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역직구 사업 ‘글로벌 셀링’ 가동 500명 셀러 초대해 현장서 신청받아 쿠팡·G마켓 등과 직판 두고 본격 경쟁
쿠팡·G마켓 등과 직판 두고 본격 경쟁 역직구 시장을 겨냥한 해외 플랫폼의 공략이 속도를 내고 있다. 중국 알리바바그룹의 전자상거래 플랫폼인 알리익스프레스는 다음달부터 역직구 사업을 시작한다. 알리는 ‘5년간 입점·판매 수수료와 보증금 면제’라는 파격적 카드를 꺼냈다. 회사는 이같은 내용을 발표하는 현장에서 500여명의 셀러들을 초대해 바로 입점 신청을 받기도 했다.
25일 오전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콘티넨탈 서울 파르나스호텔에서 진행된 ‘제1회 알리익스프레스 코리아 셀러 포럼’에서 알리는 한국 판매자가 해외 시장에서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글로벌 셀링 프로그램’을 다음달 공식 출시한다고 밝혔다.이를 통해 알리의 한국 상품 전용관인 ‘케이베뉴’에 입점한 판매자들은 한국에서는 물론 해외에서도 동시에 상품을 판매할 수 있게 됐다. 알리는 우선 판매 국가로 미국, 일본, 프랑스, 스페인을 꼽으며 앞으로 점진적으로 판매 국가와 지역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알리는 입점 판매자를 위한 파격적 지원책을 제시했다. 5년간 입점·판매 수수료와 보증금을 면제해 중소 판매자의 부담을 줄인다는 내용이다. 한국어 지원, 무료 다국어 번역 시스템 등으로 외국어에 대한 걱정도 덜어주겠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서 알리는 500여명의 셀러를 상대로 입점 신청 유치에 나서기도 했다.
판매 상품은 출범 초기에는 일단 화장품과 패션에 집중하고 이후 식품과 케이팝으로 상품군을 확장할 예정이다. 한국 상품에는 영문으로 ‘Ship from Korea’라는 라벨을 붙여 해외 소비자들이 한국 상품임을 쉽게 인식하도록 지원한다. 입점과 상품 등록 방식은 케이베뉴와 같다. 판매자는 해외 판매 조건을 한국과 동일하게 설정할지, 차별화할지 선택할 수 있다. 앞으로는 국가별 자동 가격 설정 기능도 제공할 예정이다.알리는 한국 중소기업과 소상공인들이 자사의 광범위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해외 시장에 더 쉽게 접근하고 판로를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레이장 알리 코리아 대표는 “뛰어난 디자인과 품질을 갖춘 한국 제품을 찾는 소비자가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상황에서 한국 판매자의 해외 시장 진입 장벽을 낮추고자 글로벌 셀링 프로그램을 기획했다”고 말했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알리익스프레스도 '역직구' 시장 진출…'5년간 수수료 면제'(종합)(서울=연합뉴스) 전성훈 기자=한국 전자상거래(이커머스) 시장에서 입지를 넓히고 있는 중국계 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가 해외 직접 판매(역직구)...
Read more »
'中 주도 글로벌 역직구 시장…韓, 품질 등 차별화 전략 필요'(서울=연합뉴스) 김동규 기자=중국이 주도하는 세계 역직구(해외 직접판매) 시장에서 한국이 점유율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양질의 상품을 판매하는...
Read more »
中알리 “3년내 韓소비자 절반 확보할 것”항저우 본사에서 목표 공개 내년초 물류센터 건립 본격화 이용자 1700만명까지 확대 이달 말 역직구 플랫폼 가동
Read more »
재산 빼앗고 명의도용 대출…5년간 경제적 학대받은 노인 2012명(서울=연합뉴스) 김병규 기자=재산을 동의 없이 가로채거나 연금을 안 주는 등 경제적 학대를 받은 노인이 지난 5년간 2천여명에 달하는 것으...
Read more »
서미화 의원 '국방부·교육부, 5년간 장애인 의무고용' 이행 안 해'국방부와 교육부가 법이 정한 '장애인 의무고용'을 지난 5년간(2019~2013) 단 한 차례도 이행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대신에 두 부처에서는 장애인 고용부담금으로 5년 동안 총 463억 원 이상 납부해오고 있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미화 더불어민주당 의원(비례 대표)가 최근 국정감사를 앞두고 한국장애...
Read more »
배달 수수료 인상 여파...‘퀵커머스 배송’ SSM·편의점까지 퍼지나배달 수수료 인상 여파 확산 ‘퀵커머스’ SSM·편의점 배달앱 의존도 커져 “입점 재계약시 수수료 인상 걸림돌 될 수도”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