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130년 역사' 애관극장 관련 영화와 도서 발표한 윤기형 감독
무려 130년 역사에 그 원형이 거의 바뀌지 않고 지금도 운영되고 있는 극장이 있다. 국내 최초 극장, 정확히는 조선인이 세운 현존하는 극장 중 가장 오래된 애관극장을 아는 사람은 여전히 그리 많지 않아 보인다. 1895년 협률사라는 이름으로 시작해 1921년 지금의 이름으로 바꾼 뒤 현재까지 인천 중구 경동의 그 자리를 지키고 있다. 하지만 멀티플렉스 중심의 산업구조, 팬데믹 여파로 만성적자에 시달리고 있고 그 가치를 보존하기 위해 인천시에서 공공매입을 추진할 것으로 보였으나 답보상태다. 2024년 6월 현재 애관극장의 미래는 여전히 안갯속이다.
2021년 다큐멘터리 영화 와 올해 라는 책을 발표한 윤기형 감독을 만날 수 있었다. 인천 토박이로 애관극장 지킴이를 자처하고 있는 그는 애관극장을 사랑하는 시민모임과 함께 지속 운영이 가능한 방법을 모색해왔다. 인천시에서 공공매입을 추진한다고 알려졌지만 수년째 답보상태다.윤기형 감독조차도 애관극장의 정확한 의미를 몰랐다고 한다. 유년 시절 해당 극장을 종종 간 기억이 있지만, 조선인이 세운 최초의 극장이라는 사실은 2015년 경에야 기사로 처음 알게 됐다고. 광고업을 하는 그는 그때부터 여러 자료를 찾아봤다. 애관극장에 대한 짧은 다큐조차 없는 걸 알게 된 그는 사비를 털어 지금의 다큐멘터리를 직접 만들게 된다. 그 과정이 순탄치는 않았다. 영화에도 잠깐 나오지만, 여러 어려움을 딛고 2대째 해당 극장을 운영하고 있는 탁경란 대표는 혹시나 극장 운영권이나 예기치 않은 일이 생길까 봐 언론 노출을 극도로 피해왔다."이미 몇몇 감독들이 포기했더라.
큰사진보기 ▲ 애관극장은 현존하는 국내 최초 극장이라는 사실도 중요하지만 개관 당시 건물 구조를 거의 바꾸지 않고 유지한 채 보존되고 있다는 점에서도 역사적 가치가 크다. ⓒ 윤기형 제공이런 마음들이 모인 덕일까. 2021년 영화가 처음 세상에 공개된 날 탁경란 대표 등 극장 운영 주체들은 눈물을 보였다고 한다. 몇 차례의 개축 과정을 거치는 와중에도 몇 명 안되는 직원들은 애정을 쏟았다. 9살 때 극장 앞에서 샌드위치를 팔던 고 이인갑씨는 애관극장에서 86세까지 일했고, 국가에선 전국 극장을 모두 출입할 수 있는 증서를 수여하기도 했다. 현재까지도 애관극장엔 칠순을 훌쩍 넘긴 전문 영사 기사가 근무 중이다."가진 걸 다 파는 한이 있더라도 애관만은 넘기지 말라"는 부친의 유언대로 탁 대표는 만성 적자인 극장을 운영 중이다.
녹록지 않은 상황이지만 윤기형 감독은 영화를 만들며 했던 기적같은 경험을 나누며 일말의 기대를 품고 있었다."누구나 저마다의 애관이 있다"던 한 출연자의 말처럼 최초의 극장에 얽힌 추억, 소중한 영화의 기억을 전했다."이 영화를 처음 기획했을 때만 해도 어떻게 진행하나 막막했는데 출연진 한분한분이 다들 다른 사람들이나 가볼 곳들을 소개해주셨다. 모든 게 연결돼있더라. 아마 누구나 그런 기억이 있을 것이다. 도서관이나 박물관이나 극장 등을 가면 다른 세상을 경험한 기억 말이다. 제겐 극장이 그랬다. 누나 손 잡고 낮에 들어갔다가 영화를 보고 나오면 밤이었다. 환상의 공간이었지.영화를 싫어하는 분들은 거의 없을 거라고 본다. 그리고 저마다 다르겠지만 극장에 대한 강렬한 경험은 다들 있을 것이다. 그런 게 극장이다. 그것도 한국 최초의 극장이 우리 곁에 아직 있다는 게 얼마나 소중한가. 그 공간이 점점 사라져가는 걸 지켜보는 게 마음이 너무 아프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밥그릇 싸움만 하는 변호사들...해외선 다 하는 첨단 법률서비스 왜 못하나 [뉴스 쉽게보기]인생을 살다 보면 누구나 법과 관련한 고민이 생길 수 있어요. 법률적으로 궁금한 게 있는데, 막상 변호사 상담까지 받기엔 부담스러울 때도 있고요. 그런데 이제 가벼운 법률 상담 정도는 인공지능(AI)이 해 주는 시대가 올 것 같아요. 법률 고민에 AI가 답변을 주는 ‘AI 법률상담 서비스’가 세계 곳곳에서 개발되고 있기 때문이에요. 다만 국내에선 이 서비스
Read more »
산업안전보건 법률 이렇게 많은데, 왜 이 지경일까[연속기획] 중대재해 막을 수 있다② - 산업안전보건청 신설이 필요한 이유
Read more »
이렇게 어렵게 출제할 거면 영어 절대평가 왜 하나[주장] 6월 모평, 원점수 90점 이상 1등급 1%대에 그칠 거라는 분석까지... 이대론 안 된다
Read more »
4000년 전 고대 이집트 소설 ‘시누헤 이야기’ 원전 완역···“이집트인 정체성 탐구”흔히 세계 최초의 소설로 언급되는 작품은 일본 헤이안 시대 궁녀 무라사키 시키부가 11세기에 쓴 다. 이집트학에서는 ‘최초의 소설’이 이미 기원전에 나왔다고 본...
Read more »
'캐나다 빼고라도 한국 넣어라'…확대되는 '韓 G7 추가' 논의, 왜한국의 G7 가입 논의는 2020년 5월 당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을 비롯한 호주, 인도, 러시아 등 4개국을 추가한 G11 체제로의 전환을 언급하면서 시작됐다. 그러나 관련 논의는 바이든 행정부 들어 사실상 중단됐고, 지난해 일본 히로시마 정상회의를 앞두고 한국의 추가 가능성이 제기됐을 때만 해도 국무부는 '회원국 변화와 관련한 논의는 알지 못한다'며 선을 긋기도 했다.
Read more »
한국 교회의 새로운 미래 'ESG교회'[ESG전문가 안치용의 한국 교회 톺아보기] 한국 교회 존망의 갈림길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