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무안공항 동체착륙 사고에 대한 국내외 동체착륙 사례 분석 및 특징을 살펴보았습니다. 동체 착륙은 위험성이 높지만 항공기의 안전한 착륙을 위한 최후의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2019년 8월16일 러시아 모스크바 남동쪽 외곽 주코프스키 국제공항 근처 옥수수밭에 있는 우랄 항공의 에어버스 A321 항공기. 전날 엔진 화재로 비상 동체 착륙 을 했다. 주코프스키/타스 연합뉴스 29일 아침 전라남도 무안공항 에 착륙하던 중 랜딩 기어(착륙용 하부 구조물·착륙 장치)가 나오지 않아 동체 착륙 (belly landing)한 뒤 외벽을 들이받은 제주항공 무안참사와 유사하게 ‘ 동체 착륙 ’한 국내·외 사례는 여럿이 더 있다. 동체 착륙 은 여객기가 착륙하기 위해 반드시 작동해야 하는 착륙 장치(랜딩 기어)가 나오지 않아 배꼽(belly)으로 착륙하는 방식이다. 앞·뒷바퀴 중 일부만 작동해 결국 기체가 땅에 닿는 방식도 포함된다. 항공업계 설명을 들어보면 동체 착륙 이 이례적인 것만은 아니다. 동체 착륙 은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바닥과의 접촉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사전 준비 작업이 중요하다.
바다 등 최대한 충격을 흡수할 장소에 내리거나 바닥과 마찰열에 의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어 공중에서 연료를 최대한 비워내야 한다. 또 공항 활주로에 폼을 깔고, 그물망을 설치하는 등의 과정도 거쳐야 한다. 국제공항에는 이런 매뉴얼이 마련돼 있기 때문에 정상적인 동체 착륙 시도를 했다면 이렇게 많은 사상자가 나오지는 않았을 것이라는 지적이다.29일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충돌 폭발 사고 현장에서 소방구급대원이 사고 여객기 내부를 수색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 국내 항공사 기장은 사고 발생 뒤 한겨레와 통화에서 “동체 착륙은 조종사들이 할 수 있는 가장 마지막 선택이다. 이번 사고가 이해가 안 되는 것은 동체 착륙을 하기 위해서는 공항 쪽과 교신해서 바닥에 폼과 베리어(그물)을 설치하도록 했어야 한다. 그 시간이 약 15분 걸리는데 그럴 여유도 없이 발생한 것으로 보아 긴박한 어떤 상황이 기내에서 벌어진 것이 아닐까 개인적으로 추정한다”고 말했다. 무안공항 인근 서해에 내리는 게 나았을 텐데 그마저 불가능한 긴박한 상황이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2019년 러시아 모스크바 인근에서 우랄항공 소속 여객기가 새 떼와 충돌해 동체 착륙을 시도했다. 당시 사고로 탑승객 230여명 중 70여명이 부상했다. 호주 교통안전국(ATSB) 데이터로만 보면 상업용 여객기의 동체 착륙은 2003∼2023년까지 78건이 시도됐다. 올해 5월 페덱스가 운영하는 화물기가 튀르키예 이스탄불 국제공항에서 랜딩기어 이상으로 동체착륙했다. 당시 조종사는 화물기 앞바퀴가 내려오지 않자 관제탑에 비상착륙 허가를 요청해 뒷바퀴만으로 동체 착륙했다.2022년 6월 미국 마이애미에서 126명을 태운 여객기도 착륙 중 랜딩 기어 손상으로 동체 착륙을 시도했다. 2016년 중동 에미레이트 항공 소속 여객기는 바퀴 한쪽이 내려오지 않아 두바이 국제공항 활주로에 동체 착륙한 사례가 있었다. 2018년 이란에서는 노후한 케슘에어 소속 여객기의 바퀴 한쪽이 내려오지 않아 동체 착륙이 시도됐다. 또 2002년에는 한국 관광객 등 47명을 태운 필리핀 항공기가 랜딩기어 작동불능으로 마닐라 공항에 동체 착륙하기도 한 사례도 있었다. 위 사고들은 모두 승객과 승무원, 조종사가 무사했다. 2007년 3월 아나항공(전일본공수)의 항공기도 일본 고치공항에 착륙하던 중 뒷바퀴만 나와 비행기 앞부분(기수)으로 동체 착륙을 했으나 56명의 승객과 4명의 승무원 전원 무사했다. 2022년 1월 국내에서 5세대 스텔스 전투기 에프(F)-35A 바퀴가 펴지지 않아 서산기지에 동체로 착륙했다. 당시 조종사는 무사했고, 사고 조사에서 왼쪽 엔진 흡입구 쪽으로 ‘조류 충돌’(버드 스트라이크)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조류 충돌은 새가 항공기 엔진으로 빨려 들어가 엔진 날개에 고장을 일으켜 항공기의 정상 작동이 어려운 경우를 말한다.1991년 6월13일 대한항공 소속 여객기도 대구공항에서 랜딩 기어를 안 내리고 동체 착륙을 한 사건이 있었다. 사망자는 없었고 부상자만 발생했
동체 착륙 항공 사고 제주항공 무안공항 우랄항공 조류충돌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무안공항 여객기 동체착륙 사고, 85명 사망제주항공 7C 2216편이 동체착륙 시도 중 추락하여 85명 사망, 2명 구조
Read more »
무안항공사 참사, 새떼 충돌 의심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당일 아침 무안공항 활주로 위에 새떼가 하늘을 뒤덮었다는 공항직원 증언이 나왔다.
Read more »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활주로 이탈 사고제주항공 7C2216편이 착륙 중 활주로 이탈하는 대형 사고 발생. 보잉 737-800 모델 기종. 사고 항공기는 2009년 제작, 15년 기령. 제주항공은 사고 관련 홈페이지에 사과와 함께 문의처 공지.
Read more »
무안공항 제주항공 사고, 외신들도 주목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관련하여 CNN, 월스트리트저널, 로이터 등 주요 외신들이 사고 소식을 신속하게 보도하며 사고 원인 규명과 한국 항공 안전에 대한 우려를 표출했다. 특히, 최근 발생한 보잉 737 계열 항공기 사고 사례들을 언급하며 이번 사고와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또한, 이번 사고가 한국 정부가 정치적 위기에 직면한 상황에서 발생한 점을 주목하며,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이후 정세를 언급했다.
Read more »
무안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외신 주목방콕발 제주항공 여객기 활주로 이탈 사고, 외신들도 주목하며 사고 원인 규명에 주력
Read more »
제주항공 여객기 무안공항 추락 사고버드 스트라이크 1차 원인으로 추정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