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1일 발생한 서울 중구 서울시청 인근 교차로 역주행 사고 현장 〈사진=뉴시스〉 지난 7월 1일 서울 시청역 인근의 차량 역주행 사고로 9명의 시민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이들은 보행로에 서있다 갑자기 돌진한
이들은 보행로에 서있다 갑자기 돌진한 차량에 속수무책으로 사고를 당했는데요. 보행자 가 많은 곳에 굵은 가로수 를 심어 갑자기 돌진하는 차량을 막겠다는 겁니다. 가로수 로 시민들의 보행 안전성을 높이겠다는 서울시의 주장, JTBC 팩트체크 팀이 따져봤습니다.“횡단보도나 교통섬같이 사람들이 멈춰서서 기다리는 장소에 가로수 를 확대 식재함으로써 시민들의 불안감을 낮추고 보행 안전성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서울시는 보행자 가 밀집하는 교통섬을 사고 취약 지역으로 판단했습니다.이 곳으로 차량이 갑자기 돌진하면 보행자 들이 피할 곳도 없이 사고를 당할 위험이 있다고 본 겁니다.우선 교통섬의 사고 위험성에 대해 확인해봤습니다.2021~2023년까지 3년 간 서울시 종로구 서대문역사거리의 차량끼리 충돌한 사고는 21건, 차량이 사람을 친 사고는 5건이 있었습니다.교통섬으로 차량이 돌진하거나 올라와 발생한 사고는 없었습니다.
서울시는 이번 대책을 발표하며"해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나무의 직경이 클수록 차량 충돌에 견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측되며, 인공구조물 등에 비해 나무의 탄력성으로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보행자는 물론 운전자도 보호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체코에선 차량이 나무와 충돌하는 사례가 흔한 교통사고 유형이라면서, 차량의 고정물 충돌 사고로 사망자 7명 중 1명이 나무 충돌로 인한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김갑성 연세대 도시공학과 교수는 논문에 대해 “ 차량의 가로수 충돌에 관해 분석한 논문으로 차량 속도와 가로수의 너비 등이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 시사하는 점은 충돌 사고가 잦은 곳에서 차량의 속도를 제한해 사고를 예방하거나 사고의 빈도수를 줄여야 한다는 것”이라고 했습니다.2022년 체코 교통연구센터 논문에서 나무 직경과 치사율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연구진은 2000여 건의 가로수 충돌 사례를 분석한 결과 나무 직경 30cm일 때 15%였던 운전자의 치명적 부상 가능성이 60cm에서 26%, 110cm에서 70%로 증가했다고 분석했습니다.전 한국도시설계학회장인 이제선 연대 교수는 “논문 11페이지에는 가로수 말고 가드레일을 써야 한다고 나온다. 또 나무를 심을 때 차량의 속도에 맞춰서 적당한 나무를 심어야 한다고 돼 있는데 이는 속도가 빠른 도로에서 운전자가 치명상을 입을 수 있어 종을 바꿔 심어야 한다는 것”이라며 “체코 농촌 지역에서 사람들이 운전하다 나무에 박는 사고가 잦은 모양인데 서울시가 자료를 거꾸로 이용했다”고 지적했습니다.부정확한 근거 제시 사례가 또 있었습니다.
서울시는 보도자료에서 “다양한 교통사고 사례에서 보면 실제로 가로수에 충돌한 트럭이 중상자 없이 멈춰 선 사례가 있음을 볼 때 가로수가 가드레일 등의 교통시설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을 볼 수 있다”고 했습니다.결국 두꺼운 가로수가 보행자와 운전자 모두를 보호한다는 건 잘못된 논문 해석 등 근거가 부족해 사실로 보기 어렵습니다.
가로수 보행자 보행자 안전 가로수 식재 가로수로 시민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폭발 헤즈볼라 삐삐, 대만회사 제품…이스라엘이 폭발물 심어'(종합)'폭발 헤즈볼라 삐삐, 대만회사 제품…이스라엘이 폭발물 심어'(종합) - 3
Read more »
인스타그램 10대 청소년 계정, 비공개로 바뀐다…메시지 전달도 팔로워만 가능메타, 중독 등 안전 사용 강화 방안 마련 美·캐나다 우선 적용, 한국은 내년 전망
Read more »
[단독] “층간소음 분쟁 끊이지 않는데”…애매한 판정기준 뜯어고친다기재부, 내달 생활편의 서비스 개선안 발표 분쟁때 중재 더 쉽게 바꿀 듯 전동킥보드 안전 규제도 마련
Read more »
전기차 배터리 인증제 내달부터 조기 시행정부, 전기차 화재 안전 대책배터리 정보 공개 의무화제조물 책임보험 미가입땐내년부터 구매 보조금 제외완속충전기 33만대 순차교체
Read more »
[매경데스크] 내년 설에도 이렇게 막을 건가의료진 헌신·시민의식 덕에연휴 응급실 대란 피했지만지속가능 불투명…위험 지속조속한 의정협의체 출범으로한발씩 양보 국민 안전 지켜야
Read more »
‘먹사니즘’부터 보수의제 ‘성장’까지…이재명 “민주당이 책임진다”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10일, 당대표직 연임을 위한 8·18 전당대회 출마를 공식 선언하면서 “‘먹사니즘’이 유일한 이데올로기”라고 강조해, 연임의 지향점이 차기 대선임을 다시 한번 명확하게 드러냈다. 이 전 대표는 이날 8113자(공백 포함)의 출마 선언문에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