히는 데는 시간이 적지 않게 소요될 것”이라며 “지금은 팩트확인이 가장 중요한 시점인 만큼 섣부른 원인 추정과 주장 등은 자제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무안항공사 참사, 새떼 충돌 의심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당일 아침 무안공항 활주로 위에 새떼가 하늘을 뒤덮었다는 공항직원 증언이 나왔다.
Read more »
제주항공 무안공항 동체착륙 사고, 국내외 사례 분석제주항공 무안공항 동체착륙 사고에 대한 국내외 동체착륙 사례 분석 및 특징을 살펴보았습니다. 동체 착륙은 위험성이 높지만 항공기의 안전한 착륙을 위한 최후의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Read more »
제주항공 여객기 무안공항 추락 사고버드 스트라이크 1차 원인으로 추정
Read more »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착륙 중 충돌 사고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탑승객 181명을 태운 제주항공 여객기가 착륙 중 공항 담장과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이는 국내 민간항공 역사상 유례없는 대형 사고로, 특히 저비용항공사(LCC) 여객기가 대규모 사상자를 낸 첫 사례입니다.
Read more »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활주로 이탈 사고제주항공 7C2216편이 착륙 중 활주로 이탈하는 대형 사고 발생. 보잉 737-800 모델 기종. 사고 항공기는 2009년 제작, 15년 기령. 제주항공은 사고 관련 홈페이지에 사과와 함께 문의처 공지.
Read more »
무안공항 제주항공 사고, 외신들도 주목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관련하여 CNN, 월스트리트저널, 로이터 등 주요 외신들이 사고 소식을 신속하게 보도하며 사고 원인 규명과 한국 항공 안전에 대한 우려를 표출했다. 특히, 최근 발생한 보잉 737 계열 항공기 사고 사례들을 언급하며 이번 사고와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또한, 이번 사고가 한국 정부가 정치적 위기에 직면한 상황에서 발생한 점을 주목하며,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이후 정세를 언급했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