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최근 북한의 대남 오물풍선 살포 등 연이은 도발에 대응하고자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를 검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2일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대통령실은 이날 오후 장호진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 확대회의를 열고 북한의 오물풍선 살포에 대한 대책으로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를 논의한다. 북한이 전날 오후 8시부터 날리기 시작
2일 정부 소식통에 따르면 대통령실은 이날 오후 장호진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원회 확대회의를 열고 북한의 오물풍선 살포에 대한 대책으로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를 논의한다.
북한이 전날 오후 8시부터 날리기 시작한 오물풍선은 이날 오전 10시까지 서울·경기·충청·경북 지역에서 600개 이상 발견됐다. 앞서 지난달 28~29일 오물풍선 260여개를 살포한 것을 더하면 총 900여개에 달한다. 정부는 지난달 31일 ‘최근 북한 도발 관련 입장’을 발표해 일련의 도발에 유감을 표하며 “북한이 멈추지 않는다면, 북한이 감내하기 힘든 모든 조치들을 취해 나갈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대북 확성기 방송은 1963년 박정희 정부 때 시작돼 노무현 정부 때인 2004년에 남북 군사합의를 통해 중단됐다.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 때 천안함 피격 도발과 목함지뢰 도발, 북한의 4차 핵실험 등 북한의 도발에 대한 대응 조치로 일시적으로 재개되기도 했다.
군의 한 소식통은 “대북 확성기는 언제든 재개할 수 있는 준비를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북 확성기는 최전방 지역 10여곳에 고정식으로 설치돼 있고, 이동식 장비도 40여대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북한은 지난달 27일 실패로 끝난 군사정찰위성 발사 이후 대남 오물 풍선 살포를 포함해 복합 도발을 이어오고 있다. 지난달 29일부터 전날까지는 서해 북방한계선 일대에서 남쪽을 향해 위성항법장치 전파 교란 공격을 벌였다. 또 지난달 30일에는 단거리 탄도미사일인 초대형 방사포 18발을 동시에 동해상으로 발사하며 무력시위를 벌였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신원식 '北 오물풍선, 정상국가는 상상 못할 치졸·저급 행위'(종합)(싱가포르=연합뉴스) 김준태 기자=신원식 국방부 장관이 인도·태평양 주요국 국방 수장들 앞에서 북한의 '오물 풍선' 살포를 강하게 규탄했다....
Read more »
北, 오물풍선 이어 무더기 미사일 美 '한반도 전술핵' 목소리 커져30일 동해상 SRBM 10여발GPS 교란도 이틀째 이어가美 공화 강경파 목소리에 힘'핵능력 보강 韓과 협의할 때''아시아 확장억제 강화 시급'
Read more »
北 사흘째 GPS 교란 공격…軍 '내일 북풍, 또 오물풍선 날릴듯'군 당국이 6월 1일부터 북한이 대남 '오물풍선'을 재차 살포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대응태세를 갖추고 있다고 밝혔다. 합동참모본부 관계자는 31일 '6월 1일부터 북풍이 예고되어서 대남 오물풍선이 예상된다'며 '북한군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고, 오물풍선이 부양되면 언론에 공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유관기관과 협조해서 대국민 안전조치를 최우선으로 강구할 것'이라며 '대남 오물풍선이 부양되면 낙하물에 유의해 주시기를 바라고, 오물풍선을 발견할 경우 만지지 말고 신고해 주실 것을 당부한다'고 말했다.
Read more »
오물풍선·단거리미사일 이어 이틀째 서해 GPS 교란...北 위성실패 전환용?여객선·어선 일시적 영향받아 인천공항 “상황 예의 주시”
Read more »
‘北 오물풍선’ 150여개 발견…오밤중 공습 재난문자 소동까지생활 쓰레기·분변 등 담긴 ‘오물 폭탄’ 접경지는 물론 영호남에서도 발견돼 軍, 화생방대응팀·폭발물처리반 대응 北, 탈북민단체 대북전단 극단적 맞불
Read more »
기업 900곳 해외쇼핑몰입점 지원 소액 수입품 면세제 개편도 검토정부 직구 무역적자 대응 방안해외 공동물류센터 확대 운영유통업계 'C커머스 공세 격화유통산업발전법 개정 시급'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