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사람들은 일(노동)과 놀이를 대립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 이태원 참사(2022.10월)가 일어났을 때, 인터넷 공간에 저주에 가까운 악성댓글이 횡횡했다. 참극의 원인을 개인 잘못으로 돌리는 것도 모자라 노는 행위 자체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현상은 곳곳에서 감지된다.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들이 ...
우리나라 사람들은 일과 놀이를 대립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 이태원 참사가 일어났을 때, 인터넷 공간에 저주에 가까운 악성댓글이 횡횡했다. 참극의 원인을 개인 잘못으로 돌리는 것도 모자라 노는 행위 자체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현상은 곳곳에서 감지된다.
먹고사는 '일'이 너무 힘들고 고단하기 때문일 것이다. 한국인의 마음속엔 '놀기를 바라면서도 노는 꼴을 보지 못하는' 모순된 감정이 병존하는 것 같다. 이런 성향은 나이가 많을수록 더 강하게 표출된다. 산업화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인생 사전에는 놀이가 없다. 이들 대다수는 어린 시절부터 노동의 숭고함과 농업적 근면성을 내면화한, 일 중독자이다. 아래 그림은 돈, 건강, 놀이, 관계의 기준 점수를 각각 25점으로 놓고 관찰 대상자 100명을 평가해 본 것이다. 돈은 노후 자금 준비 정도를, 건강은 본인이 느끼는 건강 상태와 관리 여부를, 놀이는 즐거움을 동반하는 행위가 이루어지는가를, 관계는 주변에 마음을 주고받을 수 있는 상대가 있는가를 살폈다.파란색 막대그래프가 돈과 건강의 평균값이고, 빨간색 선이 놀이 점수다. 평균값이 높다는 건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고 건강하다는 뜻이다. 반대로 점수가 낮다는 건 빈곤하고 건강도 나쁘다는 의미다. 전체적으로 돈과 건강의 평균값에 비해 놀이 점수가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놀이에 투입하는 시간이 부족하다는 뜻이다.
우리나라 중장년층은 어떻게 '놀고' 있을까. 아래 그림은 40대 이상 연령층의 주말 여가 활동 내용을 나타낸 것이다. 전 연령층에서 '놂'보다 '쉼'이 차지하는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다. 나이를 먹을수록 노는 활동은 줄어들고, 쉬는 활동은 늘어나는 현상을 보인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거대한 자연생태 극장, 물 채우면 사라질까 두렵다[세종보 천막 소식 52일-53일차] 우리가 천막농성장에서 즐겁게 버티는 까닭
Read more »
'시행령 통치'는 민주주의가 아니다시행령 통치의 종식, 22대 국회의 중요한 과제
Read more »
'오늘만 사는 아저씨'보다 딸이 더 무서운 이유[50대 아빠 두 꼬맹이 양육기⑮] 지금이 중요한 딸, 어쩌면 삶의 지혜일지도
Read more »
'원자력 vs. 재생에너지' 국회기후변화포럼, 11차 전기본 실무안 공청회 개최11차 전기본에 SMR 1기 계획 담긴 까닭… 전문가 평가는?
Read more »
안전 외면하고 국민 배신하는 국가를 넘기 위하여[기조연설] 세월호참사 10년, 바뀐 것과 바뀌지 않은 것들... '투 트랙' 지속해야 하는 까닭
Read more »
'꼴찌'가 방출한 유망주, '선두'가 품었다선두 KIA 타이거즈가 최하위 키움 히어로즈에서 방출된 젊은 외야수를 영입했다. KIA 타이거즈 구단은 17일 보도자료를 통해 지난 9일 키움으로부터 웨이버 공시된 외야수 예진원을 영입했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예진원은 소속팀 키움에서 방출 통보를 받은 지 일주일 만에 새 소속팀을 찾게 됐다. KIA 관계자는 '예진원...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