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테크+] '공룡 멸종시킨 충돌체는 목성 너머에서 온 탄소질 소행성'

South Africa News News

[사이테크+] '공룡 멸종시킨 충돌체는 목성 너머에서 온 탄소질 소행성'
South Africa Latest News,South Africa Headlines
  • 📰 yonhaptweet
  • ⏱ Reading Time:
  • 18 sec. here
  • 2 min. at publisher
  • 📊 Quality Score:
  • News: 11%
  • Publisher: 51%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6천600만년 전 멕시코 유카탄반도 칙술루브(Chicxulub)에 충돌해 공룡 등 지구 생명체 60%를 멸종시...

이주영 기자=6천600만년 전 멕시코 유카탄반도 칙술루브에 충돌해 공룡 등 지구 생명체 60%를 멸종시킨 천체는 목성 너머에서 날아온 탄소질 소행성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독일 쾰른대 마리오 피셔-괴데 교수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16일 과학 저널 사이언스에서 6천600만년 전 소행성 충돌 당시 지층과 그전에 발생한 소행성 충돌구 물질, 운석 등의 동위원소를 분석, 칙술루브 충돌체가 목성 밖에서 날아온 탄소질 소행성이라는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이 대멸종 사건에는 거대한 소행성이 멕시코 유카탄반도 칙술루브에 충돌한 것이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 충돌체가 어디에서 만들어진 어떤 성분의 소행성인지 등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K-Pg 경계층에서 채취한 표본의 루테늄 동위원소 비율 등을 분석하고, 이를 5억4천100만년 간 발생한 소행성 충돌구 5곳의 표본, 35억~32억년 전 시생대 충돌층 표본, 탄소질 운석 2개 표본 등의 분석 결과와 비교했다.덴마크 스테븐스 클린트의 6,600만 년 된 백악기-고생대 경계층 사진. 전 세계적으로 발견되는 K-Pg 경계층에는 멕시코 칙술루브에 소행성이 충돌할 때 생성된 낙진이 포함돼 있다. 연구팀은 이 결과는 칙술루브에 충돌한 천체가 목성 밖 외부 태양계에서 만들어진 탄소질 소행성일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며 또한 이 충돌체가 혜성일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We have summarized this news so that you can read it quickly. If you are interested in the news, you can read the full text here. Read more:

yonhaptweet /  🏆 17. in KR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사이테크+] '생쥐에서 염증성 단백질 억제했더니…수명 20% 이상 증가'[사이테크+] '생쥐에서 염증성 단백질 억제했더니…수명 20% 이상 증가'(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생쥐에서 염증성 단백질 중 하나가 노화와 수명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실험 결과 이 단백질을...
Read more »

[사이테크+] 'AI로 너울성 파도 발생 5분 전에 예측한다…정확도 70% 이상'[사이테크+] 'AI로 너울성 파도 발생 5분 전에 예측한다…정확도 70% 이상'(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비정상적으로 크고 예측하기 어려워 해안에서 인명피해와 선박·해양시설 등에 피해를 일으키는 너울 같은 큰 파도(...
Read more »

'5년뒤 지구 근접' 아포피스 소행성 탐사, 한국 참가하나'5년뒤 지구 근접' 아포피스 소행성 탐사, 한국 참가하나(서울=연합뉴스) 조승한 기자=2029년 지구에 초근접하는 소행성 '아포피스'(Apophis) 탐사를 위해 세계 각국이 도전 의사를 내비치는...
Read more »

[사이테크+] 'AI-수치모델 결합 새 기후모델 '뉴럴GCM' 개발…정확도 개선'[사이테크+] 'AI-수치모델 결합 새 기후모델 '뉴럴GCM' 개발…정확도 개선'(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기계학습(machine learning)을 활용한 인공지능(AI)과 기존 수치해석 기반의 일반 순환 모델(GC...
Read more »

[사이테크+]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12광년 밖 '슈퍼목성' 첫 직접 포착'[사이테크+]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12광년 밖 '슈퍼목성' 첫 직접 포착'(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이 12광년 떨어진 별 주위에 있는 목성보다 6배 큰 가스형 외계행성(엡실론 인디...
Read more »

[사이테크+] '강수 변동성, 10년에 1.2%씩 증가…인간에 의한 온난화 탓'[사이테크+] '강수 변동성, 10년에 1.2%씩 증가…인간에 의한 온난화 탓'(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1900년대 이후 세계 육지의 75%에서 강수 변동성이 10년마다 1.2%씩 증가했으며, 그 원인은 인간 활동...
Read more »



Render Time: 2025-02-25 05:45: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