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무속의 나라

문화 News

대한민국, 무속의 나라
무속문화심리학한국
  • 📰 joongangilbo
  • ⏱ Reading Time:
  • 46 sec. here
  • 6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36%
  • Publisher: 53%

문화심리학자 한민 교수는 한국인이 무속에 의지하는 현상이 한국인만의 독특한 욕망과 두려움이 반영된 결과라고 말합니다. 무속에 대해 비판적이면서도 그를 찾는 이들이 늘어나는 현상을 살펴봅니다.

모든 국민이 태몽을 꾼다. 새 차를 사면 으레 바퀴에 막걸리를 붓고 ‘무사고’를 기원한다. 입시·입사 시험 땐 명산대천을 찾아 기도한다. ‘교인도 점 보러 간다’는 말이 나온다. 누군가는 “대한민국은 무속의 나라가 아니”라고 성토하지만, 인기 사주·타로 카페, 점집은 늘 문전성시다. 무속을 욕하면서도 무속을 찾는다. 이중적이다. 나이 드신 분들만의 전유물도 아니다. 요새 MZ세대에선 점 치는 게 큰 인기라고 한다.

지난달 26일 만난 문화심리학자 한민 교수는 “한국인이 무속에 의지하는 건 한국인만의 독특한 욕망과 두려움이 투영된 현상”이라고 말했다. 한국의 문화적 특수성은 무속과 어떻게 결합했을까. 자신을 “멸종 위기 1급 토종 문화심리학자”라고 소개한 한 교수는 최근 『숭배하는 자들, 호모 피델리스』라는 제목의 책을 펴냈다. 이 책에서 한 교수는 무속과 종교 전반에 한국만의 문화적 특수성이 어떻게 투영됐는지 담아냈다.‘미신’이라 통칭하는 무속은 동북아시아 샤머니즘의 한 갈래에서 뻗어 나와 오랫동안 이어져 온 한국의 민속 신앙이다. 다만 북방 샤머니즘과 다른 점이 있다. 바로 신을 마주하는 방식이다. 한 교수는 “한국 무당은 신의 세계로 직접 가지 않고, 신을 모셔온다는 게 특수한 지점”이라고 말했다. 한국 무당은 왜 굳이 신을 불러올까. 그리고 왜 ‘떼를 쓰는’ 방식으로 신이 소원을 들어줄 때까지 돈을 쓰고 굿을 할까. 어떤 문화적 특성이 한국 무속에 투영된 걸까.

수백 개의 한국 무속 신은 무당을 매개로 산 자를 만난다. 무당은 꼭 신병을 앓고 ‘신내림’을 받아야만 할까. 무당이 될 때 앓는 ‘신병’은 초자연적 현상일까. 신병은 학술적으로 어떻게 정의될까. 한 교수는 “신과 인간, 신과 무당 관계에도 한국 문화의 특성이 담겨 있다”고 했다. 특히 그는 한국 부모와 자식의 관계에 주목했다. 우리가 흔히 접하는 무당은 대개 여성이다. 이유는 뭘까. 한 교수는 인터뷰에서 한강을 중심으로 남북으로 나뉜 한국 무당의 지역별 계보와 무당이 행하는 굿의 종류와 의미는 무엇인지 상세히 풀어냈다. 우리가 접하는 무당은 어떤 계열에 속할까. 또 역사 드라마에 등장하는 한국만의 저주문화는 어떤 게 있는지, 구체적인 ‘저주술’은 어떤지도 자세히 전했다.4. ‘신병’은 정신병일까, 신과의 접선일까

We have summarized this news so that you can read it quickly. If you are interested in the news, you can read the full text here. Read more:

joongangilbo /  🏆 11. in KR

무속 문화심리학 한국 종교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광복 79주년을 맞아 상하이를 찾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발자취광복 79주년을 맞아 상하이를 찾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발자취상하이를 방문해 대한민국 임시정부 유적지를 찾았다. 프랑스 조계지에서 임시정부가 시작된 배경과 1919년 4월 10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탄생지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Read more »

광복절을 맞아 상하이의 대한민국 임시정부 유적지를 찾다광복절을 맞아 상하이의 대한민국 임시정부 유적지를 찾다광복절을 기념하며, 상하이의 대한민국 임시정부 유적지를 찾아 독립운동가들의 발자취를 따라가며 그들의 희생과 노력을 되새깁니다.
Read more »

빠르고 강렬하다…이탈리아 명품 커피 ‘킴보’ 대한민국 진출 선언빠르고 강렬하다…이탈리아 명품 커피 ‘킴보’ 대한민국 진출 선언‘에스프레스의 수도’ 이탈리아 나폴리에서 탄생한 ‘킴보’ 대한민국 리테일 커피 시장 도전 선언
Read more »

광복절 79주년, 독립운동가의 발자취 따라 상하이를 가다광복절 79주년, 독립운동가의 발자취 따라 상하이를 가다올해 광복절은 79주년을 맞이하며, 상하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탄생지와 독립운동가들의 발자취를 따라가며, 그들의 노력과 희생을 되새겨본다.
Read more »

“총알받이라도 기꺼이 되겠소”…탑골공원 대신 예비군훈련장 간 이 어르신들“총알받이라도 기꺼이 되겠소”…탑골공원 대신 예비군훈련장 간 이 어르신들최영진 시니어아미 공동대표 인터뷰 창립 1년만에 회원 2천명 돌파 캐나다·일본서도 자발적 참여 시가지 전투·스크린 사격 훈련 나라 위해 일할 수 있으면 영예
Read more »

장외집회 나선 이재명 “이재명은 죽지 않는다, 민주주의는 죽지 않는다”장외집회 나선 이재명 “이재명은 죽지 않는다, 민주주의는 죽지 않는다”민주당 ‘제3차 국민행동의 날’…“이 나라 주인은 윤석열·김건희로 바뀐 듯, 민주주의와 반민주주의 싸움 시작”
Read more »



Render Time: 2025-02-24 19:3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