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에 뜬 적 무인기(드론)를 격추하는 공중전 목적의 자율비행 무인기가 내년에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이른바 ‘무인기 잡는 무인기’다. 공...
하늘에 뜬 적 무인기를 격추하는 공중전 목적의 자율비행 무인기가 내년에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이른바 ‘무인기 잡는 무인기’다. 공중전은 인간이 탑승하는 전투기가 나서는 싸움이라는 지난 100년간의 고정관념이 바뀔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내년 2분기에 선보일 코브라제트는 가볍고 튼튼한 탄소섬유로 만들어졌다. 모양새는 미국의 5세대 유인 전투기 F-22 랩터와 닮았다. 덩치는 F-22의 약 10분의 1이다. 코브라제트는 부분적인 스텔스 능력도 갖췄다. 자율비행 능력이 있는 코브라제트는 임무 중 적 무인기를 발견하면 인간 운영자의 통제를 받아 탄환을 발사해 격추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간에 역사상 최초의 무인기 공중전이 벌어졌고, 이때 양국 무인기들은 이렇다 할 무기 없이 동체끼리 부딪치는 초보적인 방식으로 싸웠다. 코브라제트의 개발로 ‘무인기 간 공중전’이라는 개념에 특화된 무기가 등장할 가능성이 커진 것이다. 현재 무인기는 땅에서 발사되는 지대공 미사일로 주로 잡는다. 그런데 지대공 미사일은 적 무인기와 충돌하는 순간 수명이 끝나는 일회용이다. 이것은 중요한 문제다. 지대공 미사일은 한 발당 수천만원에서 수억원에 이를 정도로 비싼 데다 전장으로 옮겨 배치하는 데에 시간이 들기 때문이다. 무인기 공습이 장기간 집중적으로 이어지면 보급에 문제가 생겨 아군 방공망이 허술해질 가능성이 커진다.
반면 코브라제트는 적에게 격추만 안 되면 기지 귀환과 출격을 반복할 수 있는 재사용 무기다. 아군 방공망 수명을 늘리고 완성도를 유지할 수 있다. 코브라제트는 전기 모터에서 동력을 얻는다. 주야간 카메라가 달렸고, 최고 시속 320㎞로 비행할 수 있다. 스카이디펜스는 “위성 통신 시스템인 ‘스타링크’를 이용할 수 있는 기능도 탑재된다”고 설명했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쿠르스크 전투, 북한군 수백 명 사상 우크라이나 드론 공격에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서 우크라이나군과 전투 중 북한군이 수백 명 사상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외신들은 미군 관계자를 인용하여 북한군이 드론 공격에 취약했다고 보도하며, 전투 경험 부족이 큰 원인으로 지목했습니다.
Read more »
북한군 쿠르스크 전투 사상자 수백명, 우크라군 드론 공격 영상 공개러시아 쿠르스크 지역 전투에서 북한군이 우크라이나군의 드론 공격에 큰 피해를 입었다. 미군 고위 관계자는 북한군 사상자가 수백명에 달한다고 밝혔으며, 전투 경험이 부족한 북한군은 드론 공격에 취약한 것으로 분석된다.
Read more »
DJI, 세계 1위 드론 제조업체의 전성기: 'DJI T70' 농업용 드론 소개중국 선전시 난산구에 위치한 DJI 본사에서 세계 1위 드론 업체인 DJI가 농업용 드론 'DJI T70'을 선보였다. DJI는 2006년 설립 이후 전 세계 드론 시장 점유율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카메라와 카메라 장비 시장 및 자율주행시스템 사업에도 진출하고 있다.
Read more »
'오인' 해명에도 드론 논란 지속…앤디 김 '책임있게 대응해야'(뉴욕=연합뉴스) 이지헌 특파원=최근 미국 뉴저지주와 뉴욕시 일대에서 정체불명의 무인기(드론)가 출몰한다는 신고가 늘어난 것과 관련해 미 연...
Read more »
일론 머스크, 트럼프에게 드론 사용을 권장하다.일론 머스크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자에게 드론 사용을 권장하며, 이를 둘러싼 논의와 실제 전쟁에서 드론의 역할에 대해 전문가들은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Read more »
러시아 쿠르스크, 북한군 수백 명 사상 우크라이나군 드론 공격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서 우크라이나군과 전투를 벌어 대량 사상자를 낸 북한군, 드론 공격에 대한 대처 부족으로 피해 규모가 커졌다는 분석.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