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수원=연합뉴스) 김솔 성서호 기자=경기 수원시 아주대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의들이 잇따라 사표를 내면서 응급실 운영에 차질이 불거질 수 ...
김솔 성서호 기자=경기 수원시 아주대병원 응급의학과 전문의들이 잇따라 사표를 내면서 응급실 운영에 차질이 불거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23일 아주대병원에 따르면 이 병원 응급실에서 성인 환자를 담당하는 응급의학과 전문의는 당초 14명이었으나 의정 갈등 속에서 이 중 3명의 사직서가 수리됐다.해당 전문의들의 사직서까지 수리될 경우 응급실 전문의 인원이 기존의 절반가량으로 줄어드는 셈이다.아주대병원 응급실에는 일평균 110∼120명의 환자가 들어오고 이 중 60∼70명은 성인인데 이는 전국 최다 수준이다.특히 아주대병원 소아응급실의 경우 마찬가지로 일부 전문의가 근무를 중단하면서 수요일과 토요일엔 초중증 환자만 받는 '축소 진료'를 하고 있다.
아주대병원 관계자는"현재까지 일부 요일에 소아응급실에서 축소 진료를 하는 것 외에 현장의 차질은 없다"면서도"최근 몇몇 전문의가 낸 사직서가 모두 수리될 경우 업무 차질이 불가피해 최대한 이들을 설득 중"이라고 밝혔다. 서대연 기자 복지부 관계자는"아주대병원 응급실의 현재 근무 인원은 권역응급의료센터의 법적 인력 기준인 5명보다 많다"며"부분적인 진료 제한이 발생할 수 있으나 응급실이 완전히 문을 닫는 셧다운 상황은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복지부는 아주대병원 외에 경기 서남권역에 속한 권역응급의료센터 2곳, 지역응급의료센터 9곳과 협력해 환자 치료에 차질이 없게 한다는 계획이다.복지부에 따르면 충북대병원은 이달 10일과 14일 비상 운영 이후 15일부터는 정상 운영 중이다. 속초의료원도 지난달 일주일 동안 차질을 빚었다가 26일부터는 응급실 운영이 정상화했다.
복지부는 향후 응급실 전문의 진찰료 수가 추가 인상, 당직비 지급 등으로 인력 이탈을 줄이고, 경증·비응급 환자의 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 외래 진료비 부담을 현행 50∼60%에서 90%로 올려 다른 응급시설을 이용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정부 응급의료 대책, 응급실 경증환자 본인부담 비용 인상··· 현장 “경증 환자 안 줄 것”정부가 응급실 전문의 진찰료를 올려 인력 충원을 유도하고, 경증 환자가 권역응급의료센터를 방문할 시에 진료비 본인부담분을 인상하기로 했다. 응급실 과부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Read more »
코로나 환자로 응급실 비상 … 발열클리닉 다시 연다정부, 응급실 과밀 해소 대책발열·몸살환자 응급실 오면공공병원 검사소에서 선별응급실 찾은 코로나 환자이달들어 열흘간 1만8천명온열질환 환자까지 대폭늘어
Read more »
정부 '응급실 1.2%에서만 진료 제한…조만간 정상화'(종합)(서울=연합뉴스) 성서호 기자=의료 공백 사태 이후 환자들이 응급실을 찾아 헤매는 '뺑뺑이' 현상이 늘었다는 비판에 대해 정부는 일부에서 벌...
Read more »
의사들 내일 진료쉬고 토론회, 큰혼란 없을 듯…정부 '예의주시'(종합)(서울=연합뉴스) 성서호 기자=의대 증원을 둘러싸고 반년 가까이 정부와 대립각을 세워온 의사들이 대한민국 의료를 살릴 방안을 논의한다는 명분...
Read more »
전문의 11명으로 버티는 세종충남대병원 응급실…보름째 파행세종시의 유일한 응급의료센터인 세종충남대병원 응급실이 보름 넘게 진료시간을 축소해 운영하고 있다. 연이은 전문의 사직으로 발생한 상황인데, 이와 관련해 세종시장이 “의사들 인건비 때문에 벌어진 일”이라고 발언해 논란이 일고 있다. 세종충남대병원은 지난 1일부터 매주 목
Read more »
윤 대통령, ‘부자감세’ 고집 “기업 지속가능성 위해 낡은 세제 개편”법인세 감면 확대, 상속세 완화 등 정부 세법개정 낙관하며 “기회 사다리 더 늘어날 것”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