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김길원 기자=눈의 황반은 시력의 90% 이상을 담당하는 부위다. 빛을 감지하는 고도의 기능을 가진 광수용체가 이곳에 밀집돼...
김길원 기자=눈의 황반은 시력의 90% 이상을 담당하는 부위다. 빛을 감지하는 고도의 기능을 가진 광수용체가 이곳에 밀집돼 있어 색을 구별하고 사물을 뚜렷하게 볼 수 있다.대한안과학회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국내에서 황반변성으로 병원을 찾은 인원은 2019년 20만471명에서 2023년 49만7338명으로 4년간 148.1% 증가했다.연령대별로는 70대 36.4%, 60대 30.1%, 80대 이상 22.8% 등으로 60대 이상이 전체의 89.3%를 차지했다. 황반변성 환자 10명 중 9명이 60대 이상 고령인 셈이다.황반변성은 크게 망막의 광수용체와 세포들이 죽는 '건성'과 황반 아래 맥락막에서 새 혈관이 자라는 '습성'으로 나뉜다.반면 건성은 시력 저하가 천천히 진행하다가 습성으로 악화하는 게 일반적이다. 건성 단계는 황반 조직의 왕성한 활동으로 오랜 기간에 걸쳐 쌓인 노폐물인 '드루젠'이라는 물질이 황반부에 쌓이는 시기다.
황반변성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나이, 유전적 소인, 심혈관계 질환, 흡연, 고콜레스테롤 혈증, 자외선 노출, 낮은 혈중항산화제 농도 등이 위험 요인으로 거론된다.황반변성의 증상은 시력이 떨어지고, 부엌이나 욕실의 타일, 건물 등의 사물이 구부러져 보이는 '변형시'가 가장 큰 특징이다. 사람을 쳐다볼 때 얼굴은 안 보이고 팔·다리만 보이는 중심암점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다만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아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또 황반변성이 한쪽 눈에만 발생한 경우 아직 정상인 반대편 눈에 의지해 증상을 깨닫지 못하고 지내다가 반대편 눈에도 시력 저하가 온 뒤에야 병원을 찾기도 한다.
평소 항산화 비타민이 풍부한 녹황색 채소, 등 푸른 생선, 견과류 등 지중해식 식단을 섭취하는 것도 추천된다. 눈 건강에 도움이 되는 항산화제와 아연, 루테인, 제아잔틴의 섭취가 황반변성의 진행 위험을 낮추고 습성 황반변성의 위험을 줄인다는 연구도 있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위클리 건강] '흉통으로 본 질환 감별…심장 이상 체크가 첫 단추'(서울=연합뉴스) 김길원 기자=매년 9월 29일은 '세계 심장의 날'이다. 세계심장연맹이 심장 건강의 중요성과 심근경색, 심부전, 부정맥 등...
Read more »
[위클리 건강] '흉통으로 본 질환 감별…심장 이상 체크가 첫 단추'(서울=연합뉴스) 김길원 기자=매년 9월 29일은 '세계 심장의 날'이다. 세계심장연맹이 심장 건강의 중요성과 심근경색, 심부전, 부정맥 등...
Read more »
오감으로 하는 자연 속 명상…건강 챙기고, 스트레스도 날리고 [ESC]“맨발 걷기(어싱)를 맹신하면 안 됩니다. 숲에서 새소리, 물소리 등을 들으면서 맨발로 걸으니까 침울했던 마음이 걷히고, 심리적으로 안정도 되니 좋은 겁니다. ‘에코힐링’(자연치유)이 되는 거죠. 지압 효과도 있다 보니 잠이 잘 오고, 그러면 환자라도 입맛이 당깁니다.
Read more »
“폭염 맞췄던 전문가가 올겨울 무지 춥대”…가죽 재킷부터 어그·패딩까지 패피들 신났다신세계인터, 여성복 매출액 전주 동기 대비 2배 급증 선선한 날씨에 니트·코트·가죽 제품 매출 급증 양털 부츠 ‘어그’, 봄여름 시즌 매출 전년비 60%↑
Read more »
나이 들어 침침해진 눈··· 노안이 아니라 안질환일 수도눈이 침침해지고 시야가 흐려지면 자연스러운 노화 현상이라 생각하기 쉽지만 황반변성·황반원공·백내장 등 눈 질환의 초기 신호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증상이 가벼워 노안...
Read more »
브로콜리, 건강 가득 머금은 ‘꽃봉오리’ [건강 한겨레]잎·줄기 아닌 어린 꼬…‘10대 암 예방 식품’ 꼽혀 브로콜리는 건강에 좋다는 사실은 알지만, 쉽게 손이 가지 않는 채소 중 하나다. 초록색으로 염색한 뽀글머리와 같은 독특한 모양, 특유의 식감과 쓴맛 때문에 어린이나 성인 가리지 않고 편식하기 쉽다. 아직 우리 식탁에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