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상무 대통령실 시민사회수석이 언론인에 대한 ‘회칼 테러’ 발언에 대해 사과했지만 파문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윤석열 정부의 ‘적대적 언론관’을 여과 없이 드러낸 발언을 ‘...
황상무 대통령실 시민사회수석이 언론인에 대한 ‘회칼 테러’ 발언에 대해 사과했지만 파문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윤석열 정부의 ‘적대적 언론관’을 여과 없이 드러낸 발언을 ‘면피성 사과문’으로 넘어가려는 대통령실의 대응이 역풍을 부를 기세다. 이종섭 주호주대사의 도피성 출국 의혹에 대해서도 대통령실은 엉뚱하게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탓으로 돌리며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 민심을 외면한 대통령실의 안이한 인식과 대응이 문제를 키우고 있는 것이다.
황상무 수석은 지난 16일 입장문을 통해 “저의 언행으로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드린 점을 사과드린다”며 국민·언론인·피해자 유가족에게 사과했다. “앞으로 공직자로서 언행을 각별히 조심하고 더 책임 있게 처신하겠다”는 다짐으로 마무리된 단 4줄짜리 입장문이었다. 그러나 민주주의와 헌법정신을 부정하는 발언의 충격과 파문에 비춘다면 너무나 안이한 대응이다. 황 수석은 지난 14일 MBC 기자를 포함한 출입기자 오찬에서 “MBC는 잘 들어라”라며 “1988년에 경제신문 기자가 허벅지에 칼 두 방이 찔렸다”고 했다. 군 정보사령부 군인들이 당시 중앙경제신문 오홍근 사회부장에게 중상을 입힌 백색테러로 권위주의 정권의 대표적 흑역사에 속하는 사건이다. 대통령실 수석이 대낮에 정권과 불편한 관계인 MBC를 콕 찍어 과거 ‘언론 테러’를 언급한 것은 정권 비판 보도를 계속하려면 ‘칼 맞을 각오를 하라’는 겁박이 아니고 뭔가.
이종섭 호주대사 출국에 대해서도 대통령실은 15일 ‘사실은 이렇습니다’란 해명자료를 내고 “공수처 수사 상황이 언론에 유출되고 있다면, 철저한 수사로 밝혀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의혹이 불거진 뒤에도 “출국금지 사실을 몰랐다”는 옹색한 해명만 하다가 1주일여 만에 내놓은 것이 고작 이런 음모론성 역공이다. 수사 대상자의 석연찮은 대사 임명과 발표부터 출국금지 해제, 출국까지 6일 만에 이뤄진 비정상적 상황을 의문스러워하는 민심에 불을 지를 뿐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여당에선 “ 선거를 도와주지는 못할망정 망치는 것”, “시대착오적인 시민사회수석에 대한 조치가 불가피하다”는 목소리들이 곳곳에서 나온다. 총선 민심 최전선에 선 여당 후보들이 오죽 답답하면 이런 불만을 표출하겠는가. 이번 사태를 수습하려면 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나서야 한다. 정부 언론정책에 불신을 키운 황 수석을 경질하고, 이 대사 임명도 철회해야 한다. 대통령실의 안일한 대응으로는 민심에 조금도 다가갈 수 없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녹색정의당 권영국, 윤 대통령 ‘범인도피 공동정범’으로 고발권영국 “윤 대통령, 임명권한 남용하여 범인 도피 교사”
Read more »
민주당, 이종섭 ‘도피’ 책임자 고발·탄핵 예고...이재명 “은폐 주인공은 윤 대통령”고민정 최고위 복귀 “총선 승리 위해 최선 다할 것”
Read more »
녹색정의·조국혁신, '이종섭 도피 지시' 윤 대통령 고발한다채 상병 사건 수사외압 의혹 은폐 시도 의심 "대통령이 직접 도피시켜... 뻔뻔하고 파렴치"
Read more »
[사설] 윤 대통령, 이종섭 호주 대사 임명 철회로 ‘법치’ 증명하라법무부가 8일 ‘해병대 채상병 사망 수사 외압’ 의혹 사건 피의자인 이종섭 호주대사에 대한 출국금지를 해제했다. ‘수사방해, 해외 도피’ 비판 여론에도 이 대사의 ‘호주행’을...
Read more »
이준석 ''도피 성공' 이종섭, 범죄자들의 롤모델''피의자' 이종섭 호주대사행 비판... "윤 대통령, 왜 이렇게까지 하느냐"
Read more »
[사설]택배 과대포장 규제 2년 유예한 윤 정부, ‘탄소중립’ 은 아예 손 놓은 건가환경부가 ‘택배 과대포장 규제’를 예정대로 4월부터 시행하되 단속은 2년 유예키로 지난 7일 발표했다. 시행 한달을 앞두고 사실상 업체 자율에 맡기는 방식으로 방향을 튼 것이...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