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고인돌 절반이 한국 땅에 세워졌다. 삼국시대 서라벌은 절과 탑이 가득했고, 지금은 20~30%까지 기독교 인구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문화심리학자 한민 교수는 한국인의 강한 종교성을 이유로 꼽고 있습니다.
VOICE:세상을 말하다 관심 전 세계 고인돌의 절반쯤은 한국 땅에 세워졌다. 삼국시대 서라벌엔 절과 탑이 가득했다. 21세기 대한민국 밤하늘엔 ‘십자가’가 가득하다. 유사 이래 대한민국은 줄곧 ‘신들의 나라’였다. 지난달 26일 만난 문화심리학 자 한민 교수는 “ 한국인 이 지닌 강한 종교성의 발현 때문”이라고 원인을 짚었다. 한국인 이 종교를 대하는 태도가 유독 다르다는 의미일까.보통 아시아권 국가에서 기독교 는 인기가 별로 없다. 기독교 인구가 1~2%에 불과한 나라도 많다. 한국은 기독교 인구가 20~30%에 달한다. 동양 문화권 국가 중에서 유독 한국에서 기독교 가 성행한 이유와 배경은 뭘까. 역사적으로 커다란 종교 갈등도 없었다. 한국인 의 심성 탓일까. 물론 그만큼 사이비와 이단 신도도 많다고 한다. 한국인 이 사이비와 이단에 유독 쉽게 빠지는 이유는 뭘까. 종교의 미래는 지금과 같은 모습일까.
한 교수는 “신뿐 아니라 귀신의 형태와 등장 배경, 귀신의 태도 역시 국가별로 다르다”고 했다. 한국과 일본, 서양 귀신은 각각 어떤 문화적 특성을 담고 있을까. 한 교수는 귀신이 등장하는 공간적 특성을 비롯해 귀신이 갖는 원한의 유형이 왜 다르게 발현되고 이를 해소하는 방법은 왜 다른지 인터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했다.4. 한국인이 유독 사이비에 쉽게 빠지는 이유앞서 상편 〈‘신내림’ 한국의 4대 저주술… 욕해도 무속 찾는 이유 있다〉에서 한 교수는 한국의 민속신앙인 무속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했다. 우리가 ‘미신’으로 치부하는 무속에 투영된 한국만의 문화적 특수성이 무엇인지, 무속의 뿌리인 북방 샤머니즘과 한국 무속은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한국 무당은 왜 굳이 신을 인간 세계로 내려오게 하는지 등을 설명했다.
한국에서 굿은 ‘떼를 쓰는’ 식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또 소원을 들어줄 때까지 큰돈을 들여 성대하게 굿판을 벌인다. 어떤 문화적 특성이 투영된 걸까. 한 교수는 “한국만의 부모-자식 관계의 특성이 신과 무당, 인간과 무당의 관계에 투영됐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어떤 의미일까. 우리는 늘 무속을 비난하면서도 교회나 절 대신 점집이나 무당을 찾는 경우도 많다. 이런 모순의 근본적인 이유는 뭘까. 흔히 무당이 되려면 ‘신병’을 앓는다고 알려져 있다. 무당은 다 그럴까. 신병은 정신병의 일종일까, 진짜 신과의 조우일까. 이 밖에 한 교수는 한강을 중심으로 남북으로 나뉜 한국 무당의 지역별 계보와 무당이 행하는 굿의 종류와 의미를 상세히 풀었다. 우리가 흔히 접하는 무당은 어떤 계열에 속할까. 또 역사 드라마에 등장하는 한국만의 저주 문화는 어떤 게 있는지, 구체적인 ‘저주술’은 무엇인지도 자세히 전했다.귀신의 모습은 왜 나라마다 다를까
종교 한국인 신앙 기독교 무속 귀신 신들 역사 문화심리학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한국: 신들의 나라고인돌과 십자가 사이, 한국인의 종교성과 민속 신앙에 대한 흥미로운 분석
Read more »
숭배의 나라, 대한민국한국은 고인돌과 십자가로 묘사되는 신들의 나라이다. 한민 교수는 한국인의 강한 종교성이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며, 기독교의 확산 배경과 한국 문화에 나타나는 독특한 귀신의 모습 등을 분석한다.
Read more »
숭배의 나라, 대한민국 - 한국만의 저주 문화와 신앙문화심리학자 한민 교수가 한국인의 종교성과 그에 따른 신앙 특징, 한국인이 독특하게 접하는 귀신과 종교의 미래 등을 다룬 인터뷰
Read more »
대한민국, 무속의 나라문화심리학자 한민 교수는 한국인이 무속에 의지하는 현상이 한국인만의 독특한 욕망과 두려움이 반영된 결과라고 말합니다. 무속에 대해 비판적이면서도 그를 찾는 이들이 늘어나는 현상을 살펴봅니다.
Read more »
대한민국, 신을 불러올 나라: 무속의 현대적 의미한국의 무속 문화를 다루며, 무속과 종교의 문화적 특수성이 어떻게 결합되어 왔는지 설명합니다. 또한, 무속을 비판하면서도 이를 찾는 이들이 많은 이유를 탐구합니다.
Read more »
대한민국, 신을 모셔오는 나라한국의 무속 문화와 그것이 어떻게 한국인의 욕망과 두려움에 투영된 현상을 문화심리학자 한민 교수를 인터뷰하며 살펴보았습니다.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