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추 파동 얘기는 지금 삼척동자도 안다. 단순히 배추값이 올라서 그런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올여름 혹독한 더위를 겪으면서(사실 가을인 지금도 덥다) 기후 문제, 나아가 지구...
배추 파동 얘기는 지금 삼척동자도 안다. 단순히 배추값이 올라서 그런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올여름 혹독한 더위를 겪으면서 기후 문제, 나아가 지구가 과연 이렇게 생존 가능할지 심각한 경고도 받아들이고 있는 까닭이다. 게다가 경제는 엉망이고 물가가 살벌하게 올라 민심이 분노로 치닫고 있는 상황이 배경인 듯하다. 한마디로 우리는 지금 불안하다. 그래도 배추 문제로 좁혀서 생각해보자.예전에도 종종 수입해왔고, 구한말에도 호배추를 수입한 기록이 있다. 조선 배추보다 결구가 꽉 차서 통김치를 담그기 좋았다. 하지만 맛은 썩 좋지가 않았다. 해방 후 귀국한 우장춘 박사가 결국 이런저런 결구배추의 문제를 해결하는 신품종을 내놓으면서 현재 우리 김장문화, 통배추 김치의 역사를 열었다. 옛날 우리 김장은 대개 반결구배추로 담근 장김치나 섞박지, 무가 중심이었다. 지금처럼 통배추에 매운 양념을 버무려 넣는 방식이 시작된 것은 구한말 이후로 본다.
그 시절 신문기사를 보면 “훈련원 배추가 올라 방아다리 배추를 궁궐은 물론 장안에서 많이 쓴다”고 보도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수백종의 김치를 담가 먹는데 통배추 김치를 제일 많이 먹는다. 김장의 핵심도 통배추 김치다. 다른 김치와 달리 영양가가 높고 맛도 좋은 데다 요리를 해먹기에도 최적이다. 볶음밥, 찌개, 전, 지짐, 고기에 곁들이기 등 못하는 요리가 없다. 통배추 김치가 으뜸이 된 배경이다. 지금 배추 파동은 고랭지 문제다. 배추는 시원해야 잘 자란다. 고지에도 폭염이 지속됐으니 ‘랭’한 배추가 견디지 못했다. 더구나 이어짓기 피해로 병충해가 퍼진 건 몇해 전부터 일어나던 일이다. 시장 아는 상인에게 배추를 사러 갔더니 ‘죄다 꿀통배추’라고 한다. 꿀통이면 좋은 것 같은데, 실은 속이 곯아 꿀처럼 녹아내린다고 해서 붙인 자조적 별명이란다. 언론에 2만원짜리 배추가 화제가 되었는데 그 정도까지는 아니다. 대개 포기당 1만원 정도다. 고랭지 배추는 여름에 수확하니 여름배추다. 김장은 여름에 심어 가을에 거두는 가을배추다. 심각한 건 제일 수요가 큰 김장배추다. 심었더니 묘가 타고 녹아버렸다는 거다. 심을 때 기온이 너무 높았다. 당연히 김장배추 작황도 나쁠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 배추는 시원해야 잘 자란다고 앞에 썼다.
박찬일 셰프의 맛있는 미학 구독 구독중 기상 예보를 보니 11월에도 한낮 날씨가 여름 못지않을 거라고 한다. 한여름 그 더위에도 에어컨 아껴가며 선풍기 돌린 죄밖에 없는 서민들이 그 원죄를 뒤집어쓰고 벌벌 떨고 있다. 고기보다 상추가 비싸다는 뉴스는 많이 들어보았을 것이다. 그건 그나마 고깃집에 한정된 일이었다. 이제는 전 국민의 밥상에 직결되는 배추 문제다.
South Africa Latest News, South Africa Headlines
Similar News:You can also read news stories similar to this one that we have collected from other news sources.
[박찬일 셰프의 맛있는 미학]유튜브와 집밥요리사로 일하면 “무엇을 만들어 먹을까 하는데 조리법 좀 알려달라”는 말을 듣는다. 어디서 어떤 음식을 맛있게 먹었는데 도대체 어떻게 만드는 것인지 궁금하다는 질문도 많았다....
Read more »
[김영민의 생각의 공화국] 좋은 정치를 원한다고? 그럴 욕망, 기회, 능력은 있는가?탈퇴 버튼 찾으려다 지쳐서, 혹은 탈퇴 버튼 찾는 와중에 변심하기를 기대하는 속셈, 어지간히 강한 탈퇴심이 아니면 탈퇴하지 못하게 하려는 비즈니스 전략이 거기에 있다. 맛있는 것을 먹는 행위를 하려면, 맛있는 것을 먹고자 하는 욕망이 있어야 하고, 맛있는 것을 접할 기회가 있어야 하고, 맛있는 것을 판별할 능력이 있어야 한다. 양질의 정치 서비스가 어려운 이유 이 모든 일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결국 좋은 정치가 필요하다고? 양질의 정치 서비스를 제공할 양질의 정치인이 필요하다고? 『미국의 민주주의』에서 토크빌은 저질 정치인들이 난무하는 원인으로 욕망, 기회, 능력을 거론했다.
Read more »
메타포, 그것은 ‘초월적 전달’의 미학 [말록 홈즈]1994년 1월, 어느 일요일 아침. 난 대학 입학을 두 달 앞두고 시골에서 서울로 막 올라온 촌보이(boy)였습니다. 할 일이 없었습니다. 친구도 없었습니다. 입시 해방감을 즐기던 시절이라, 책이란 건 거들떠보지도 않았습니다. 무작정 지하철에 올라, 신촌으로 향했습니다. 그곳에 가면 어쩐지 좋은 일이 생길 것만 같았습니다. 신촌역에 내렸습니다. 날씨가 포
Read more »
[매경춘추] 간격의 미학얼마 전 불필요한 신체 접촉을 피할 수 있도록 개발된 특수 재킷에 관한 기사를 흥미롭게 읽었다. 영국에서 대중교통이 너무 붐벼 불편하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오자, 한 호텔이 관광객의 쾌적한 여행을 돕기 위해 개발했다고 한다. 전기 펌프를 통해 부풀려지는 이 기발한 재킷은 주변 사람으로부터 46㎝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어 일종의 장벽을 만들어주는 게 특징이다..
Read more »
“에이~ 평냉은 을밀대죠” 미국서 날아온 그녀의 맛있는 수다, 오바마도 극찬했다‘H마트에서 울다’ 저자 한국계 미국인 작가 미셸 자우너 인터뷰 이민자 고민 담긴 사모곡 오바마도 극찬 밀리언셀러 ‘세계 사로잡은 K푸드’ 세션 한국음식·가족애 주제 대담
Read more »
‘예비’ 프로 선수에게 건네는 말…“클리닉 가지 마라” [김양희 기자의 맛있는 야구]2025 신인드래프트가 끝났다. 드래프트에 지원한 1197명 중 110명 만이 프로 유니폼을 입게 됐다. 110명은 이제 또 다른 정글 속으로 뛰어들게 된다. 9.2%의 생존 경쟁에서 살아남았으나 앞길은 더 험난하다. 지금부터는 같은 포지션의 프로 선배들과의 경쟁이 펼
Read more »